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검색결과 3,197건 처리시간 0.037초

Role of Temperature and Gibberellic Acid in Stimulating Embryo Elongation and Radicle Emergence of Hepatica asiatica Nakai Seeds

  • Chon, Young Shin;Jeong, Kyeong Jin;Lee, Sang Woo;Yun, Jae Gil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331-339
    • /
    • 2015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embryo growth and radicle emergence of Hepatica asiatica Nakai, a perennial herb native to Korea. Seed viability, embryo growth, and radicle emergence were monitored in seeds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s (10, 15, $20^{\circ}C$ and $30{\rightarrow}15^{\circ}C$). Laboratory experiments at various temperatures revealed that (1) embryo elongation occurred effectively between 10 and $15^{\circ}C$; (2) radicle emergence occurred only at $15^{\circ}C$; (3) a warm stratification (2-8 weeks at $30^{\circ}C$) was not required for embryo elongation and radicle emergence, and led to inhibition of radicle emergence; (4) application of gibberellic acid ($GA_3$) promoted embryo growth, but not radicle emerge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 asiatica seeds have two separate mechanisms to overcome dormancy, either by $GA_3$ (morphological dormancy) or temperature (physiological dormancy), and warm stratification is not involved in breaking radicle dormanc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 asiatica seeds hav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담배의 엽 발달 및 노화과정 중 이화학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Leaf Development and Senescence of Tobacco Plant)

  • 이상각;장병화;석영선;배길관;노재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8-144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obacco leaf during the growth perio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chlorophyll, sugar, lipid and mineral contents in tobacco plant. Leaf length and width have been fully developed at 25 days after leaf emergence. Dry weight was rapidly increased between 10 and 15 days after leaf emergence and reached the highest at 30 days. Crude lipid content, palmitic acid, and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 were increased with progressing senescence, while unsaturated fatty acid including linolenic acid was decreased as the senescence was advanced. The total nitrogen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IS days after leaf emergence. On the other hand, the total sugar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5 days after leaf emergence and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decreased with leaf development and increased at the end of senescence. The content of chlorophyll showed the highest value at 15 days after leaf emergence and began to decrease at 30 days after leaf emergence. The contents of p, Cu, Zn, and Fe in tobacco leaves were decreased by the end of senescence after leaf emergence but those of Ca, Mg, and Mn in leaves were increased. Key words : Nicotiana tabacum chlorophyll, fatty acid, senescence.

  • PDF

Echinochloa glabrescens, Monochoria vaginalis 및 Cyperus difformis 발아(發芽)에 미치는 비료시용(肥料施用)과 차광(遮光)의 영향(影響) (Effect of Fertilizer and Shading on Emergence of Echinochloa glabrescens, Monochoria vaginalis and Cyperus difformis)

  • 김종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36
    • /
    • 1988
  • Edinochloa glabrescens, Monochoria vaginalis, 및 Cyperus difformis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비료시용(肥料施用)의 영향(影響)은 거의 없었다. 차광(遮光)은 E. glabrescens의 발아(發芽)를 감소(減少)시켰지만, 67%까지의 차광(遮光)은 M. vaginalis와 C. difformis의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키는 경향이었다. E. glabrescens의 최고발아점(最高發芽點)은 무차광(無遮光), 31% 및 52% 차광조건하(遮光條件下)에서는 파종(播種) 후(後) 2 주에 나타났으나 67% 차광조건하(遮光條件下)에서는 뚜렷치 않았다. C. difformis의 최고발아점(最高發芽點)은 모든 차광조건(遮光條件)에서 파종(播種) 후(後) 6 주에서 8 주 사이에 나타났다.

  • PDF

오리엔탈 백합의 순화재배시 자구크기, 저온처리, 배양기간이 경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let size,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time of incubation on stem emergence during of Lilium oriental hybrids.)

  • 박노복;홍성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79-84
    • /
    • 2001
  • 오리엔탈 나리의 기내 인편배양 자구의 경출엽 유기를 위한 제요인 구명으로 자구의 크기, 저온처리기간, 기내 배양기간에 따른 경출현 발생과 자구비대를 실험한 결과 대자구가 중, 소자구보다 경출현이 좋았으며 구근비대도 양호했다. 'Acapulco' 대자구에서 95%로 가장 높았고 'Casablanca' 품종의 소자구에서는 전혀 경출현이 되지 않았다.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는 최소한 9주이상 소요되었으며 저온처리 6주에서는 경출엽현이 낮고 자구의 비대도 저조하였다.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출현 발생이 높았고 자구중도 많이 나갔다.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of Ammannia coccinea 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 Shen, Xiangri;Pyon, Jong-Yeong;Kim, Do-Soon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93
    • /
    • 2010
  •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미국좀부처꽃의 발아 및 출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물생장상에서 페트리 디쉬와 포트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35/30^{\circ}C$와 0 bar의 삼투포텐셜 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잘되었으나 온도가 $15^{\circ}C$ 이하나 $40^{\circ}C$ 이상, 삼투포텐셜이 -2.0 bar 이하와 암조건에서 발아되지 않았다. 출아의 최적온도는 $35/30^{\circ}C$로 판단되며 이 조건에서 파종 후 7일차에 출아가 개시되어 10일차에 최대 출아율에 도달하였으며, 온도가 $15/10^{\circ}C$ 이하나 $40/35^{\circ}C$ 이상 조건에서는 출아가 안 되거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파종심도의 증가에 따라 출아율은 현저히 감소하여 3 cm 이상의 파종심도에서는 출아하지 않았다. 비선형회귀분석을 한 결과 파종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미국좀부처꽃의 누적 발아 및 출아는 Gompertz 모델로 잘 설명되었으며 삼투포텐셜에 따른 발아와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는 logistic 모델로 잘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좀부처꽃은 광발아성으로 발아 및 출아 가능 온도는 $15^{\circ}C$ 이상, 삼투포텐셜은 -2.0bar 이상, 토양심도는 3 cm 이하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종자의 발아시험방법과 포장출현과의 관계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Seed Germination Testing Methods to the Field Emergence.)

  • 전우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15
    • /
    • 1989
  • In oder to find out the effective seed germination testing method to the field emergenc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 1. TTC testing results were higher percentage than any other germination testing methods . 2. On the corn seed , field emergen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germinator test, TTC test and AA test hut cold test was lower percentage . 3. Field emergence , on the soybean seeds was highly correlated with AA test and cold test but germinator test and TTC test was higher percentage .

  • PDF

Effect of Seeding Depth and of Soil Texture on Seeding Emergence and Root Shape of American Ginseng

  • Li, Thomas S.C.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15-118
    • /
    • 1997
  • Stratified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ilium L.) seeds were planted in a shaded greenhouse at four depths and in four different soil types to observe effects on emergence rate and root size. Seeding depth affected seedling emergence rates and the number of days required to complete emergence. The shape of the roots was affected by the texture of soil, especially percentage of sand.

  • PDF

토양온도(土壤溫度)가 올방개, 가래 및 올미의 출아(出芽)와 초기생장(初期生長)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Temperatures 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Eleocharis kuroguwai, Potamogeton distinctus, and Sagittaria pygmaea)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5-129
    • /
    • 1984
  • 본(本) 실험(實驗)은 올방개, 가래, 율미를 공시(供試)하여 토양온도구배장치(土壤溫度勾配裝置)(Daiki-830)를 이용(利用)하여 토양온도(土壤溫度)를 10, 14, 18, 22, 26, $30^{\circ}C$로 처리(處理)하여 출아상태(出芽狀態)와 초기생장(初期生長)을 조사(調査)하였다. 1. 올방개는 토양온도(土壤溫度) $14^{\circ}C$ 이상(以上)에서 출아(出芽)가 시작 되었으며 $26^{\circ}C$에서 출아율(出芽率)이 가장 높았고 $30^{\circ}C$는 발아율(發芽率)이 다소 감소(減少)되었다. 2. 가래의 출아율(出芽率)은 토양온도(土壤溫度) $10^{\circ}C$에서 매우 낮았고 $14^{\circ}C$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 출아율(出芽率)이 높았으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출아속도(出芽速度)가 빨랐다. 3. 올미의 출아율(出芽率)은 파종후(播種後) 10일(日)까지 토양온도(土壤溫度)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모든 토양온도(土壤溫度)에서 최종출아율(最終出芽率)은 100%를 나타내었다. 4. 토양온도(土壤溫度)가 올라감에 따라 모든 공시(供試) 초종(草種)에서 80%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收)는 크게 단축(短縮)되었으며 올미는 비교적 짧았으나 가래는 긴편이었고 올방개는 가장 길었다. 5. 출아(出芽)까지의 적산토양온도(積算土壤溫度)는 올방개가 가장 높고 가래, 올미 순(順)으로 낮았다. 6. 올방개, 가래, 올미의 초기생장(初期生長) 최적온도(最適溫度)는 올방개 $26^{\circ}C$, 가래 $18\sim22^{\circ}C$, 올미는 $18\sim26^{\circ}C$이었다.

  • PDF

솔껍질깍지벌레 성충의 우화습성 (Adult Eclosion and Emergence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coidae: Margarodidae))

  • 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6-93
    • /
    • 1991
  • 솔껍질깍지벌레 성충의 탈피(우화 : eclosin) 및 우화후의 탈출 (emergence)습성이 실내조건에서 조사되었다. 수컷성충의 탈피는 일종 특정한 시간에 국한되지 않으며 갓 탈히한 성충은 실온에서 정지성충(pre-emergence adult)으로 0.5~2.5일 경화후 고치로부터 탈출하였다. 대부분의 수컷성충은 일조후 1시간 이내에 탈출하였으며 이러한 탈출현상은 광도가 높은 경우 더욱 빨리 진행되었다. 암텃성충은 우화후 곧 탈피장소에서 이동하며 대부분 일조후 3시간이내에 우화하였다. 수컷이 우화후 고치속에 일정기간 정치하여 있는 것은 갓 우화한 성충의 생리적 성숙을 돕고 또한 번식활동을 일중 특정한 시간에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 PDF

목초의 출아에 미치는 온도와 토양수분의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on Emergence of Forage Grasses)

  • 윤세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4
    • /
    • 1998
  • The present study elucidates of the effect of less water stres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 on the emergence of forage grasses. Water condition was controlled to 30% and 60% by water content by wet soil. The mean temperature is conducted by $10^{\circ}C$ (out side) and $20^{\circ}C$ (glass ho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ean emergence time and emergence day after sowing of grass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water content of soil and temperature. It was suggested that temperature was very important for the light competition with weed in the early growth of grass. 2. Accumulatied emergence of grasses was nat afected by temperature, but it was sensitively affected by water content of s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