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Period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4초

군복무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Military Service Experience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 정수성;김도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5호
    • /
    • pp.141-157
    • /
    • 2019
  • 최근 경제 상황의 악화로 인해 제대군인들의 재취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여건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한 자영업 창업지원이 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소로 알려진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사회적자본(네트워크, 롤모델), 인적자본(교육 및 경험), 재정자원(보유자산, 연금 등) 등이 전역 예정군인들의 자영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전역예정 직업군인들의 군 복무 경험 특성(근무기간, 근무환경(지역), 계급(신분), 군인연금, 병과 구분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군복무 환경에 따라 창업의도가 상당히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복무환경이 열악했던 군인들에게 창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높여 나갈 수 있는 정책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방전직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업 관련 교육을 전직교육기간 뿐만 아니라 평소 복무기간 중에도 일부 개방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대군인 창업 지원정책의 개선과 더불어 향후 제대군인들에 대한 전직 지원정책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학창경험이 사회 진출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활동 로그분석을 중심으로 (School Experiences and the Next Gate Path : An analysis of Univ. Student activity log)

  • 이은주;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4호
    • /
    • pp.149-171
    • /
    • 2020
  • 대학생 시기는 실질적으로 직업선택을 해야 하는 시기이다. 우리 사회가 빠르게 고도로 발달하는 만큼, 직업은 다양화, 세분화, 전문화되어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기간은 또한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학교 내외에서 하는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취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대학생들의 로그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실험을 위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활동 데이터를 6개의 핵심역량(직무전문성강화 역량, 리더십 및 팀웍 역량, 세계화 역량, 직무몰입 역량, 직업탐색 역량, 자율이행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여기서 구분된 6개의 역량 값이 취업여부(취업그룹, 미취업그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역량 모두 취업집단과 미취업집단의 수준차이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학교에서의 활동은 취업에 유의미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6개의 역량이 취업의 질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6개의 역량수준을 상·하로 나누고, 첫연봉액을 기준으로 6개의 그룹을 만든 후 관계를 확인해 보았는데, 그 결과 6개의 역량 중 세계화역량, 직업탐색역량, 자율이행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이 연봉을 기준으로 한 취업성과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창경험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역량을 인사조직관리분야의 역량과 연결하며, 개인의 경력성공을 위해 대학생으로서 필요한 역량을 직업탐색역량과 자율이행역량을 추가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활동로그의 실데이터 기반으로 각각의 역량을 측정하고 결과변수와 검증을 한 점이다. 세 번째, 양적성과(취업률)뿐만 아니라 질적성과(연봉수준)를 분석한 점이다. 본 연구의 실무적 활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계획 수립 시 가이드가 될 수 있다. 전략이 없거나 균형을 갖추지 못한 또는 과도한 스펙을 쌓기는 지양하고 직업세계와 직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자신의 강점을 표현할 수 있는 취업준비가 필요하다. 두 번째, 학교와 기업, 지자체, 정부 등 대학생들을 위한 행사를 기획하는 담당자는 대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경험을 설계할 본 연구에서 제시한 6대 역량을 참고할 수 있다. 이벤트의 수요자인 대학생이 필요한 역량을 키우면서 하면서 각 기관의 목적을 더할 때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세 번째,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의 균형발전을 구상하는 정부의 정책담당자는 대학생들의 호기심과 에너지를 대학생들의 역량개발과 국가의 균형발전을 함께 성취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만들 수 있다. 기존에 없던 플랫폼서비스를 시도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상품이나 서비스와 기업문화를 디지털화 하는 데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디지털세대인 현 대학생들의 활약은 전 산업에서 촉매가 될 뿐 아니라 성공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대학생들에게도 필요한 경험이라 사료된다.

부업동기분석(副業動機分析)과 그 시사점(示唆點) (Motives for Moonlighting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박진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4권4호
    • /
    • pp.107-121
    • /
    • 1992
  • 본고(本稿)는 노동자들의 부업활동(副業活動)이 시장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일어나는 측면이 크며, 본업(本業)에의 집중도를 떨어뜨려 생산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부업동기(副業動機) 분석은 부업감소방안(副業減少方案)을 도출함으로써 본업생산성 및 노동자효용의 향상방안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부업동기(副業動機)의 주요한 부분은 실업으로 인한 다음 기(期) 소득의 불확실성이 충분히 보완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안정적 고용을 보장하거나 실업보험을 실시하면 소득불확실성이 줄어서 부업활동이 감소하므로 본업에서의 생산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본고(本稿)의 결론이다. 본고(本稿)는 1차노동시장에서 본업을 가지고 있으며 2차노동시장에서 부업을 하고 있는 노동자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그가 제(第)2기(期)에 실직(失職)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면 고용이 되어 있는 제(第)1기(期)에는 어떻게 소비수준(消費水準)과 부업노동시간(副業勞動時間)을 결정하며, 그 결정이 고용보장과 실업보험에 어떻게 영향받는가를 2기모형(二期模型) 안에서 알아볼 것이다.

  • PDF

모유수유 실천과 관련 요인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 박천만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43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e factors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during an infant period to grasp elements detrimental to breast-feeding and, therefore, provide basic information useful for its effective practice and encouragement. Method: From April 1 to June 30, 2001,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mothers of 337 who were 6 months old, as of the surveyed date, of infants born in 2002 and registered in Seongju-gun Public Health Center, Gyeongsangbug-do Province. The method for its survey included both of the visiting and telephone interviews, and questions were mainly about the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3 questions), infants' general characteristics(3 questio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 delivery( 4 questions), support to breast-feeding(4 questions),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5 questions), and feeding type during the 1 to 6-month period after birth. Result: 1. The feeding type during the I-month period after birth showed that the breast-feeding accounted for 42.4%, which was higher than dry milk-feeding(30%) or mixed milk-feeding(26.8%). However, it began to be lower than the dry milk-feeding from the 2-month period after birth. During the 6-month period, the breast-feeding accounted for 28.6% which was lower than 56.5% of the dry milk-feeding. 2. The mothers who were encouraged by their delivery clinic to and were educated to breast-feed infants accounted for 55.4% and 41.4%, respectively, which were relatively low. Th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indicated that the responses were positive from the view point of mother & infant health, but negative from mother's physical form. 3. It was shown that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p〈0.05) and the higher the unemployment of mother(p〈0.001), the higher the positiv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and that the higher the entire support to breast-feeding, the more positive their understanding. 4. It was also shown that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p〈0.05), the higher the unemployment of mother(p〈0.001), the more the experience in breast-feeding at a delivery clinic(p〈0.01) and the faster the initial feeding(p〈0.001), the higher the rate of breast-feeding. 5. The factor having an effect on breast-feeding included a delivery clinic's encouragement to breast-feed(p〈0.001),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p〈0.01), father's comment on feeding method(p〈0.05) and mother's employment(p〈0.05). Discuss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breast-feeding, as shown above, it is required, fist of all, to offer pregnant women an education about importance and excellence of breast-feeding and its appropriate method before delivery in advance to result in a positive comprehension of the breast-feeding. To do that, both the publicity activities and program development designed to encourage the breast-feeding must be performed in advance at the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to that, the mother-infant space as ‘rooming-in’ available for breast-feeding immediately after delivery must be prepared on the basis of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inally, female employees' leave after childbirth must b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ductive welfare and circumstances also be prepared for breast-feeding, such as a children's home at work.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관계 (Dental hygieni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혜경;김미정;임연실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45-654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provides dental care organiz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services of dental hygienists to measure levels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 variable that has to validate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to have been studied for the suggestions. The study period 2009 July 1 to August 30 at Jeonju Jeollabuk dental material and dental hygienists are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to target a total of 336 copies (88.4%) and for analysis of the data was studied. Methods :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Results :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salary, age, workplace),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decisive factor affecting the level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2. Education, salary, ag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period of the empowerment uimiseong, yeokryangseong, self-determin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s factors, work factors, not only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uimiseong. 3.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salary, age, duration of employment, workplace), the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ever, ever commitmen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main. 4. The higher the level of empowerment of the subjects that wer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5.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jects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in all th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clusions : Dental health agencies that provide services of dental hygienists to improv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evelop a structured management program, a dental hygienist job dental hygienist program and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research. That will be needed.

우리나라 근로빈곤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한 실증 연구(1982-2004) : 거시경제, 노동시장, 분배제도가 근로자가구의 빈곤에 미친 영향의 검증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o-Structural Causes of Working Poor in Korea(1982-2004) :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Macro-Economy, Labor Market, Distribution System on the Poor of Labor Households)

  • 심상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313-339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근로빈곤을 발생 확대시키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을 실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1982년부터 2004년까지의 통계청 <도시가계조사> 원자료를 활용했고, 거시경제 환경, 노동시장, 분배제도 등 사회구조적 요인들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성장론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경제성장은 근로빈곤층 규모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기에는 경제성장의 낙리효과(trickle down effect)가 존재하나 포드주의 이후에는 단절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복지지출은 근로빈곤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없었다. 최근 미국식 자본주의 모델을 도입한 결과 소득분배가 악화되고 고용의 질이 후퇴하고 근로빈곤이 확대돼 왔고, 제도 간 비정합성이 표출돼 사회경제적 지속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한국형 사회적 시장경제모델로의 전환을 모색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현해야 한다.

  • PDF

영유아를 위한 영양적으로 균형된 이유 보충식의 개발을 위한 연구 I - 수유실태 및 모유와 인공유 영양에 대한 의식구조 - (Development of Nutritionally Balanced Weaning Foods for Korean Infants I - Investigating the conditions of lactation and peoples perspectives on breast feeding and formular feeding -)

  • 손경희;이진실;전형주;최정선;민성희;박현경;박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7-228
    • /
    • 1996
  • Infanthood is a crucial period when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take place along with physical growth. Adequate supply of nutrition is essential during this perio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roper education and guidance on balanced nutr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o current status of lactation and to investigate mothers' perspectives on human milk and formular milk. As random sample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2 mothers having infant under the age of 4 were surveyed. 27.3%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eding, 38.0% were formula-feeding and 34.7% were mixed-fee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breast feeding was on the decrease, while the dependence on formular milk was on the rise. The main reason of formula-feeding was insufficient secretion of human milk on mothers part.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to select feeding method were employment status, degree of education, family income and age. Also, the interviewees desired the product fortified with special ingredients that are hot contained in formular milk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e most concerned problem of formula milk was indigestion and the interviewees wanted the formular milk to be improved digestibility.

  • PDF

산업재해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관련 요인 연구 (Study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Labor Market Transition of Job Injured Workers)

  • 배화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93-710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과 관련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는 제 1차 산재보험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첫째, 요양기간 종료 후 비경제활동인구와 실직 중인 대상자가 각각 7.2%, 22.3%에 이르렀다. 둘째, 새로운 일자리로 복귀한 이들 중 기존에 담당하고 있던 직종과 다른 직종에 근무하는 비중이 31.5%였다. 산업재해로 인하여 직장과 직종이 동시에 바뀌는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성격을 보여준다. 셋째, 산재 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 중 일자리 복귀여부와 관련한 요인을 살펴보면 남성, 낮은 연령대, 교육연수가 높을수록, 요양기간이 짧을수록,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좋을수록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산재 전직장의 규모와 종사상 지위도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직업훈련 경험자 중 일자리로 복귀하지 못한 사람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장해등급 정도는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각 단계를 고려하여 이행노동시장 관점에서 만들어진 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Policy Intervention Study to Identify High-Risk Group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in Republic of Korea

  • Yi, Kwan Hyung;Lee, Seung S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3호
    • /
    • pp.213-217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igh-risk groups for industrial accidents by setting up 2003 as the base year and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trends of major industrial accident indexes the index of industrial accident rate, the index of occupational injury rate, the index of occupational illness and disease rate per 10,000 people, and the index of occupational injury fatality rate per 10,000 people for the past 10 year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industrial accident victims, who died or received more than 4 days of medical care benefits, due to occupational accidents and diseases occurring at workplaces, subject to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s the study pop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trends of four major indexes by workplace characteristics, the whole industry has shown a decreasing tendency in all four major indexes since the base year (2003); as of 2012, the index of industrial accident rate was 67, while the index of occupational injury fatality rate per 10,000 people was 59. Conclusi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ge over 50 years and workplac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showed a high severity level of occupational accidents. Male workers showed a higher severity level of occupational accidents than female workers. The employment period of < 3 years and newly hired workers with a relatively shorter working period are likely to have more occupational accidents than others. Overall, an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policy must be established by concentrating all available resources and capacities of these high-risk groups.

수입관세 인하가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Tariff Reduction and Within-Plant Productivity: Micro-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 이시욱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9권3호
    • /
    • pp.75-109
    • /
    • 2007
  • 본 연구는 1993~2003년 기간 중 통계청의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의 원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사업체 수준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수입관세의 변화가 우리나라 개별 사업체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분석기간 중 우리나라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 변화는 산업 내 혹은 산업간 자원이동에 기인했다기보다는 개별 사업체 내부의 생산성 변화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관세장벽이 낮을수록 개별 사업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세 장벽의 철폐를 통한 수입시장의 개방이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개별 기업으로 하여금 생산 경영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기업의 혁신역량을 배양하는 유인으로 작용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연도별로는 관세율 인하 후 첫 번째 연도의 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업체들이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관세 변화에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용의 경우에는 관세율 인하 후 차기연도 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고용 변화가 감지되지 않지만, 이후 고용증대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