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3초

직장인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 이정은;최보라;정영은;송광헌;강민재;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3-160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ESR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 item generation, and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instruments, and data acquired from email-survey of counselors in the field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In order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employees. Results :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ESRS suggested 4 factor structures (work-related, anger, somatization, depression & anxiety) with a total of 25 items. ESRS showed a relative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HAD),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PWI), which showed ESRS had high convergent validity. Cronbach's ${\alpha}$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95 and .610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ESRS is reliable and valid brief scale for measuring stress responses of employees. This scale would be useful in quantitatively evaluating job stress in workplace.

대학 행정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 최수찬;이은혜;원경림;조영림;김다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67-8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행정 직원의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영향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대학 행정직원의 근로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복지적 개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약 5주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 직원 2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27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적 특성(조직몰입, 조직문화, 조직 지원)과 직무 특성(직무만족, 직무 통제, 감정노동)은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통합적이고 다양한 문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이 갖고 있는 자원 및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복지 서비스(상담, 여가활동 기회 제공, 역량 강화 교육 등) 제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 직원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지자체 및 교육청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 최수찬;이지선;심세연;이지혜;박지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후, 이 둘 간의 관계에 있어 우울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7개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고, 우울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있어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하면 첫째, 중소기업근로자 맞춤형 관리방안의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기업복지제도의 통합적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공공 및 민간 부문 종사 근로자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 이해준;김은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2-25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Methods: Survey data on 23,602 workers who had worked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were obtained from the 2014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Symptoms of depression were measured using the WHO-5 Well-being Index. Data were analyzed using a $x^2$ test, t-test, and multivariate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symptoms of depression. Results: First,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41.1 % in public sector employees and 43.4 % in private sector employees. Second, the factors commonly affecting depressive symptom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were residence area, cognitive demands, development opportunities,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social community at work, job rewards, and 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age, company size, atypical work, ergonomic risks, quantitative demands, emotional demands, influence, and job insecurity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unique to private sector employees. Conclusion: Mental health programs including th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fter considering the risk factors affecting depressive symptoms.

전환점에 서있는 한국기업복지제도의 한 대안으로서 근로자협조프로그램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Search for Viable Alternative for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at the Crossroad)

  • 김의명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6권
    • /
    • pp.71-99
    • /
    • 1998
  • 20세기 말기에 접어들면서 선진국가의 복지구도가 경제와 사회분야가 분리지향적이며 국가단일주도형 복지국가에서 통합지향적이며 민관공동 주도형태로 전환하는 추세 속에서 기업복지의 중요성은 점차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기업복지제도는 자체의 생산성향상기능이 의문시되면서 IMF의 개입으로 인해 야기된 산업분야의 전면적 구조재조정의 여파 속에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기업복지제도가 기업복지의 대상인 근로자의 수요, 욕구, 기호 등을 도외시한 채 사용자의 편의 위주로 무분별하게 제공되어온 기업복지는 근로자의 사기진작이나 직무만족도 향상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은 기업복지무용론으로 직결되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수혜자위주의 진일보한 기업복지제도로서 근로자협조프로그램이 본 논문에서 실제적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그 프로그램의 정의, 실시동기, 기능, 주요요인, 모형이 소개되었고 역사적 변천배경과 경제적 효율성(비용효과)이 상세히 기술되었다. 근로자협조프로그램의 설립 필연성과 적절성에 대해 심도있는 분석이 가해졌으며 미래의 대안이 구체적 목표로 자리잡기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제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갈림길에 서 있는 한국기업복지제도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계 전체분야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고 여태까지 소홀히 취급되었던 분야를 다시 개척함으로서 사회복지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넓히는 의미가 있다.

  • PDF

가정과 직장 간 갈등이 창업 경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Conflicts Between Families and Work Places to Startup and Management)

  • 강승구;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97-208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과 성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직장인들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지원제도의 발전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장인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인들의 가정-직장갈등과 직장-가정갈등은 모두 통계적으로 직무만족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서는 직무환경만족을 개인가치만족보다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가치관적인 추구보다는 직무자체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쌍방향의 순환적 인과관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가정 직장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크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직무만족과 하위변인인 개인가치만족에는 사고중심형이, 직무환경만족에는 행동중심형이 영향력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모든 직장인들의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해소와 직장에서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하여 직장인과 그들의 가족을 위한 근로자 심리상담지원프로그램인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를 포함한 물질과 정신의 토탈복지 지원정책의 시행, 성격교육과 성격코칭 프로그램 시행 그리고 기업 상담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다.

  • PDF

감정노동이 카지노 딜러의 소진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asino Dealers' Burnout and Depression)

  • 김혜자;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76-285
    • /
    • 2017
  • 이 연구는 서비스업 종사자인 카지노 딜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소진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비스업 종사자의 소진은 전문성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이고, 또한 우울은 개인의 정신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다. 이를 위해 H리조트 카지노 딜러 60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소진은 CBI를 통해 업무관련 소진과 고객관련 소진을 측정하였고, 우울은 BDI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카지노 딜러의 감정노동(3.50)과 업무관련 소진(3.86), 고객관련 소진(3.91)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둘째, 감정노동은 우울과 소진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남성에 비해 여성의 감정노동이 높았으며, 소진은 딜러가 관리직보다 높게 그리고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감정노동은 소진과 우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카지노 딜러의 소진을 예방하고 우울을 줄이기 위한 법률의 제정 및 근로자지원 프로그램(EAP) 등의 조직 및 개인차원의 전략과 함의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