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State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33초

수술 전 심리간호가 회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ffects of Preoperative Psychological fare on Postoperative Recovery - An Exploratory Experiment -)

  • 김조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13
    • /
    • 197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operativ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and to observe the effects of an experimental nursing process on the incidence of vomiting, the number of analgesics used and the voiding ability of surgical patients within a 48 hour postoperative period and also the number of postoperative days in the hospital. This study me based on a sample of 51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abdominal surgery. They were assigned alternately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ati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nursing care by the writer, using an experimental nursing process. This is a process directed toward helping the patient obtain a suitable psychological state for surgery. This process was performed by use of the following steps: 1. The nurse approached the patient with interest and concern, and observed the patient's behavior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nxiety. 2. The nurse explored further to find out what was causing the anxiety and what was needed too relieve it. 3. The nurse listened carefully lo the patient. 4. The nurse gave an opportunity for expression of individuality. 5. The nurse showed friendliness and reassured the patient 6. The nurse gave instruction about deep berating, turing and coughing and gave an explanation of routine preoperative preparation which decreased the unknown and so decreased the patient's anxie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7. The investigation of preoperative anxiety through observing and interviewing revealed patients were concerned about the following: a. Length of stay in the hospital 69.7% (31 cases) b. Condition unimproved o. worse 48.,8% (30 cases) c. Postoperative pain and discomfort .56.8% (29 cases) 2. The results of the study regarding the four hypothesis were as follows: a. Preoperative psychological care not reduce the number of analysis needed during the 48 hour period following surgery. b. Preoperative psychological care did not reduce the Postoperative incidence of vomiting c. Preoperative psychological care had no influence on voiding ability following surgery. d. Preoperative psychological care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postoperative days in tile hospital. The experimental nursing process proved to be successful in decreasing the length of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improving rate of healing). This study has demonstrated further that the relief of anxiety (emotional distress) is part of the nurse's professional role. In order to be sure psychological care is given it is important to make a nursing care plan which .includes a plan for the psychological care needed by the patient. As this care is given it can be charted off by each nurse just as medication and treatments are checked after they are given.

  • PDF

성학대 피해 아동의 성행동 특성 (SEXUAL BEHAVIORS IN SEXUALLY ABUSED CHILDREN)

  • 임자영;김태경;최지영;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1호
    • /
    • pp.40-50
    • /
    • 2006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성학대 피해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성행동을 분석하고, 인구학적인 변인, 가족변인, 성학대 피해 특성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성학대 피해가 확인된 2-13세 이하의 아동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성행동척도(CSBI)와 소아우울척도, 소아불안척도 및 한국 부모용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가 실시되었다. 각 척도의 점수와 성학대 사건의 특성, 인구통계학적인 변인, 가족 변인 등에 따른 차이 검증과 상관분석이 이루어졌다. 결 과 : 분석결과, CSBI점수가 3세경에 정점을 이루었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sim}5$세 집단에서 비교적 가벼운 신체 접촉과 자위 및 성기노출의 시인빈도가 높았다. 물건으로 자위를 하거나 항문 속에 물건을 넣는 등의 명백히 부적절한 성적 행동이 $2{\sim}11%$에서 보고되었는데, 대부분 5세 미만의 아동에서 나타났다. 성학대 사건의 특징 중 가해자와의 면식이 있는 집단에서 CSBI 점수가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음경의 질 삽입이나 가해자의 성기 노출이 있었던 경우에도 CSBI 점수가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에서 CSBI 점수가 의미 있게 높았고(p<.05) 양친부모가 모두 있는 가정의 아동보다는 편부 편모 및 조부모나 기타 사람들에게서 양육되는 집단의 아동에서도 CSBI 점수가 의미 있게 증가되는 양상을 드러내었다(p<.05). 결 론 : 연령이 낮을수록, 가해자가 면식이 있는 사람일수록, 음경의 질 삽입이 있거나 가해자의 성기에 노출되었을수록,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대졸 이상일수록, 그리고 아동의 심리적 지지체계가 부족할수록 보다 많은 성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의 정서적인 상태와 성격특성도 성행동의 증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일 개 요양소에서의 치매환자의 공격행동에 대한 연구 (Aggressive behavior of dementia patients in a facility)

  • 오진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2-184
    • /
    • 1998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ggressive behaviour of dementia patients. It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patients in a facility for dementia patients. Observation continued for two days from 9a.m. to 5p.m .. aggressive behavior was recorded using the instrument of Ryd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ppearance rate of aggressive behaviour During two days $74\%$ of the patients did aggressive behaviour(first day-$41.8\%$. second day-$62.8\%$). The average aggressive behaviour per person was 1.65. 2. types of aggressive behaviour Aggressive behaviour was the most frequent in verbal domain(157 case; $52.5\%$). Physical domain was the second$(136case;\;45.5\%)$, and sexual domain was the last$(6 case;\;2.0\%)$. More concretely, abusive/vulgar language$(74case;\;24.7\%)$ was more than anything else. Aggressive language$(65case;\;21.7\%)$, pushing$(39case;\;13.0\%)$, intimidating posture$(21case;\;7.0\%)$. slapping $(18case;\; 6.0\%)$ followed it. 3. correlation to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etc. The average aggressive behaviour of female(2.07) was higher than that of male(1.23) (p=.05). Age also had meaningful correlation to the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ur(p=.04). All the other factors-the period of living in facility, the seriousness of dementia. movements in daily life. CAPE, emotional state. the extent of trouble in cognition- have nothing to do with the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ur. 4. the time, place and the target of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ur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afternoon $(138case;\;46.4\%)$ than in the morning or at lunch time. The patient's room ranked the first in the list of places where aggressive behaviour took place $(162case;\; 54.5\%)$. Nursing personnel topped in the target of aggressive behaviour$(119case;\; 39.8\%)$. 5. the preceding causes of the aggressive behavior the most frequent preceding causes of the behavior was the stimulus of another residents $(133case, 44.4\%)$ and that of nsg personnel was few relatively$(65 cases,\; 21.7\%)$. 6. Nursing personnel used verbal reaction most frequently$(40 cases,\; 51\%)$ and in a behavioral reaction they used physical restraint $(12 cases,\; 17.1\%)$ most frequently. In the reactions of nsg personnel. the rate of undesired reaction was high$(41cases,\; 44.28\%)$. and in that of the attacked residents, the usual reaction was most frequent $(80cases,\; 65.0\%)$. In the future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ggressive behavior of dementia patients, and based on this the method of intervention must be developed. Today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 increases so nurses must strive to encounter aggressive behavior more desirably.

  • PDF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 K-RMBPC)"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A Cross-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K-RMBPC):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es)

  • 이민홍;윤은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65-88
    • /
    • 2007
  • 본 연구의 목표는 서양에서 가족수발자가 돌보는 노인의 인지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를 우리나라 요보호노인의 가족수발자에게 맞게 수정하여 한국형 기억 및 행동 문제 개정점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가족수발자 387명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눠서, 연구 1에서는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의 신뢰도, 탐색적 요인, 수렴 및 기준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2는 연구 1에서 제시한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의 신뢰도 분석, 확증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정된 척도(K-RMBPC)가 노인의 기억 및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적절함을 통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 연구와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인지적 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틀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유산 가능성 임부의 정서, 불편감 및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s, Feelings of Discomfort, and Nursing Needs of the Women in the Possibility of Abortion : Centered on the Threatened Abortion and Habitual Abortion during Hospitalization)

  • 윤인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137
    • /
    • 1995
  • Maternity nurses' roles are to find out women's various responses related to the health problems during pregnancy, to intervene adequate nursing and supports, and to help them adapt satisfactorily to new situation, such as hospitaliz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 firstly, to inquire about women's emotional status, feeling of discomfort, and the nursing need during hospitalization because of discomfort, and the nursing needs during hospitalization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abortion by threatened and habitual abortion : secondly,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dequate nursing intervention and improving hospital manag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 women who were hospitalized, visited out-patient clinic for follow-up, and stayed at home after discharge since August, 1993 from one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March 23 to April 13, 1994.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21 items of emotion(Reliability Cronbach's alpa, .77), 19 items of feeling of discomfort(.79), and 21 items of nursing needs (.89), and nurses' performance according to nursing needs,(.90). These were measured by using Likert Scale and analyzed by using SPSS / $PC^+$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ANOVA.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subjects' average age, hospitalized days, and gestational age are 32.2, 15.7, 12.9 by respectively. 2) 88.7% of the subjects are getting antepatal care, 66.1% are experiencing 1.75 times of spontaneous abortion, and 82.3% are nuclear family. 3) The Emotions were mainly comprized negative and subjective state of minds such as uneasiness, anxiety, and discomfort. The domains of emotions were related to 'fetus', 'herself', 'hospitalization', and 'husband's 'families', in rank. The highest scored item was "I, above anyone else, am mostly stressed from abortion." 4) The feelings of discomforts were firstly related to 'personal discomfort arising from absolute bed rest', 'meals provided', Usage of hospital, perse', 'health team', in rank. 5) The nursing needs frequently pointed out were 'Nurses kindly explain of me the purpose, method, and results of the lab. test', 'Nurses sincerely pay attention to my word in communication'. The least nursing needs were 'Nurses observe my feces and whether I have constipation or not'. 'When I can't move, nurses help me by holding my arms or pulling my bed'. 6) The highest performed items were 'Nurses observe whether I bleed or not', and 'Nurses give me drug with exact dose in time'. The least performed items was about hospit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ventilation & humidity in the room should be controlled'. 7) Besides religion that is related to nursing ne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one of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emotion, feeling of discomfort, and nursing needs.

  • PDF

소나무 향기의 생리 심리적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Pine Scent)

  • 조현주;후지이 에이지로;조태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0
    • /
    • 2010
  • 녹지식물과 접함으로써 얻어지는 생리 심리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실증하는 것은 녹지의 심리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의 제공과 더불어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녹지공간을 창출에 있어 유용한 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5명의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자연 발산하는 소나무 잎의 향기를 맡는 동안 대뇌활동(뇌혈액동태)과 자율신경계활동(혈압, 맥박, 아밀라제)을 측정하고,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과 POMS(Profile Of Mood States)를 이용하여 소나무 향기에 대한 인상 및 감정상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향기는 대뇌활동에 있어 전두야의 감정, 판단, 운동을 담당하는 부위와 측두야의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의 활성화를 초래하였다. SD법과 POMS에 의한 언어적 평가에서는 소나무 향기는 자연적이지만, 자극적이고 활발한 인상을 가지며, 활기를 주고 혼란한 정서를 안정시키는 향기로서 평가되었다. 한편, 자율신경계활동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증된 결과를 통해, 소나무 향기가 우리의 생리 심리적인 측면에 활력을 주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었으며, 금후 감성을 고려한 녹지환경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의 운전자 선호도 평가 모형 개발 (Develop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Drivers' Preference on Route Diagrams of Variable Message Sign)

  • 권혜리;김병종;김원규;유수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7-65
    • /
    • 2014
  •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은 운전자들의 경로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운전자의 이해도와 시인성이 높아 도심부 도로 및 고속도로에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에 대한 운영방안이나 지침 등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 표출면 구성에 따른 운전자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차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실험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표출면의 구성요소 중 도로선형, 외곽선, 문자체 등의 디자인적인 요소보다는 문자높이, 노드수 등의 정보 제공 량이나 시인성과 관련된 부분이 운전자의 감성요인과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의 제공 정보 단위 수는 11단위 또는 12단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행시간을 제공할 경우 3개의 노드, 통행시간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5개 노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적정한 수준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변안내표지판을 설치할 때 운전자의 감성요인과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표출면을 설계하여야 한다.

저열량균형식, 운동 및 행동수정에 의한 비만여성의 치료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Obese Women with Low Calorie Diet, Aerobic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iton)

  • 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1995
  • 체지방이 30% 이상으로 비만이라 판정되는 20~62세의 지원자들에게 저열량 균형식, 무리하지 않은 유산소 운동 및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교정하고 평생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영양상담과 교육을 포함한 행동수정을 통해 5주 동안 비만을 치료하고 성인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활동량, 식습관,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진단한 후 잘못된 식생활을 교정할 수 있도록 주 3회의 영양상담과 매주 1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식이요법은 1일 1끼의식사와 3회의 조제식이를 통해 열량이 1200kcal 정도가 되고,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은 성인 권장량의 100~150%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식전에 식이섬유와 물을 복용하고 식사 기간은 20분 이상으로 천천히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투긴음식, 가공식품, 패스트 푸두, 술, 청량음료, 달고 기름진 음식, 짜고 자극적인 음식 등은 제한하였다. 주당 3~5일간 1시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체조를 실험대상자 저원이 모여서 실시하였다. 먹은 식품, 활동, 운동, 감정상태, 피로여부 등을 일지로서 기록하게 하여 삼담을 통해 교정하고 관찰하여 긍정적인 내적동기를 갖도록 교육하였다. 비만치료 기간 중 탈락한 수는 총 16명 중 5명 (31.3%)이었으며, 비만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경증이고, 불규칙적인 식사, 빨리 먹는 습관, 과식, 짜게 먹는 습관, 야식, 음주 등의 비만의 원인이 되는 습관들을 가지고 있어 식습관 점수는 개선이 요구된다고 진단되었다. 5주동안의 비만치료로 체중은 평균 4.8kg(주당 0.96kg)이 감량 되었으며, 체지방, body mass index, 허리, 팔, 둔부의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압, 공복시의 혈당, 혈액증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L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서울시내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식생활관리 (A Study on the Stress and Dietary Life of Office Workers in Seoul)

  • 김종군;김정미;최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3-42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attitude and health on the stress status of office - workers in Seou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389 office workers (224 males and 165 female). In relation to stres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tress as an office workers was ′slight′ and much for 45.2% and 40.6%, respectively, of the study population. Consequently, most office workers were found to be under stress. The amount of food intake under stress was found to be ′reduced′, unchanged and increased in 38.3, 37.0 and 24.7%, respectively, of those surveyed. The preferred foods when under stress were found to be alcoholic and non-alcoholic beverages, in 57.6% of cases,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regardless of age, sex,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educational level. The desired taste when under stress was found to be ′hot′ and sweet in 34.7 and 26.0%, respectively. As to the feeling after food intake, 51.7% responded that food intake was not useful for the relief of stress,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and many salaried females worried about weight gain.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ealth and nutrition, 69.9% of office workers responded that they thought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was very high. As for the greatest cause triggering stress, 50.3% responded "due to workplace and job". The best method for relieving stress was to do exercise, with a 30.1 % response, The average score for the degree of stress and tension was 7.2, with 64.0% of office workers having an average level between 6- and 9. The degree of stress was higher for females than males, for unmarried salaried and hot-tempered persons. Those not doing exercise were subject to the highest levels of stress, and those a having sufficient sleep were found to be subject to less stress. Those interested in their health were found to have a good condition and lower levels of stress. In correlation with eating habits, stress, the degree of tension and personality, the F-value was found to be 43.505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0.294 (29.4%),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means that office workers with higher degrees of stress and tension tended to have poorer eating habits. Since bad eating habits have an adverse effect on both the state of physical health and individuals emotional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correctly managing stress, office workers should make efforts to practice good eating habits.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불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cience Anxiety Experience of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강지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3-295
    • /
    • 2021
  • 본 연구는 Giorgi 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이 겪는 과학불안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된 중학교 1학년 학생 중 과학특성불안 및 과학상태불안 수준이 높고 과학불안 경험이 있는 과학영재학생 6명으로 선별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과학불안 경험과 관련된 두 차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영재학생들이 경험하는 과학불안은 이상적 자아 설정, 자신감 부족, 과거의 경험, 내용의 어려움, 가치있는 일에 기인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과학불안을 느낄 때 신체적·생리적, 인지적, 정서적·심리적으로 불편함을 호소하였으며, 과학불안을 성장의 기회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또한 과학영재학생들은 과학불안이 유발될 때 나타나는 여러 불편한 증상들을 극복하기 위해 불안한 상황에 직접 맞서거나 자신의 마음을 가다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부 학생들은 시간이 지나면 불안감이 해소되기 때문에 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한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과학불안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미와 긍정적인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불안을 경험하는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과학불안과 관련하여 어떠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