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Monitor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주관평가와 작업수행도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조명 색온도에서의 피로도 평가 (Evaluation of fatigue by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Subjective Rating Score and Working Performance with Color Temperature)

  • 양희경;고한우;김묘향;임석기;윤용현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63-68
    • /
    • 2001
  • 조명 색온도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조명 색온도(2700 K, 4000 K, 6500 K)를 실험변수로 하여 모니터상에서 오류수정 작업이 수행되었다. 색온도의 변화에 따른 인체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주관평가와 작업수행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시각피로·정신피로와 집중도에 관한 주관평가를 실시한 결과, 2700 K에서 시각피로 및 정신피로가 가장 적고 집중도가 높으며 작업수행도가 가장 좋았다. 6500 K에서 정신피로를 가장 많이 느끼고 집중도가 제일 낮았으나, 시각피로를 가장 많이 느낀 4000 K에서의 작업수행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색온도 조건 중 2700 K가 모니터상의 오류수정 작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기분인식과 정서표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Mood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 조명현;나진경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45-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이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적인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우선 정서 표현은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정서표현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적응 간의 부적 관계를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런 효과는 학업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기분 인식의 두 요인인 기분모니터링과 기분명명화가 학업 스트레스-적응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다른 양상인데, 두 요인이 모두 학업 스트레스-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기분 모니터링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기분명명화는 조절효과 없이 주효과 만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기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스트레스 많은 상황에서 학업 적응에 도움이 되었고, 본인의 기분이 무엇인지 명명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수준에 관계없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기분 모니터링과 정서 표현이 학업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 인지적 행동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이 함께 제시되었다.

뇌파 유도 및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및 효과성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terface System for Inducing and Monitoring Brain-Wave Activity)

  • 이강희;민윤기;이방형;민병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91-96
    • /
    • 2000
  • 본 연구는 이러한 뇌파 바이오피드백 원리를 적용하여 뇌파를 유도하고 유도된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뇌파 상태를 조절하도록 하는 장치로 개발된 Q0jump 시스템의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 뇌파 측정 장비와 Q-jump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Q-jump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뇌파유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려 했다. 그 결과 Q-jump 시스템과 뇌파 측정장비에서 얻어진 결과가 유의한 상관을 가짐을 보았다. 상대적 출현량에 있어서 뇌파 유도프로그램을 사용했을 때, 전두엽 부분에서 slow alpha 는 유의한 증가를, fast beta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후속 연구에 있어서는 통제집단을 이용한 보다 면밀한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노인 건강 모니터 링을 위한 감성제품디자인 연구 (A study on emotional design product with elder health risk monitoring)

  • 서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194
    • /
    • 2009
  • 유엔의 통계에 의하면, 2020 년에 전세계 60 세이상의 인구는 10 억까지 달성하고, 2050 년, 전세계에 20 억 가까운 노인 인구가 생존하게 됩니다. 끊임없이 증가되는 세계의 노령화 문제 때문에, 혼자 생활하는 독거 노인은 끊임없이 증가하고, 동시에 노인들의 순환기질환 관련 위험성은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디자인연구는 이러한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형은 손목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차는 형태로 연구되었으며, 심장과 혈압 항상 검사 측정하는 기능이 있어서, 그 수치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을 때, 119 나 친척들 또는 담당의사에게 전화로 응급처리를 요청하게 되고, GPRS 는 스스로 작동, 병원에 응급조치와 함께 가장 짧은 시간에 도착할 수 있도록 것을 한다. 동시에 제품에는 환자의 진료카드가 있어 담당의사가 아니라도 진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기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기기가 노인들에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특징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노인의 감성에 맞는 기기의 특성을 파악 적용하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 PDF

MP3 기능 재킷과 심박 모니터링 스포츠웨어에 대한 소비자 수용 모델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MP3-playing Jackets and Heart Rate Monitoring Sports Wears)

  • 채진미;조현승;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느끼는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P3 기능 재킷과 심박 모니터링 스포츠웨어를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수용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각 구성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경로가설을 검증하였다. Davis(1989)가 제안한 TAM을 적용하여 스마트 의류의 수용과정을 설명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8 개의 경로가설 중 6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져 채택되었다. 그 결과는,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거쳐 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태도는 다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 (Smart Emotional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Mobile)

  • 홍성일;인치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58-38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감성조명 장치의 내부발열 및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모바일 기기와 지그비 모듈, 감성조명 장치, 점등제어 모듈, 전원 공급기, 범용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스템에 연결될 때, 감성조명 장치에 실시간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메시지 및 상태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감성조명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 결과, 감성조명 제어 및 색온도 변수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감성언어를 사용하여 가변적으로 점등제어하기 때문에 21%의 발열량 및 최대 48%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켰다.

수면 무호흡증 관리를 위한 섬유센서 기반의 슬립 모니터링 스마트 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leep Monitoring Smart Wear based on Fiber Sensor for the Management of Sleep Apnea)

  • 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2권1호
    • /
    • pp.89-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병으로서, 이를 위한 표준화된 수면다원검사가 고가이며 측정이 불편함을 고려하여, 환자가 익숙한 환경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스트레치 섬유센서를 이용한 무구속 상태의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의복과 일체화된 디자인으로 제품화하여 그 유용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인 남성용 롱 슬리브 티셔츠 형태로 착용형 수면무호흡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여, 수면무호흡 진단 지표 중 섬유형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하는 호흡수(breathing rate)측정용 섬유센서,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호흡기류(airflow)를 실시간 측정하였다. 최적의 조합비 샘플 4가지를 통한 gauge factor를 측정한 결과, gauge factor 20.3을 확인하였고, 3회 숨을 크게 내쉴 때 호흡유량이 최대 2048ml였다. 산소포화도 69.45%로 최소 측정 가능 산소포화도 70% 정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탁 후 인장에 따른 센서 성능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gauge factor 18 수준의 값으로,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여러 합병증을 동반하는 문제에 대해,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착용형 수면무호흡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여 호흡수, 호흡유량, 산소포화도의 3가지 지표를 측정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패치형 바이폴라 심장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스트레스 상태의 HRV 평가 (HRV Evaluation under Stress Condition by Using Patch Type Bipolar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 양희경;이정환;이영재;김경섭;이강휘;최희정
    • 감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161-16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구속, 무자각, 무침습적인 패치형 심장활동 모니터링 시스템(HAMS)을 개발하였다. 이 심전도 모듈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받아 실시간으로 피검자의 심장 활동 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장시간 동안 손쉽게 모니터링 측정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갖추고 있다. 가슴에 부착이 가능한 패치 타입의 소형 전극을 자체 제작하였고, 측정된 심전도 신호에 대한 신뢰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HRV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HAMS을 이용하여 동일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HRV 파라미터와 불안, 스트레스 항목에 대한 설문지 평가,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졸)양을 측정하였다. 일상 상태와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값들을 비교한 결과, 많은 파라미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피어슨 상관계수로부터 스트레스와 상관성이 높은 파라미터를 검토하였다. 이는 HAMS를 이용하여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HAMS를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심장 이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소재의 신축성이 직물 기반 심전도 모니터링 의복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bric Elasticity on Performance of Textile-based ECG-monitoring Smart Wear)

  • 조자영;장세은;조길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39-41
    • /
    • 2007
  • 본 연구는 직물 기반 바이오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기 위해 의복 소재의 신축성에 따른 심전도 신호 검출 성능과 착용 성능을 평가하여 직물 기반 심전도 의복을 위한 최적 범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신축률의 편물을 얻기 위해 면/폴리에스테르에 스판덱스 함유율을 0%, 5%, 8%로 다르게 하여 제편하였다. 이 세 가지 소재로 심전도 측정을 위해 동일한 사이즈로 의복을 제작한 후, 금속사를 이용한 자수 기법으로 심전도 전극을 설치하였다. 심장 관련 병력이 없고 평균 BMI가 $20{\sim}24$인 정상 체중의 5명을 대상으로 Biopac MP150을 사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 설문지를 사용하여 소재의 신축성에 따른 착용성 평가를 시행하여 신축성에 대한 만족감, 동작용이성, 전반적 쾌적함 등을 Likert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심전도 신호 검출 성능 측면에서는 8% 라이크라 함유 소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착용성 측면에서는 5% 소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그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오 모니터링 의복 소재 개발을 위해 기능성과 착용성을 모두 고려한 본 연구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Gait Feature Vectors for Post-stroke Prediction using Wearable Sensor

  • Hong, Seunghee;Kim, Damee;Park, Hongkyu;Seo, Young;Hussain, Iqram;Park, Se Jin
    • 감성과학
    • /
    • 제22권3호
    • /
    • pp.55-64
    • /
    • 2019
  • Stroke is a health problem experienced by many elderly people around the world. Stroke has a devastating effect on quality of life, causing death or disability. Hemiplegia is clearly an early sign of a stroke and can be detected through patterns of body balance and gai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various feature vectors of foot pressure and gait parameters of patients with stroke through the use of a wearable sensor and to compare the gait parameters with those of healthy elderly people. To monitor the participants at all times, we used a simple measuring device rather than a medical device. We measured gait data of 220 healthy people older than 65 years of age and of 63 elderly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stroke less than 6 months earlier. The center of pressure and the acceleration during standing and gait-related tasks were recorded by a wearable insole sensor worn by the participants. Both the average acceleration and the maximum accele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lthy participants (p < .01) than in the patients with stroke. Thus gait parameters are helpful for determining whether they are patients with stroke or normal elderly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