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phon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2초

모바일 폰의 모션 인식에 의한 근거리 데이터 교환 (Near-field Data Exchange by Motion Recognition of mobile phone)

  • 황태원;서정희;박흥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00-801
    • /
    • 2017
  •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정보 통신 기술과 모바일 폰의 급속한 성장으로 응급 지원, 네비게이션, 위치, 교통 노선, 정보 수집,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응용에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는 좌표로 표시되고 지형과 관련이 있으며, 모바일 기반의 데이터 전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기반으로 근거리의 개별 사용자의 모바일 폰의 동작을 탐지하여 상대방의 연락처를 교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모바일 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추출하고 움직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위치와 시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측에서는 근거리에서 모바일 폰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연결을 시도한다. 사용자간에 연결이 성공하면 서버측으로부터 암호화된 연락처를 전송받는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핸드셋(Handset) 내의 처리를 최소화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U-LBS : 정밀 위치 데이터를 통한 차량 충돌 사고 위치 확인 시스템 (U-LBS : Precise Location Data Through a Car Crash Location System)

  • 문승진;이용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150-1156
    • /
    • 2009
  • The spread of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with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location-based services are more varied. In particular, where you recognize the location of objects such as people and things, and to provide valuable services based on ubiquitous, location-based services (Ubiquitous Location Based Services: u-LB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service. In this paper precise location data to the car crash through the location and offers related service system. In this paper the precise location tracking proposed by the concept of the Rail, road, to extract the location Data Matching Data and the current location is obtained. System used in GPS Packet an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and the collision time, the vehicle consists of NodeID is about. Using these data, a packet is to be created when the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vehicle will be sent to Gateway. Gateway to the packets that were sent from the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flict is that in an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Center for location information and let me know whether or not the conflict will be measured. Also, for those on the outside of an emergency such as a family related to the wireless terminal wireless (PDA, cell phone) is to let me know. Server get into the conflict that was configured to store information on the Database. Additionally, the proposed u-LBS system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안심 서비스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col for u-Safety Service)

  • 조병순;이재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2호
    • /
    • pp.117-128
    • /
    • 2013
  • u-안심서비스 시스템은 GPS가 내장된 이동통신 긴급호출단말기, 이동통신망, 안심서비스사업자, 중계시스템, CCTV관제센터를 운영하는 단체와 CCTV망을 통하여 연동하므로 긴급 호출 신호 발생 시 실시간으로 호출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또 해당위치에 있는 CCTV들을 관제하여 호출자를 추적하여, 구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보호자, 경찰서, 소방서, 병원, 구호단체 및 지자체 등에 SMS나 유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안심서비스 중계시스템의 프로토콜 표준화를 위해 새로운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설계한 u-안심서비스용 프로토콜(Protocol)을 실제 3GPP 및 3GPP2 이동 통신망에 적용했을 때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SIP기반 임베디드 IoT 안전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oT based in SIP)

  • 김삼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69-74
    • /
    • 2018
  • 국내, 외에서 개발된 IP, SIP 전관방송 시스템들은 윈도우나 리눅스 서버 환경에서 개발되어 서버-랙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구조이며, 소비전력이 많고, 시스템 장애 시 원격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광방송을 위해 사물인터넷 서비스 구조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와 IoT 게이트웨이를 IoT 서비스 서버에 연결하는 IoT 플랫폼을 구성하고, 이 구조를 이용하여 호 처리 및 방송 기능을 내장하며 공공장소의 비상통화 및 비상방송을 처리할 수 있는 임베디드 OS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 서버를 설계 했다. 본 서버는 표준 SIP를 지원하는 다양한 SIP기반 통화 및 방송장치와 상호호환되어 구내전화 및 구내방송시스템과 통합구축이 가능하다.

차량 충돌 사고에 대한 위치 확인 및 서비스 시스템 (Location for a Car Crash and The Service System)

  • 문승진;이용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5호
    • /
    • pp.381-388
    • /
    • 2009
  •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응용의 확산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형태는 더욱더 다양해 지고 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사람과 사물 같은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위치기반 서비스(Ubiquitous Location Based Services : u-LBS)가 중요한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차량 충돌 위치와 관련한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된 시스템에서 사용된 GPS Packet에는 위치에 대한 정보와 차량 충돌에 대한 충돌 세기와 시간, 차량에 대한 NodeI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패킷이 만들어 지게 되고 차량 간 충돌이 발생할 경우 차량에서 Gateway로 전송된다. Gateway에서 Server로 전송된 패킷은 충돌 여부를 판단하여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구급센터로 위치정보와 충돌측정여부에 대하여 알려주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위급상황에 대해서는 외부에 있는 가족 등의 관련된 사람들에게 무선으로 무선단말기(PDA, 휴대폰)를 통해 알려주게 된다. Server에 들어오게 되는 충돌 정보들은 Database에 저장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아울러, 제안한 u-LBS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능동적 Geo-Targeting을 위한 5G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및 시나리오 연구 (A Study on 5G-based Text Alert Service Requirements and Scenarios for Realizing Active Geo-Targeting)

  • 이태겸;강승우;김예원;오승희;조오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3-30
    • /
    • 2021
  •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전과 높은 휴대전화보급률 덕분에 접근성이 높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기술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COVID-19 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복잡성이 낮고 효율적이다. 하지만 수신지역이 불명확하여 불필요한 메시지의 반복수신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 분석을 통하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단말의 능동적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한 Active Geo-Targeting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 시나리오를 실현하기 위하여 새로 정의된 CIB(Control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고안한다.

응급상황을 대비한 무선의료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Healthcare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 박성철;문병현;임병현;황범석;최상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25-130
    • /
    • 2009
  • 현대 사회에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독거노인들은 지속적인 관심과 사회적인 책임이 요구 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건강상태 (온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족, 병원의 담당의사에게 휴대전화를 통하여 통보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DB화하는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조도센서와 고휘도 LED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혈류를 감지를 통해 맥박수와 비접촉식 은도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체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을 구현하여 LCD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측정값을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버컴퓨터로 측정값을 전송하여 측정된 간을 관측하고 DB화하여 측정된 값, 평균, 측정된 시간을 주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몸에 이상이 있을 경우 보호자, 의사 및 119구급대에 문자를 전송하여 위급 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oT 기반 도시철도 재난 예지 및 경보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Architecture Design for Disaster Prediction of Urban Railway and Warning System (UR-DPWS) based on IoT)

  • 조응영;이중윤;이주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63-174
    • /
    • 2024
  • 현재 도시철도 운용기관은 터널 내에서의 비상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운용 중인 비상전화를 다양한 부가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IP 기반의 "선로변 통합 인터페이스 통신설비"로 개량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기반으로 터널 내 이상상황 감지를 위한 IoT 센서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 수집된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달하여 재난 상황을 사전에 예지하는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에 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정의하며, 서비스 모델의 제시를 통해 재난대응 시나리오 모델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철도 재난에 대한 대응 관점을 사후 대처에서 사전 예방으로 전환하여 도시철도 안전운행 확보 및 중대 산업재해 예방을 도모한다.

Implementation of network-assisted Software GPS Receiver based on PC for Snapshot Navigation Solution

  • Kim, Whi;Hong, Jin-Seok;Kim, Sang-Hyun;Jee, Gyu-In;Park, Chan-Goo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14.4-114
    • /
    • 2001
  • Recently, variety services are more and more developed due to supply of PDA, cellular phone, and etc. Also, a serv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re very helpful in traffic, shopping, and emergency. Thus the user position is positively necessary for these services. One of the latest applications in GPS is the E911 call service for wireless phones. In this case, current GPS Navigation accuracy meets the FCC requirements but the hardwar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GPS is issued for implementation. And, some case of applications need to snapshot location solution with fast TTFF(Time-To-Fist-Fix) than continuous location solution. The software GPS receiver could be the solution ...

  • PDF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 기능에 대한 규제 정비 방향 분석 (Analysis of regulatory development direction for automatic dialing funtion of telephone)

  • 조평동;최문환;김봉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01-804
    • /
    • 2013
  •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 기능은 전화기에서 개별 전화번호를 자동 발신하여 비상시 긴급 전화 또는 홍보와 안내 등의 통신을 지원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자동 다이얼링 관련 규정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정비방향에 대해서도 같이 논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