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Performance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7초

The Impact of Job Stress of the Cabin Crew on the Service Quality During COVID-19 era

  • Ri-Hyun SHIN;Ki-Woong KIM;Suk-Hoon CH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5호
    • /
    • pp.117-129
    • /
    • 2024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amifications of job stress on cabin crews within the air service distribution sector, specifically examining its impact on service quality through mediating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during the pandemic er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is based on a sample size of 312 individuals, exclusively comprising cabin crews employed in the airline industry. Methodological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reveal that both performance evaluation and job responsibility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job engagement. Furthermore, job engagement demonstrated a substantial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However, in contrast, factors like unstable employmen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either job satisfaction or engagement. Additionally, job satisfaction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Conclusions: These insights will offer the valuable guidance to the airline industry in preparing for unforeseen external environments that may affect the industry. As the aviation sector navigates the challenges posed by the pandemic,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intricat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satisfaction, engagement, and service quality will be crucial for effective industry resilience and adaptation.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Validity and Satisfaction for Objective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Administration Subsid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HRDP) and the Customized Employment Program(CEP) in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강철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8-87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와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107개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참여 학교(공업 농업 계열)의 담당 교원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본 사업의 목적을 특성화고의 취업 확대와 중소기업의 인력 제공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본 사업이 학교 성과 향상에 중요하며 실제로도 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중소기업에 대한 학생의 이해 증진,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 학생의 직업관 함양, 취업 과정을 기반으로 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체계화, 산학협력 교육 강화, 학생의 기술수준 향상, 현장견학보다 현장체험 및 실습 위주의 현장학습 실시, 협약기업에 대한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 학교와 중소기업 간 취업 연계 기반 마련, 자기 조직(학교)의 외부에 대한 홍보, 산학협력 기회 확대, 산업 업종별 협회 및 단체와 학교 간 협력 체계 구축, 공동 교육 채용을 위한 취업 연계 모델 도입 및 운영, 교원의 현장 전문성 강화가 본 사업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 교육 강화,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를 제외한 나머지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셋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학생의 취업 기회 확대, 양질의 취업처 발굴, 산학협력 기회 확대, 현장 중심 교육 실시, 학생의 전공 기초 및 심화 기술 향상, 학생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문해 수리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학생의 업무 태도 향상, 학생의 바람직한 진로 탐색 결정이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종망 환경에서의 간섭완화를 위한 전력제어와 ABSF의 혼합운용 기법 (Interference Mitigation by Joint Employment of Power Control and Almost Blank Subframes in Heterogeneous Networks)

  • 김호진;조영훈;임재찬;홍대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1호
    • /
    • pp.62-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이종망 환경에서 펨토셀에 전력제어를 적용하면서도 매크로셀 단말이 받는 간섭의 영향을 완화하도록 펨토셀에 ABSF(Almost Blank Subframes)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으로 펨토셀의 용량 증대 등 설치 목적은 달성하면서도 매크로셀 단말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전체 네트워크의 용량은 가능한 최대 용량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in Korea: From Employment Measures to Market Success

  • Ko, Chang-Ryong;An, Jong-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1호
    • /
    • pp.97-121
    • /
    • 2019
  •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universities or colleges as the main targets of its startup policy since the 2010s. However, the performance is not so good, with a low survival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underpin the success of student startups. Firs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compared the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with those of venture startups, which means the general startup sector, as well as youth startups, also a focus of startup policy targeting youngsters outside universities or colleges. Second, we analyzed case studies of startup companies connected University H.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main target of student startups is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success factors; existing studies only emphasize the entrepreneurship of student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showed several factors of success similar to those of general venture startups: founders, business model and resources including team, and mentoring.

서비스 제공자의 성격이 서비스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Providers'Personality on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 김민주;박종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ture direction of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and employment of service oriented employees by examining the element of personality which affects the results of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 of an employee's personality on the results of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ambition and prudence influenced their training performance. Second,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number of service training c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ambition, sociability, and intellectual curiosity were moderated effect. Third, a study on whether the academic qualification of employees c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ervice training results showed that it had no relation with academic backgrou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SME Banking in Bangladesh us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 Hossain, M.K.;Hossain, M.A.;Baten, M.A.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7권1호
    • /
    • pp.31-42
    • /
    • 2016
  •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re suitable to provide employment with lower investment in densely populated countries like Bangladesh. A stochastic frontier model is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SME Banking of the commercial banks in Bangladesh. Input (Total Deposit, Cost of Fund and Salary Expenditure) and output (Finance to SME) data are collected on 45 banks which are dealt with SME for 13 quarters from $1^{st}$quarter of 2010 to $2^{nd}$quarter of 2013. Average performance of the SME banking is 0.716 in Bangladesh. That is, banks have opportunity to increase 30% performance in SME banking from the same inputs. Bangladesh Development Bank has lowest performance (0.540) while Eastern bank has the highest performance (0.753). Highest (0.743) and lowest (0.662) performance is observed during the second quarter of 2013 and fourth quarter of 2010 respectively. Inefficient Bank might be benefited by following the rules of efficient banks.

  • PDF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실태와 처우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Treatment of Temporary Librarians in the School Libraries)

  • 류제희;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1-1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 80%가 넘게 배치된 비정규직 학교도서관 직원들의 고용실태를 알아보고 그들의 직무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수행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북지역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만족, 고용여건, 근무환경, 대인관계' 등의 요인들은 전체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무기계약직 전 후의 업무만족도 분석결과에서는 사전 사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서의 수행업무를 조사하였으며, 자격증 유무에 상관없이 '열람 및 대출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이 생각하는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에서는 '비정규직 사서의 능력개발에 관한 문제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원하는 처우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고용안정 해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공시 자료를 이용한 교육/연구성과 영향요인 추출 및 대학의 군집 분석 (Data Mining Analysis of Educational and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Universities Using Public Open Data Services)

  • 신선미;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7-1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 분석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대학정보공시 자료 속의 새로운 패턴이나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대학의 교육역량 및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 개선에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연구성과를 나타내는 취업률, 기술이전건수, 전임교원 1인당 논문수 지표의 영향요인 탐색 및 의사결정나무 모형 도출과 대학평가 관련지표를 이용한 대학의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교육/연구성과 지표의 공통 영향요인은 신입생충원율, 재학생충원율,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는 전체 대학, 대학규모별, 소재지별로 각각 실시하였을 때 유명대학, 예체능 비이공계 종교지도자양성 대학, 그 외 대학으로 군집이 형성되는 양상을 보였고, 그 주요 영향요인으로는 대학 교육/연구성과 지표인 취업률, 기술이전건수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서비스산업 유형에 따른 일하기 좋은 직장 (Great Work Place)의 경영성과 연구 (A Study on GWP Management and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Service Industry)

  • 김영순;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51-70
    • /
    • 2015
  • 최근 10년간 정부에서는 서비스산업에 대한 많은 정책들을 발표 및 추진하고 있으며 서비스산업의 중요한 역할은 일자리 창출이며 안정적인 고용창출능력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고용파급효과도 매우 크다. 2015년 6월 통계청의 발표를 보면 청년실업률(15~29세)은 10.2%를 나타냈다. 이는 6월 기준으로 1999년 6월 11.3%를 기록한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비스산업은 이처럼 악화되는 경제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인식된다. 이에 서비스산업 유형별로 한국형 GWP변수를 적용하여 경영했을 때 어떤 성과의 차이가 있을까? GWP변수들은 서비스산업별로 어떤 변수가 더 중요하게 인식될까? GWP변수들은 구성원의 팀워크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그리고 그간 사례연구로만 검증하였던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했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대졸 구직자 취업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for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 이동훈;김태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2호
    • /
    • pp.287-306
    • /
    • 2020
  • Purpose Youth unemployment is a social problem that continues to emerge in Korea. In this study, we create a model that predicts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using decision tree, random fore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mo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each model through prediction results.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vocational path survey data first, then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up dependent variables. We use R to create decision tree, random fore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and predicted whether college graduates were employed through each model. And at the end,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was compared and evaluated.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had the highest performance,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had a narrow difference in performance than the decision tree model. In the decision-making tree model, key nodes were selected as to whether they receive economic support from their families, major affiliates, the route of obtaining information for jobs at universities, the importance of working income when choosing jobs and the location of graduation universities.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variables in the random forest model, whether they receive economic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s important variables, majors, the route to obtaining job information, the degree of irritating feelings for a month, and the location of the graduating university were se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