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con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신뢰, 이모티콘 사용 태도와 이모티콘 구매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 카카오톡 사례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rust in MIM, Attitude toward Emoticon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Emoticons in Kakao Talk)

  • 정보희;배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11-325
    • /
    • 2016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지닌 특성 중 하나인 이모티콘의 사용 비중은 최근 비약적으로 증가하며 관련 시장도 커지고 있다. 이처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내 이모티콘 시장 가치가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간극(gap)을 메우고,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내 이모티콘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내 이모티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카카오톡 대학생 사용자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은 시스템 신뢰도에 양(+)의 영향을 주었고, 지각된 위험은 음(-)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이모티콘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플로우는 각각 이모티콘 사용태도에 양(+)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시스템 신뢰도와 이모티콘 사용태도는 이모티콘 구매의도에 각각 양(+)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게임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다른 모바일 관련 서비스 컨텐츠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내 이모티콘 구매에 대한 연구로서 구체적인 이론적, 실무적함의 역시 논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모바일 이모티콘의 긍정적 사용행태연구: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 (Mobile Emoticon Use for Positive Behavior and Communication: Focusing o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주영애;김선주;김우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35-5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llege students' emoticon use for positive behavior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factors. This study is consisted of 66 questions based o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actors and both scales of emotional expression. The operational test was administered to 340 college students. In an effort to calibrate emoticon use of positive behavior, the results displayed significanc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ender and grade of the students. Women used more emoticons than men, and freshman used more emoticons than any other year of students. Women used more emoticons such as texts, images, and flash more than men. Students in their freshman year were shown to use more emoticons than students in other grade levels. Emotional expression was strongly related man with personality traits of integrity. Personality traits of sensitivity, openness, intimacy, and sincer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 emoticon is, therefore, be a useful tool to express their emotions.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congeniality had expressed more emotions that were self-defence ambivalent and concerned-relation ambival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female students, those with higher levels of self-defence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lower usage of positive emoticons, while mal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lf-def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used more positive emoticons. Higher levels of congeniality among groups that use mobile emoticons with their parents, whether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or low,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elf-defence ambivalence and concerned-relation ambivalence. Those with higher levels of sincerity had low levels of self-defence ambivalence and concerned-relation ambivalence, an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concerned-relation ambivalence had higher levels of positive emoticon usage.

이모티콘 사용동기, 플로우, 사회적 영향력이 이모티콘 사용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Motives, Flow, and Social Influence i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 Emoticons)

  • 정보희;김한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2호
    • /
    • pp.27-44
    • /
    • 2016
  •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의 사용 역시 대중화 되고 있다. 최근 MIM 내 그래픽 이모티콘은 사용자들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동시에, 기업 입장에서는 이모티콘의 판매가 주요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렇듯 이모티콘이 하나의 상품으로 MIM 서비스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로 인식, 개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모티콘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색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실무적 간극(gap)을 메우고자 이모티콘의 사용동기, 사용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관계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MIM 내의 이모티콘 사용동기는 크게 이모티콘 사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은 이모티콘을 사용한 대화 시, 몰입의 정도와 사회적 영향력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이모티콘 사용동기와 플로우,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은 최종적으로 이모티콘 사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모티콘 사용태도가 호의적일수록 이모티콘 구매의도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플로우(flow)와 사회적 영향력(social influence)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아직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은 폐쇄형 SNS 내의 상품으로서의 이모티콘에 대한 구매의도와 그 동기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사회 관계망 서비스 환경에서 이모티콘 기반 문자 콘텐츠 활용 분석 (Analysis of Emoticon-based Character Contents Utiliz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 고광만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31-238
    • /
    • 2017
  • 오늘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SNS에서 이모티콘 활용이 활성화되어있다. 이모티콘은 다양한 콘텐츠 접목한 디자인 시도는 임팩트있는 효과와 재미를 함께 공유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모티콘의 발전과정을 통해 변화한 표현 유형을 살펴본 후 현재 사용되는 이모티콘의 유형중 전통문화와 결합된 콘텐츠가 이모티콘으로 보여주는 특징과 영향을 분석한다.

온라인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동기: 조절초점 성향을 중심으로 (Motivation of Emoticon Usage in Online Messenger Service: Focusing on Regulatory Focus)

  • 서봉군;박도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01-118
    • /
    • 2020
  • The usage of emoticons used in the online environment continues to increase, and also the market for emoticons is growing rapidly. Emoticons go beyond simply conveying the meaning of a message and play various roles such as smooth communication, pursuit of fun, and intimacy. In this study, we first identify the factors that motivate users to use emoticons in an online messenger service, and then determine whether the derived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con usage. Furthermore, based on Regulatory Focus Theory, we will distinguish between the group of promotion focus and the group of prevention focus to see how the influence of motives on emoticon usage differs.

디지털 콘텐츠로서 개인형 메신저 콘텐츠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Personal Messenger Contents Design as Digital Contents)

  • 오문석;원종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83-192
    • /
    • 2010
  • Digital communities' spaces have been very popular through communication contents provide entertainment and usability. Emoticons provide simply emotional expressions and intension, so they weakly convey a realistic sense as they are designed by 2D graphics. However, 3D Avatars presented by 3D Computer Graphics make users interesting because of delivering senses of reality and three-dimension and amuse users because of representing their characters.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design examples of emoticons and avatars applying to personal messengers and propose the development of them. In addition, this paper research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and avatars for web and mobile phones, and suggests a strategy to usefully and properly apply emoticons and avatars to design.

효율적인 감정 전달을 위한 성별 기반 캐릭터형 이모티콘 디자인 (Design of Character Emoticon based on Sex for Efficient Emotion Communication)

  • 이현기;양장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41-1652
    • /
    • 2018
  • 본 연구는 성별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개발하기 위해 간사이 공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작하였다. 우선 여러 문헌을 통하여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 라인에 따라 이모티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소 분석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각기 성별에 따라 다르게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프로토타입에 반영하여, 성별을 고려한 이모티콘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총 3종류의 이모티콘에 대해서 감정표현도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부 이모티콘에서는 연구자의 의도와 같게 성별에 적합한 이모티콘이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수의 이모티콘에 있어서는 성별과 제작된 이모티콘간의 일관성 있는 특징을 찾기 어려웠다. 각 이모티콘의 상세 분석결과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디자인 가이드 라인의 상세함이 부족했다고 판단되며,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남녀 사용자의 감정 표현에 적합한 캐릭터형 이모티콘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이 만든 과학티콘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Emoticons Made by General and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 이지은;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3-8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이 만든 과학티콘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일반 초등학교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3명과 서울특별시 소재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5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이 만든 과학티콘의 개수와 유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이 주어진 30분 이내에 과학티콘을 더 많이 만들었다. 과학티콘의 유형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 사이에 비슷한 부분도 있었고,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이 과학티콘에 포함된 글의 '기술 형태'와 '생성 형태', 그림의 '표현 형태', 과학티콘에 포함된 '감정', '구성 수준', '과학 내용(교육과정 초과 여부, 과학 학문영역, 과학 지식 활용) 측면에서 더 다양한 유형의 과학티콘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이 만든 과학티콘에는 모두 오개념이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티콘 유형 및 과학티콘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n Types of Scientific Emoticon Made by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n Making Scientific Emoticons)

  • 정지연;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1-324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티콘 유형 및 과학티콘 만들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2개 과학영재교육 기관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받는 4~6학년 학생 71명을 대상으로 과학티콘 만들기 수업을 시행하고, 학생들이 만든 과학티콘을 그 수와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와 집단 면담을 통해 과학티콘 만들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티콘의 '형태'에 따른 유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영재 학생들은 글의 '기술 형태'에서는 '문답형'보다는 '단어형'이나 '문장형'이 더 많았고, '생성 형태'에서는 다른 유형보다 '발음 유희형'과 '혼합형'이 더 많았다. 그림의 '표현 형태'의 경우에는 '텍스트 유형'보다 '그래픽 유형'과 '애니메이션 유형'이 더 많았다. 과학티콘의 '정보'에 따른 유형 분석 결과에서는, '감정'의 경우 '긍정 감정'과 '부정 감정'이 고르게 나타났다. '구성 수준'에서는 기존의 과학티콘을 '일부 수정' 하거나 '전면 재구성'하기보다는 완전히 '새로 구성'한 경우가 더 많았다. '교육과정 초과 여부'에서는 해당 학년 이하보다 상위 학년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 지식을 활용한 경우가 더 많았다. '과학 학문 영역'에서는 '에너지', '생명', '지구와 우주', '융합' 영역보다 '물질' 영역의 과학 지식을 활용한 경우가 더 많았다. '과학 지식활용'에서는 '특성 활용형'과 '원리 활용형'보다 '명칭 활용형'이 더 많았다. 학생들은 과학티콘 만들기에 대해 과학 지식의 습득, 다양한 고차원적 사고력 향상, 과학 지식의 설명, 활용, 기억, 이해의 용이성, 재미와 즐거움 및 과학에 관한 관심과 흥미 유발, 감정 표현 기회 증가 등의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과학티콘 만들기 과정에서의 어려움, 시간 부족, 단순히 재미로 끝날 우려 등의 제한점도 일부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WECHAT 이모티콘 사용동기 및 인문학적 해석 -화(和)와 예(禮)를 중심으로- (Usage Motivation and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Emoticons in WeChat -Focused on Hwa(和) and Ye(禮)-)

  • 강샤오멍;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38-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사회의 영향이 강한 동북아시아 문화권에서 SNS 이모티콘 소통의 특징을 찾아 전통 인문사상을 기반으로 이 특징들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주류 SNS가 상이하므로, 구체적으로 중국의 위챗(Wechat)을 중심으로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동기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연구와 21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여 38개 사용동기 항목을 도출하고, 272명에게 이모티콘 이용동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챗의 이모티콘 사용동기로 6개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들을 감정 표현, 심미성, 유용성, 인상관리, 재미, 소속감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위챗 이모티콘 사용의 동기요인들 중 규범적 사회의 특징에 부합하는 '인상관리'와 '소속감' 요인을 중심으로 유가의 인문정신인 '화(和)'와 '예(禮)'사상이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이 되는지에 대해 해석하였다. '화(和)'는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여 소통 과정에 잘 어우러지고자 하는 '소속감' 요인에서 나타난다. '예(禮)'는 도덕적 윤리 규범을 강조하는 것으로, 도덕적 윤리 규범에 적합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관계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인상관리' 요인에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