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Insurance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8초

플렉스 타임제(Flextime system) 근로자의 고용보험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of flextime system worker)

  • 임웅석;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5-179
    • /
    • 2006
  • Flextime system labor problem appeared by social issue going through a late 97s economic crisi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gravity is that act for factor who do to magnify gulf between rich and poor because do so that may polarize labor market at central part and neighborhood and makes preservation of society integration hardly social economy enemy of flextime system worker's spread. Furthermore, new economy surrounding has attribute that deepen uncertainty social bipolarization according as order by 21th centur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globalization, knowledge base economy. Therefore, role of the country that control spread of flextime system in fixed level is more important first of all and application of employment insurance may do that have important meaning and social deliquescence.

지역사회기반 사회서비스 분야 고용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Promoting Employment in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Sector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 이형하;정성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38-248
    • /
    • 2009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서비스 부문의 주요 직종인 교육 및 보육서비스,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등에 대한 고용창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서비스 부문의 고용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수준을 제고하고,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며, 여성 등 잠재인력의 경제활동참가를 증진하기 위한 고용창출의 원칙과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를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사회서비스 공급자를 위한 교육훈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공공과 민간의 유관 부서간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사회적 기업의 성공을 위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모델적인 사회적 기업을 발굴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직사유별 일자리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Job Transition Process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 윤윤규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2호
    • /
    • pp.91-134
    • /
    • 2010
  • 본 연구는 고용보험 DB(2000~2007)를 사용하여 이직사유별로 일자리 이행 경로 및 성과를 비교하고, 미취업탈출 및 취업탈출 확률의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자발적 이직에 비해 새로운 일자리에서 일자리 기간이 크게 감소하고 실질임금 증가율도 매우 낮다. 이러한 일자리 이행성과의 차이는 체계적인 직장탐색 부족에 따른 우수한 일자리 매칭 확보의 어려움, 노동시장에서의 부정적 신호효과, 이전 일자리에서 축적된 인적자본의 활용 가능성 저하 등 비자발적 이직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업급여 수급 여부는 미취업탈출 확률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지만 동시에 실업급여 수급 후 진입한 새로운 일자리에서는 취업탈출 확률을 낮추는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성보호법 개정과 가임기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 (Changes in Korean Maternity Protection Law and Labor Market Outcomes for Young Women)

  • 김인경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3호
    • /
    • pp.47-88
    • /
    • 2010
  • 정부는 2001년 산전후휴가 기간 확대와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기간 동안의 보조금 지급을 골자로 하는 모성보호법 개정을 단행하였다. 본 연구는 삼중차감기법을 통해 가임기 여성을 위한 이러한 추가 혜택이 가임기 여성의 고용과 시간당 임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젊은 남성, 나이든 여성, 나이든 남성을 통제집단으로 간주하였을 때, 모성보호법 개정으로 인한 가임기 여성의 고용과 시간당 임금 변화는 없었다. 이는 모성보호법 개정이 가임기 여성의 노동공급과 기업의 가임기 여성에 대한 노동수요에 어떠한 변화도 초래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 PDF

Factors Determining Children's Private Health Insurance Enrolment and Healthcare Utilization Patterns: Evidence From the 2008 to 2011 Health Panel Data

  • Shin, Jawoon;Lee, Tae-Jin;Cho, Sung-il;Choe, Seung A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6호
    • /
    • pp.319-329
    • /
    • 2015
  • Objectives: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ES) exerts a substantial influence on children's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determining children's private health insurance (PHI) enrolment and children's health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PHI coverage. Methods: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11 (n=3085)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determining PHI enrolment in children younger than 15 years of age. A logit model contained health status and SES variables for both children and parents. A fixed effects model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healthcare utilization in children aged 10 years or younger, using 2008 to 2011 panel data (n=9084). Results: The factors determining children's PHI enrolment included children's age and sex and parents' educational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household income quintile. PHI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outpatient cost, inpatient cost, and number of admissions.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nd total length of stay were not affected by PHI status. The interaction between PHI and age group increased outpatient cost significantly. Conclusions: Children's PHI enrolment was influenced by parents' SES, while healthcare utilization was affected by health and disability statu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disparities in health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PHI enrollment.

졸업생 취업률 변화를 중심으로 본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NURI)사업의 평가 (An Evaluation of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Focusing on Changes in Graduate Employment)

  • 이삼호;김희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2호
    • /
    • pp.157-183
    • /
    • 2008
  •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 혹은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사업'은 지역발전혁신전략의 한 주체로 설정된 지방대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NURI사업은 학부 졸업생 수준의 중견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지방대학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논문은 졸업생 취업률의 변화를 중심으로 노동시장에서 나타난 NURI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졸업생 취업률 통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NURI사업단과 NURI사업에 지원하였으나 미선정된 사업단의 취업률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NURI사업이 시행된 이후 취업률의 개선이 나타났는지를 이중차감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NURI사업단의 취업률은 미선정 사업단에 비해 빠르게 상승하였으며, 기간이 지남에 따라 취업률 개선 정도의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므로 취업률 개선효과를 단정할 수 없다. 더구나 취업률의 변화를 관찰한 기간이 충분히 길지 않다는 점에서 NURI사업의 효과성을 단정적으로 평가하기는 더욱 어렵다. 또한 어느 정도의 취업률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투입된 예산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NURI사업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차후에도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 PDF

Association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and SARS-CoV-2 Positivity in Los Angeles, California

  • Allan-Blitz, Lao-Tzu;Goldbeck, Cameron;Hertlein, Fred;Turner, Isaac;Klausner, Jeffrey D.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3호
    • /
    • pp.161-165
    • /
    • 2021
  • Objective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spreads heterogeneously, disproportionately impacting poor and minority commun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race is complex, with a diverse set of structural and systemic factors driving higher rates of poverty among minority populations. The factors that specifically contribute to the disproportionate rates of SARS-CoV-2 infection, however, are not clearly understood. Methods: We evaluated SARS-CoV-2 test results from community-based testing sites in Los Angeles, California, between June and December, 2020. We used tester zip code data to link those results with United States Census report data on average annual household income, rates of healthcare coverage, and employment status by zip code. Results: We analyzed 2 141 127 SARS-CoV-2 test results, of which 245 154 (11.4%) were positive. Multivariable modeling showed a higher likelihood of SARS-CoV-2 test positivity among Hispanic communities than among other races. We found an increased risk for SARS-CoV-2 positivity among individuals from zip codes with an average annual household income

한국 20·30대의 건강검진 수검률 관련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 자료를 중심으로 (Related Factors for Health Check-up Attendance among Korea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Based on the 2020 KNHANES Data)

  • 김영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5-141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20~30대 건강검진 수검자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수검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20세에서 30세 사이의 대한민국 거주 남녀 1,4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강검진 수진 여부를 인구사회학적요인, 건강행태요인, 정신건강요인, 의료이용요인으로 나누어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20~30대 건강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 결혼여부, 건강보험종류, 정규직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20-30대 건강검진 수검율 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연금보험이 인적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nsion insurance o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SME workers)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93-99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연금보험이 인적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은 연금보험에 가입한 충남지역 60개 중소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총 128명이며, 분석 자료는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사후분석을 포함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금보험이 인적자원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립변수(명확성, 적합성, 만족성)와 종속변수(직무효율성)간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금보험과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는 명확성과 직무성과(.339), 적합성과 직무성과(.541), 만족성과 직무성과(.531), 직무성과와 직무효율성(.563), 직무성과와 이직의도(.549) 간에는 p<.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금보험에 가입한 근로자의 근속년수에 따른 이직의도 간의 차이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장기 재직 촉진 및 인력양성으로 성공적인 정책목적 달성을 위한 연금보험이 인적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국 노동시장 불안정성과 미충족 치과의료의 관련성: 고용과 소득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arious work and unmet dental care needs in South Korea: focus on job and income insecurity)

  • 차선화;박희정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167-174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services among individuals with precarious employment in South Korea. Methods: We used the $9^{th}$ wave of the Korean Health Panel data (2015) and included 7,736 wage and non-wage earners in our study. We determined precariousness in the labor market as a combination of employment relationship and job income, and categorized individuals based on this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Group A comprising those who report job and income security, Group B comprising those who experience job insecurity alone, Group C comprising those who report a stable job but low income, and Group D comprising those who experience both job and income insecurity. Accessibility to dental care services was determined by experience of unmet dental care need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caused primarily by financial burde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precarious work on access to dental care services. Results: Individuals with job insecurity (Group B; OR=1.445; 95% CI=1.22-1.70) and both job and income insecurity (Group D; OR=1.899; 95% CI=1.61-2.24) were more likely to have unmet needs than the comparison group. Both groups B and D were also 2.048 (95% CI=1.57-2.66) times and 4.435 (95% CI =3.46-5.68)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unmet dental care needs caused by financial burden. Education status, health insurance, and health status were all also effective factors influencing unmet dental care needs. Conclusions: Unstable employment and low income resulted in diminished access to dental care services. Therefore, governments should consider health policy solutions to reduce barriers preventing individuals with employment and income instability from accessing adequate dent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