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ergency Action Plan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Analysis of Hydraulic Effect due to the Outflow of Paldang Dam at Hangang Parks (팔당댐 방류량에 따른 한강 시민공원의 수리학적 영향 분석)

  • Lee, Jae-Joon;Kwak, Chang-Jae;Lee, S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6
    • /
    • pp.101-111
    • /
    • 2008
  • Hangang Parks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source of various Civilian activities by providing a natural space near Han River ever since it was developed. Due to the local-heavy rain caused by recent climate change, the Hangang Parks tends to be easily overflowed. Evacuation of the park in emergency and its controlled system should be made for the sake of Civilian's safety. In this study, various basic data and several parameters were analyzed to simulate the hydraulic effect of Hangang Parks based on the outflow in $P1/4{\div}1/4^3$ Dam. Rising effects of flood water level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numerical hydraulic models. Relationships of water level and travel time of flood between key station and centeral part of each park were also identified. It can be used to forecast the future flood water level of each individual park in Hangang Parks. Obtained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rational plan of usage, management, citizen's safety, and emergency action plan of the Hangang Parks as the flood is occurred from the outflow of Paldang dam.

Experimental Study of Collapse Delay Effect of Riprap on Dam Slope (사력댐 사석 보호공의 붕괴 지연 효과에 대한 실험 연구)

  • Jeong, Seokil;Kim, Seung Wook;Kim, Hong Taek;Lee, Seung O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1 no.1
    • /
    • pp.31-38
    • /
    • 2018
  • The 99.1% of small dam and most of the levees in Korea are soil dam which can be constructed with lower cost and less effort compared with ones made of concrete. However, they are so vulnerable to overflow. Sudden collapses of these strucrues lead to increase flow rate rapidly, which may cause catastrophic problems in downstream region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collapse delay effect of riprap that was laid on slope of soil levee was carried out. A prismatic rectangular open channel was used and three different sizes of the riprap were installed on slope of a scaled earth dam. A new formula for the collapse time of the levee with the installation of riprap was presented, using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dimensional analysis. In this process, an unsteady flow condition was considered to derive the deviation time of the riprap. And addition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reinforcement of riprap, and it was found that the reinforcement of riprap was more effective than twice sizing of intial riprap. If the collapse time is delayed, EAP (Emergency Action Plan) and forecasting can greatly reduce the degree of flood damage. Also, it will be meaningful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for river design.

Characteristics of Tsunamis and Mitigation Planning (지진해일의 특성 및 방재대책)

  • Cho, Yong-Sik;Ha, Tae-M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3 no.3
    • /
    • pp.295-300
    • /
    • 2010
  • Recently, many tsunamis triggered by impulsive undersea ground motions occurred in subduction zones around the Pacific Ocean area including the East Sea surrounded by Korea, Japan and Russia. The wave height of a tsunami may be in the order of several meters, while the wavelength can be up to 1,000 km in the ocean, where the average water depth is about 4 km. A tsunami could cause a severe coastal flooding and property damage not only at neighboring countries but also at distant countries. A fundamental and economic way to mitigate unusual tsunami attacks is to construct tsunami hazard maps along coastal areas vulnerable to tsunami flooding. These map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historical tsunami events and projected scenarios. The map could be used to make evacuation plans in the event of a real tsunami assault.

Seismic vulnerability of old confined masonry buildings in Osijek, Croatia

  • Hadzima-Nyarko, Marijana;Pavica, Gordana;Lesic, Marija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v.11 no.4
    • /
    • pp.629-648
    • /
    • 2016
  • This paper deals with 111 buildings built between 1962 and 1987, from various parts of the city of Osijek, for which, through the collection of documentation, a database is creat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first steps in assessing seismic risk in Osijek applying method based on vulnerability index. This index uses collected information of parameters of the building: the structural system, the construction year, plan, the height, i.e., the number of stories, the type of foundation, th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elements, the type and the quality of main construction material, the position in the block and built-up area. According to this method defining five damage states, the action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macroseismic intensity and the seismic quality of the buildings by means of a vulnerability index. The value of the vulnerability index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ructural systems, quality of construction, etc., by introducing behavior and regional modifiers based on expert judgments. Since there is no available data of damaged buildings under earthquake loading in our country, we will propose behavior modifiers based on values suggested by earlier works and on judgment based on available project documentation of the considered buildings. Depending on the proposed modifiers,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existing buildings in the city of Osijek will be assessed. The resulting vulnerability of the considered residential buildings provides necessary insight for emergency planning and for identification of critical objects vulnerable to seismic loading.

Applying Methodology of Physical-Based Dam Breach Model (물리기반 댐 붕괴 모형 적용 방안)

  • Kim, Keuk-Soo;Kim, Ji-Sung;Kim, Yong-Jeon;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8-428
    • /
    • 2011
  • 댐은 우리사회에 다양한 이익을 제공하는 반면 과거의 댐 붕괴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붕괴로 인한 피해 규모는 막대하다. 세계 각국에서는 기존 댐들에 대한 잠재적 붕괴에 대비하기 위해 비상대처계획(Emergency Action Plan, EAP)과 같은 대책을 수립하여 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댐붕괴 모델링은 크게 댐 결괴부에 대한 예측과정과 댐 붕괴로 인한 하류부 홍수추적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결괴부 예측과정은 댐붕괴로 인한 저수지 유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며 하류부 영향지역의 평가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댐붕괴 예측모형은 결괴부에 대한 예측에 따라 매개변수 기반 모형과 물리기반 모형으로 분류된다. 매개변수 기반모형은 결괴형성과정을 단순 시간에 의한 함수로 고려하고 있으며 결괴부를 통한 흐름은 위어흐름으로 가정하고 있다. 이 모형은 현재 댐 붕괴 실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모형은 FLDWAV/ DAMBRK 모형, HEC-RAS 모형 등이 있다. 물리기반 모형은 댐 붕괴진행 과정의 상세한 이해를 위해 시작되었으며 결괴부 흐름상황, 제체 침식, 제체가 불안정해지는 과정을 수리실험과 수리학, 토질역학, 구조역학 등의 이론을 통합하여 예측하는 기법으로 댐붕괴 과정을 좀 더 현실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기존 붕괴된 댐들에 대한 붕괴 원인 및 진행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최근 개발된 물리기반 댐 붕괴 모형은 HR-BREACH 모형, WINDAM 모형, FIREBIRD 모형 등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물리기반 댐 붕괴 모형들을 검토하고 현재 USDA, ARS에서 개발 중에 있는 WINDAM 모형을 이용하여 물리기반 모형의 수행에 요구되는 입력변수, 수행과정, 결과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댐 붕괴 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국내에서 물리기반 댐 붕괴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댐 붕괴 실무로의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of Small Scale Reservoirs for Emergency Action Plan(EAP) Establishment (소규모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선정지표 개발)

  • Park, Ki-Chan;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4-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상이변의 영향 및 지진 발생과 저수지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의한 재해 위험성을 경감하고자 댐 저수지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EAP 수립 대상여부를 판단할 선정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EAP 수립지침 검토, 과거 붕괴사례 분석, 관련분야 선행 연구 등을 분석하여 저수용량, 제체높이, 경과연수, 호우인자 및 지진인자를 포함하는 5개 선정지표를 정량화 하여 제시하므로 실무적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선정지표는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에 적용하기에 앞서 각 선정 지표별 저수지 붕괴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단일지표 및 지표간 중첩도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지진인자, 호우인자, 지진 및 호우인자, 경과연수 지표순 순으로 저수지 붕괴와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어,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연관되는 주요 지표를 지진인자, 호우인자, 경과연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지표간의 중첩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적용해 본 결과 호우인자+지진인자가 가장 높은 중첩도를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EAP 수립 대상 선정지표 중 주요 지표인 지진인자, 호우인자, 경과연수를 대상으로 2개의 지표가 중첩될 경우와 3개의 지표가 중첩될 경우를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과 검토그룹의 각각 분류한 후 이를 재해위험 저수지(MOIS, 2016)에 적용하여 보았다. 그 결과,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38.5%를 차지하였고, 검토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11.9%를 차지하였다.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에 해당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전문 시설관리자에 의한 주기적 점검 및 계측기 설치를 통한 모니터링 실시 등으로 세심한 시설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EAP 수립 대상 검토그룹에 해당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제체 하류부 구간의 주민 거주 현황, 경작지, 축사 등 재산 현황 및 EAP 수립에 소요되는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수지 관리기관에서 최종적으로 EAP 수립 여부를 결정하여 잠재적인 피해 발생을 사전에 저감시켜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EAP 수립 기준의 보완책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termination of Extreme Flood Definition and Establishment of Extreme Flood Forecasting System(EFFS) (극한홍수 정의 및 극한홍수예보시스템 구축)

  • Kim, Cho-Rong;Kim, C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6-376
    • /
    • 2019
  • 최근 수공시설물의 설계규모를 넘어서는 극한 강우사상이 발생하여 치수 목적의 수리구조물이 파괴되는 등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지구온난화, 엘리뇨, 라니냐 등 지구 환경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홍수 발생강도(magnitude), 빈도(frequency), 피해규모 등의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2011년 태국 대홍수, 2013년 태풍 하이옌). 극한홍수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이 부재한 상황으로 극한홍수 개념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 태풍위원회 회원국의 실제 현업에서 홍수관리 및 치수정책 수립시 활용 가능한 극한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극한홍수정의를 수문학적 측면과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정의, 일반적 정의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기존에 자주 발생하지 않던 홍수로 홍수량적으로, 침수시간적으로 지금까지는 경험하지 못한 홍수이며, 수문학적으로 500년 빈도 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량을 말한다. (2)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설계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량을 말한다. (3) 홍수량 및 홍수지속기간 측면에서 자주 경험하지 못했던 홍수로 치명적인 인명, 재산피해를 야기한 홍수량을 말한다. 정의된 극한홍수 대응을 위한 극한홍수예보시스템은 가장 단순한 수위법(Stage Method)부터 집중형 수문모형을 이용하는 LEVEL2, 레이더강우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예보를 구축한 LEVEL3, 댐, 저수지 등의 극한상황을 가정하여 극한상황에 대한 수문학적 분석과 Emergency Action Plan (EAP) 수립까지 수행 가능한 LEVEL4 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극한홍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개념 정립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용데이터와 시스템 운영 측면에서의 실무역량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활용 가능한 총 4단계 구성의 극한홍수예보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다.

  • PDF

An One-stop mobile support system for the expression and spread of earthquake information based on evaluation (평가 기반 지진 정보 표출 및 확산을 위한 원스톱 모바일 지원 확산 시스템)

  • Lee, Yoonlae;Lee, Yunkyung;Jang, Yeonyi;Kim, Hyunah;Park, Minja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4
    • /
    • pp.43-50
    • /
    • 2021
  • As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in some regions including Pohang City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countermeasures against earthquakes in Korea is demanded from various aspects. Liquefaction occurred after the earthquake, and local residents' anxiety increased due to the lack of preparation for and coping with the earthquake. In order to cope with these phenomena and relieve the anxiety of local residents, we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arthquake response system and come up with a method to solve them. Therefore, we propose, implement, and prove the possibility of a one-stop mobile support diffusion system capable of expressing and spreading evaluation-based earthquake information that can actively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A Comparative Study on 1D and 2D Hydraulic Analysis Model for Emergency Action Plan (비상대처계획 활용을 위한 1차원 및 2차원 수리해석모형의 비교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Ji Sung;Lee, Young Gon;Kwak, Jae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0-350
    • /
    • 2016
  • 댐 및 저수지 시설물의 붕괴에 대비하기 위한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은 대규모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비구조적 대책중의 하나이다. 특히 대규모 댐붕괴로 인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댐 시설물의 관리주체 및 유관기관은 발생가능한 비상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조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해야 한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댐 붕괴 위험도를 파악하고, 발생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따른 댐 하류부의 피해정도를 예측하는 일이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시 작성되는 홍수범람 지도는 댐 붕괴사고가 발생했을 때 주민대피계획 및 위험지역 교통통제, 응급의료활동 및 생필품 공급 등,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1차원 또는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범람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전체적인 비상대처 계획도 작성을 위해 댐 붕괴로 인한 홍수파 해석이 가능한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주로 이용하지만, 홍수파가 전파되는 하류부의 지형학적 특성상 2차원 해석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처계획시 동시에 활용되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과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고, 시범지역의 가상 댐 붕괴사상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각 모형의 장단점과 적용성에 대한 비교 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동강유역내 위치한 다목적댐에 대해 1차원 및 2차원 붕괴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여러 시나리오에 대해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 각각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두 모형의 모의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 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홍수범람지도 작성 시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의 장점을 각각 반영할 수 있도록 홍수범람지도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작성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pplicability Evaluation of One- and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s to Establish an Emergency Action Plan for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저수지 EAP 수립을 위한 1·2차원 홍수범람해석모형의 적용성 평가)

  • Lee, Dae Eop;Kim, Jae Young;Lee, Gi Ha;Jung, Sung Ho;Yeon, Mi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1-351
    • /
    • 2021
  • 저수지에 대한 비상대처계획수립은 최근 기상이변 등에 따른 대규모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도처에서 대규모 지진 등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속출함에 따라 지진 및 이상홍수에 대한 저수지의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고 저수지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천재지변 또는 예상치 못한 대규모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비상상황의 등급 및 위험수준을 체계적으로 판단하고 비상상황 가상 시나리오별 체계적 행동요령 및 대처계획을 수립하여 저수지 붕괴에 따른 대규모 홍수피해 예상지역 주민들의 신속한 대응으로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행 한국농어촌공사 및 지자체에서 수립하고 있는 30만 톤 이상 저수지에 대한 1차원 모형 기반의 EAP수립은 침수구역을 산정할 때 수치지도에 의한 단일 침수심 분석으로 실제 침수구역과는 많은 오류가 나타난다. 이는 침수구역 부정확에 따른 피해복구액 산정이 과다로 책정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비상대처계획 수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댐 붕괴에 대응하기 위한 EAP 수립 시 기본이 되는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고 1차원 및 2차원 모형의 결과검토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비상대처계획의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천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가능최대강수량 조건 하에서 가능최대홍수량을 산정하고 DAMBRK 모형을 이용하여 댐 붕괴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 구성 및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후 댐 붕괴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모형을 이용한 1차원 홍수범람해석과 FLUMEN(FLUvial Modeling ENgine)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해석에 적용 후 각 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