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type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7초

건물 적용 유형별 BIPVT 집열기 열적 실험성능 비교 (The Thermal Performance Comparison of BIPVT Collector Applied on Roofs and Facades)

  • 강준구;김진희;김준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9-272
    • /
    • 2009
  • The temperature of PV modules that integrated into building facades or roof increases that could reduce the electrical efficiency of the PV system. In order to incresae PV system's efficiency it is very important to remove the heat from the PV modules. For this purpose, hot air can be extracted from the space between PV modules and building envelope, and used for heating in buildings. The solar collector utilizing this thermal effect is called photovoltaic-thermal(PVT) solar collector. This paper compares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building-integrated PVT collectors that applied on building roof and facade. There are two different case: a roof-integrated PVT type and a facade-integrated PVT typ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llected thermal energy of the roof-integrated type was 24%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facade-integrated.

  • PDF

컴패니언 로봇의 멀티 모달 대화 인터랙션에서의 감정 표현 디자인 연구 (Design of the emotion expression in multimodal conversation interaction of companion robot)

  • 이슬비;유승헌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37-152
    • /
    • 2017
  •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위한 컴패니언 로봇의 인터랙션 경험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 태스크- 로봇 기능 적합도 매핑에 기반한 로봇 유형 분석과 멀티모달 대화 인터랙션에서의 로봇 감정표현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인의 니즈 분석을 위해 노인과 자원 봉사자를 대상으로 FGI, 에스노그래피를 진행하였으며 로봇 지원 기능과 엑추에이터 매칭을 통해 로봇 기능 조합 유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4가지 유형의 로봇 중 표정 기반 대화형 로봇 유형으로 프로토타이핑을 하였으며 에크만의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을 기반으로 6가지 기본 감정에 대한 표정을 시각화하였다. 사용자 실험에서는 로봇이 전달하는 정보의 정서코드에 맞게 로봇의 표정이 변화할 때와 로봇이 인터랙션 사이클을 자발적으로 시작할 때 사용자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 회상 검사(Story Recall Test: STR)와 표정 감정 분석 소프트웨어 Emotion API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정보의 정서코드에 맞는 로봇의 표정 변화 그룹이 회상 검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억 회상률을 보였다. 한편 피험자의 표정 분석에서는 로봇의 감정 표현과 자발적인 인터랙션 시작이 피험자들에게 정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선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건축설계 기법에 관한 연구 - 단위세대 다차원모듈 구성을 위한 감성정보 체계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Method for ]Remodeling Vitalization of Apartment Rouses - Based on the Systematization of Emotion-Information for Multi-Dimensional Module Composition of the Unit household -)

  • 정무웅;이찬용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21-129
    • /
    • 2005
  •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drawing design plan factors considering residents' life cycle and life style when remodeling design is needed. By drawing such design factors, the study will propose an alternative remodeling design plan. Such design method was defined as Multi-Dimensional module design method. And constructing data-system based on Multi-Dimensional module was secondary goal in this study. The details are as follows: Based on analysis of Residents' demand for remodeling and features of emotion-design applied to remodeling, the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remodeling design method was conducted. Based on the type of construction materials, the level value was set up according to emotion-factor application. Also, by conducting co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this study seeks the unit drawing method of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emotion-information system.

The Effect of Empathy induced by Positive Events on Subjective Value of Reward: Preliminary Study

  • 김종완;정대현;엄기민;한광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8-231
    • /
    • 2009
  •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human empathic behavior regarding to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Especially empathy is considered as a multidisciplinary study because of its wide application. However,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empathy induced by negative emotion and physical pain.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Loggia et al. (2008), is to investigate if empathy could be induced by positive events, and consequently if the positive empathy could increase subjective value of rewa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which involved eight participants, we could confirm the inducement of empathy by positive events significantly; its power is not so strong though.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empathy type (positive and no empathy) and whether the target received the reward or not. But if we would recruit more participants and additionally analyze correlation among trait/empathic state questionnaire, subjective ratings of the reward and emotion of the target, we suggest that this study would be valuable in that it could expand the empathy studies.

  • PDF

공동 주택 리모델링 다차원모듈 설계 기법에 관한 연구 - 단위세대 다차원모듈 구성을 위한 감성정보 체계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for Multi-dimensional Module Plan of Apartment Houses for Remodeling - Based on the systematization of Emotion-Information for Multi-Dimensional Module Composition of the Unit household)

  • 이찬용;권성순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8
    • /
    • 2005
  •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drawing design plan factors considering residents' life cycle and life style when remodeling design is needed. By drawing such design factors, the study will propose an alternative remodeling design plan. Such design method was defined as Multi-Dimensional module design method. And constructing data-system based on Multi-Dimensional module was secondary goal in this study. The details are as follows: Based on analysis of Residents' demand for remodeling and features of emotion-design applied to remodeling, the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remodeling design method was conducted. Based on the type of construction materials, the level value was set up according to emotion-factor application. Also, by conducting co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this study seeks the unit drawing method of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emotion-information system.

  • PDF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방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Children's Peer Relations :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Types)

  • 오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37
    • /
    • 2015
  • The study examined the pathways from matern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o children's peer relations through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463 elementary school 4th-6th grad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atern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evels of children's empathy,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types and skill levels of children's peer relation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maternal emotion coaching reactions, when done indirectly, as well as directly, had an influence on their levels of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ver-sensitive maternal reactions, when done indirectly, but not directly, had an influence on their levels of peer rela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s empathy mediated the effects of maternal emotion coaching and over-sensitive reactions on peer relations. It also found that there are distinct pathways from maternal reaction typ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o peer relations through empathy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types.

민간경호${\cdot}$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반향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 guard Accomplishment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Behavior)

  • 공배완;김창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10호
    • /
    • pp.15-34
    • /
    • 2005
  • 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생활과정 중에서 피할 수 없는 일부분이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하는가 하는 것도 업무의 효율성 측면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 스트레스는 대처행동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으로, 동일한 스트레스원에 당면하더라도 개인적인 성격특성에 따라 어떤 사람은 강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하고 또 다른 사람은 미약하거나 경험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개인적인 성격특성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아울러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효과 즉,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성격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동시에 각 성격특성의 소유자들이 어떤 양식으로 스트레스원에 대처하는가를 밝혀줌으로써, 경호업무 수행자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들의 적응을 지도해 나가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PDF

여대생의 성격에 따른 구두 스타일의 감성과 선호도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Shoes Style According to Person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정소연;이인희;김지수;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81-92
    • /
    • 2015
  • 본 연구는 성격 유형과 연령별, 유행혁신성에 따른 구두 스타일 선호와 감성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 추출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를 하였으며 여대생 2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구두 스타일을 선정하기 위하여 구두 종류를 사전적 분류와 인터넷 검색을 이용하여 현 여대생들에게 착용이 적합한 총 8개 구두를 선정하였다. 성격유형은 MBTI 간략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감성척도는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감성척도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SPSS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구두 스타일에 따라 선호와 감성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대응분석 결과, 구두의 감성은 4~5가지로 묶일 수 있었다. 둘째, 여대생의 성격유형별로 몇 가지 구두에서 선호와 감성의 유의한 차가 있었다. 셋째, 유행 혁신성에 따른 구두의 선호와 감성의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구매횟수에 따른 구두의 선호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특성 및 유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두시장에서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유용한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린광고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메시지 효과에 관련하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reen Advertisement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Concerning the Message Effect-)

  • 조국행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1호
    • /
    • pp.99-124
    • /
    • 2009
  • 요즈음 환경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그린제품의 보다 많은 확산과 환경보호의 차원에서 그린광고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고 전략상의 문제로서 특히 그린광고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북돋우고 그린제품 구매자뿐만 아니라 비그린제품 구매자의 그린제품 구매를 유도한다는 차원에서 그린광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광고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특히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측면과 관여를 고려한 상황에서 그린광고가 어떠한 메시지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때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린/비그린제품 광고가 소비자의 인지/감정/행도에 대한 태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그린/비그린제품 광고의 경우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어떠한 메시지구조를 취할 때 광고의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린/비그린제품 광고의 관여(고/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떠한 메시지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살펴본다. 즉, 수많은 광고에 노출되고 있는 소비자들이 그린광고에 대해서는 어떠한 시각을 갖고 있으며 그린광고의 형태에 메시지의 결론을 제시해서 설득적인 의도를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메시지의 결론을 생략해서 설득적인 의도를 숨기고 소비자들이 스스로 추론하고 정보탐색을 하도록 하는 메시지구조가 그린광고의 형태에 효과적인지를 밝혀서 앞으로의 그린광고의 제작 및 메시지구조 측면에 있어서 그린광고의 효과와 개선에 도움을 주고 그럼으로써 많은 그린제품 확산에도 기여하고자한다.

  • PDF

라벤더 향요법 손마사지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정서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avender Aroma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Aggressive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ita)

  • 이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3-312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romatherapy hand massage program,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vender aroma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aggressive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study. Lavender aromatherapy was administrated to experimental group I for 2 weeks, jojoba oil massage was administrated to experimental group II for 2 weeks, and no treatment was administrated to the control group for 2 week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x^2-test$, ANOVA, repeated measures of ANCOVA and ANCOVA in the SPSS program package. Result: 1. Experimental group 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in rela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II and control group. 2. Experimental group 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and aggressiv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II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A Lavender aromatherapy hand massage program is effective on emotions and aggressive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