•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Rate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26초

근래의 상용직 비중 변화에 대한 동태적 분석 (Accounting for the Recent Decline in the Share of Regular Employees: A Dynamic Analysis)

  • 류재우;김재홍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253-283
    • /
    • 2001
  • 우리나라의 고용구조에는 근래에 몇 가지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그 중에서 상용직 노동자 비중의 변화에 대하여 동태적인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1900년대 중반 이후의 상용직 비중의 급격한 감소는 젊은 층의 경우는 주로 상용직으로의 진입확률의 감소에 의해, 그리고 장 노년층의 경우에는 주로 상용직으로부터의 이탈확률 증가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용직과 여타 노동력 상태간의 '단절' 현상이 강화되어 온 가운데, 상용직으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의 임시직의 역할이 감소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력 상태간 이행확률의 변화가 상용직 비중의 변화에 미친 효과의 분석에서는, 1900년대 초반까지의 상용직 비중 증가는 주로 상용직 이탈확률의 감소에 의해, 그리고 그 이후의 상용직 비중 감소는 주로 상용직 이탈확률의 중가에 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 PDF

연근해어선에 승무하는 외국인 어선원의 관리방안 (A Study on Management of Foreign Seamen on Board Coastal & Offshore Fishing Boats)

  • 차철표;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515-525
    • /
    • 2011
  • Due to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coastal & offshore fishery such as decrease in coastal & offshore fishery resources, rising labor costs, rising gas prices, rising turnover rate of seamen, and intensified avoiding 4D types of business, the domestic seamen's avoidance of going to sea is being intensifi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domestic seamen shortage, coastal & offshore fishery businesses prefer to employ foreign seamen whose wages are relatively low, so employment of foreign seamen continues to increase. However, the foreign seamen system has the problems in selecting and managing seamen but these problems have been not adequately dealt with, so damages to fishery business continue to occur due to the seamen's deserting. The cases, in which foreigners who entered the country to take the sea in coastal & offshore fishing boats deserted their workplace, recorded 36.4% as of 2010. S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foreign seamen system itself through rational management of foreign seamen, the exclusive organization to manage foreign seamen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system to rationally select foreign seamen who have experiences of fishery should be established. The utilization of foreign seamen during off season needs to be maximized by establishing the employment connection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foreign seamen and employment stabilization, and the exclusive organization for education of foreign seamen and the organization for nurturing domestic seamen need t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Dual Barriers: 교정복지와 장애인 직업재활의 융합적 관점에 관한 이론적 고찰 (Dual Barriers: A Theoretical Approach on Convergent Perspective of Correctional Welfar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신숙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89-294
    • /
    • 2019
  • 출소자의 재범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계가 막막한 출소자들의 지역사회 재진입 성공률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적절한 직업훈련을 통한 취업 연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미국 법무부에서 나온 연구결과에 의하면 출소 후 1년 동안 무직상태에 있는 전과자는 60% 정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과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의 고용가능성은 더욱더 낮을 수밖에 없다. 그야말로 "이중 장애물(Dual Barriers)"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리뷰를 바탕으로 미국의 장애인 재소자 및 출소자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장애인 범죄자의 재범률을 낮추고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기업의 ICT투자가 '고용 없는 성장'을 이끄는가? (Does the ICT Investment of Firms Create Jobless Growth?)

  • 심재윤;이종호;박수호;정우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19
  • Jobless Growth, one of the most issue keywords for Korea's economy at this moment, stands for an economic situation where the unemployment rate once edging up at the downturn does not fall sharply even after a business cycle is on the stage of its recovery. A remarkable progress of ICT has intensified the apprehension of technology displacing human labor. A remarkable progress of ICT has intensified the apprehension of technology displacing human labor historically. Nowadays, ICT as the main cause for recent jobless growth in Korea ends up with pointing ou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CT leads to an economic situation of jobless growth. We serv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firm-level panel data from 2009 to 2013 and estimated the effects of ICT on both firm's employment and productivity. A result suggests not only does the employment increase with the rise of ICT investment, but also the employment becomes a complete mediator in terms of linking ICT and firm's productivity. It turns out to be a groundless fear that the ICT rules out human labor causing jobless growth for Korea's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 revealed.

대학생의 통제소재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ocus of Control on Stress towards Employment)

  • 윤성원;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06-614
    • /
    • 2012
  • 글로벌경제의 경기침체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면서 대졸자의 취업난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취업을 해야 하는 대학생들은 고민과 갈등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연 대학생들이 자신의 운명을 무엇이 통제한다고 믿는지에 기인된 내적 통제소재와 외적 통제소재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환경적, 신체적, 심리적, 예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1. 10. 5.~10. 20까지 15일 동안 서울과 수도권 및 지방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8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스트레스에서 환경적인 영향이 49%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신체적 영향은 7%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통제소재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적 통제소재는 환경과 신체, 심리, 예민 행동에서 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으며, 내적 통제소재에서는 모두 부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어 보다 다양한 진로정보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청년실업률과 직결되는 대학생들의 침체된 진로효능감을 높이고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고용안정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 of Employment Security on Suicide Ideati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

  • 전소담;이진혁;송인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53-563
    • /
    • 2020
  • 자살은 우리 사회의 주요한 사회문제이며 현재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자살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노동시장에서의 고용불안정성이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무직 또는 한시적·일시적 고용형태의 근로자는 불안정한 고용 때문에 자살 생각이 높으며 향후 자살 위험군 또는 고위험군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고용안정성이 자살에 미치는 요인 및 이를 완충시키는 보호요인에 대한 주의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용안정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호요인으로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규모의 종단연구인 '사회적 관계 내에서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의 정신건강 추적연구'의 자료(N=1,235)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용안정성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B=-.904, p<.001) 무직자가 가장 높은 자살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B=-.218, p<.05) 불안정한 고용상태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가족기능이 완충작용을 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불안정한 고용상태에서 가족 차원의 자살예방 개입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고용보험제도의 실질적 사각지대 규모와 원인에 대한 성별 분석 (A Gender-Sensitive Analysis on the scale and causes of the blind spots in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 김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08-117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여 고용보장 측면에서 여성에게 실질적인 제도적 보장이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고용보험제도의 향후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로 한국노동패널 12차년도(2009년)와 20차년도(2017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사각지대의 원인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용보험의 실질적 사각지대는 2009년에 성별 격차가 10%p 이상이었으나 2017년에 5%p 정도로 감소하여 실질적 사각지대의 성별 격차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용보험 미가입 원인의 경우 다른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할 경우 여성의 고용보험 미가입 가능성이 남성보다 낮아, 노동시장 내 여건이 성별로 동일하다면 여성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오히려 남성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현재의 고용보험제도는 성별 자체에 의한 가입률 차이보다는 노동시장 특성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성별 노동시장 격차를 완화시키는 것이 고용보험 가입의 성별 격차를 완화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회보험료 지원 사업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여성의 고용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정규직·고임금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현재의 고용보험제도가 불안정 일자리 및 저임금 노동자들을 포괄할 수 있도록 개편될 필요가 있다.

OECD 15개국 청년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의 대체관계 (The Substitution Relations between the Employment for the Youth and the Old in 15 OECD Countries)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233-259
    • /
    • 2012
  • 최근 고용없는 성장이 목도되는 가운데, 높은 실업률과 낮은 고용률로 압축되는 청년층 고용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 그러나 고령자의 일자리 부족, 불안정한 노동지위도 우리 사회의 중요한 현안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고령자의 일자리 창출, 정년 연장이 논의되고 있지만 세대간 일자리 전쟁으로 비화되며,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의 형평성으로 인해 정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문제가 진단되고 정책이 수립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OECD 15개국(1990~2010년)의 청년 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이 대체관계인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자와 청년 모두 2명 가운데 1명도 고용상태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위기는 특정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층과 중고령층 모두의 문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패널분석), 청년층 고용과 중고령층 고용은 대체관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퇴직정책을 추진해도 청년층 취업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치기공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pt. of Laboratory Dental Technology Students Conclusion of College Life)

  • 김연수;신무학;최운재;송윤희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9-208
    • /
    • 1999
  • This is a study of view of college life on 1002 students in the dept. of the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of 8 colleges in the country. Made a question survey on conclusion of college life, such as purpose of entering college and satisfaction, college life and sense of values and relationship to professors and analysed it through statistics. 1. Purpose of entering college and satisfaction of college. Most students motive to enter college was a preparatory step for future job as 73.3% of reponse rate. The dissatisfaction of college after entering was 42.5%, stu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47.1%(p<.01) of response rate and college woman showed 48.2%(p<.05) of response rate. As for the datils of dissatisfaction of college than expected, the absence of romanticism and academic atmosphere was 38.1% and poor practice(facilities) was 32.4%. the stu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rater high rate(p<0.1) and sophomore students showed high rate(p<.05) as 40.6% 2. College Life and sense of values.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in employment(27.0%) during attending and in deciding future plan(26.9%) after graduation. They responded a desirable attitude as a college students was a active and autonomous attitude as 34.0%. The best image of a college student was a student helping his/her peers with deep interest as 65.5%. The greatest trouble in college life was still future plan(27.7%). 3. Relationship to professors. Most responded they did not have professors to consult in the department as 72.4%. As a reason for this, insufficient oppartunity to talk with professors was the highest as 29.8%. They wanted any professor with much interest in employment of students as the best image of a professor(40.7%) and wanted to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professors(30.9%).

  • PDF

종합병원 근무자의 병가율 (Analysis of Sick Leave Rates of Employees in General Hospitals)

  • 심강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호
    • /
    • pp.31-40
    • /
    • 199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xamine sick leave rates of hospital employees. The sick leave data of 2,123 employees in three(3)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1992 to December 31, 1992 was analyzed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The sick leave rates were computed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n Occupational Health. Univariate analysis methods($X^2$-test and ANOVA) were used to assess the sourse of variance in the ra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annual rates of sick leave were 4.8% in frequency(persons), 0.23% in lost time, 0.68 days in duration and 14.0 days in severity. 2. The sick leave rates of frequency(person). duration and lost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than male, in groups of 40-49 years than in the other age group, the married than the unmarried and in the long employment of 8 years or above than the short employ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severity. Only the sick leave rate of frequency(pers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ducatial statu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analytical factors of sick leave rate. 3. The main causes of sick leave were injury and poisoning(24.3%), and disease of the digestive system, disease of the nervous system and sense organs, and complication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uerperium(respectively 11.6%). The severity rate was the highest in neoplasms(32.2 days), and followed by endocrine,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ease and immunity disorders, injury and poisoning, and infections and parasitic disease in descending order. 4. The sick leave rates of frequency(person), duration and lost time were the highest in nutritional workers followed by registered nurses. However, severity rate was the highest in doctors and pharmacists and followed by in nutritional works. 5. The main cause of sick leave was complication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uerperium in registered nurses(26.3%), injury and poisoning in nutritional workers(78.6%) and disease of respiratory system and digestive system in other work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