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ryonic germ cell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2초

마우스 수정란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Telomeric DNA의 양적 분석과 Telomerase 활성도 분석 (Analysis of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o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ic Cells)

  • 강민영;한명숙;이상찬;김종흥;손시환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05
  • 텔로미어란 염색체 말단부에 (TTAGGG)n의 반복 염기서열이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를 말하는데 이의 역할은 염색체의 안정성에 본질적으로 작용하여 세포의 노화, 사멸 및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텔로머레이스는 telomeric DNA 합성에 직접 관여하는 ribonucleoprotein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 분포 양상을 제시하고, 초기 배 발생단계별 수정란의 텔로미어 함량과 이들 수정란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분석에는 마우스의 섬유아세포, 생식세포, 정자, 난자 및 1세포기, 2세포기, 4세포기, 8세포기, 상실배와 배반포배의 각 단계별 수정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은 human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 방법을 이용하였고,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TRAP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는 성 염색체를 포함한 모든 염색체의 앙 말단부에 분포되어 있고, 염색체별 다소의 양적 차이를 보이나 대부분의 염색체에서 q-arm 말단이 p-arm 말단에 비해 높은 텔로미어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Q-FISH를 이용한 마우스 초기 배 발생단계별 수정란의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에서 수정 직후 1세포기에서부터 상실배까지 거의 비슷한 텔로미어 함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배반포기에서 월등히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RAP 분석을 이용한 초기배아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초기 배 발생 모든 단계에서 이의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실배 및 배반포기에서 점진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마우스의 초기 배 분열단계의 각 세포들에 있어 텔로미어의 함유율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유동물의 초기 배자에 있어 텔로미어의 함유율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배 발생 및 배자의 세포 분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은 발생학적 연구를 위한 또 다른 좋은 자료로 생각된다.

DPPA2 Protein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Metastasis

  • Shabestarian, Hoda;Ghodsi, Mohammad;Mallak, Afsaneh Javdani;Jafarian, Amir Hossein;Montazer, Mehdi;Forghanifard, Mohammad Mah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461-8465
    • /
    • 2016
  • Gastric cancer (GC) as the fourth most common cause of malignancies shows high rate of morbidity appropriating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Developmental pluripotency associated-2 (DPPA2), cancer-testis antigen (CT100), is commonly expressed only in the human germ line and pluripotent embryonic cells but it is also present in a significant subset of malignant tumor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DPPA2 expression is recalled in GC, our aim in this study was to elucidate DPPA2 protein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Fifty five GC tumor and their related margin normal tissues were recruited to evaluate DPPA2 protein expression and its probable associations with different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patients. DPPA2 was overexpressed in GC cases compared with normal tissues (P < .005). While DPPA2 expression was detected in all GC samples, its high expression was found in 23 of 55 tumor tissues (41.8%). Interestingly, 50 of 55 normal samples (90.9%) were negative for DPPA2 protein expression and remained 5 samples showed very low expression of DPPA2. DPPA2 protein expression in G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p = 0.012). The clinical relevance of DPPA2 in GC illustrated that high level expression of this protein was associ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supporting this hypothesis that alteration in DPPA2 was associated with aggressiveness of gastric cancer and may be an early event in progression of the disease. DPPA2 may be introduced as a new marker for invasive and metastatic GCs.

소아외과 환자에서 기형종의 치료 결과 (Outcome of the Teratoma in Pediatric Surgical Patients)

  • 이호균;박경섭;최수진나;김신곤;정상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9권2호
    • /
    • pp.94-97
    • /
    • 2003
  • The teratoma is a unique complex neoplasm an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pediatric tumors originated from the extragonadal germ cells. Mature teratoma is composed of mature differentiated tissues, while immature teratoma always contains embryonic tissues of variable degrees of immaturity, especially in the neuroepithelial elements. Diagnosis of teratoma is relatively easy by conventional radiologic study, but the immaturity can be identified only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Between January 1993 to December 2002, 63 cases of teratoma were operated and analysed retrospectively at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emale to male ratio was about 3:1 and ag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even. Among 63 cases, gonadal teratoma was the most common (52.4%), followed by sacrococcygeal (25.4%), retroperitoneal (9.5%) and mediastinal teratoma (9.5%). Fifty-six cases were mature teratomas and seven were immature teratomas. Alpha-fetoprotein (AFP) was elevated in 4 of 6 immature cases, but in 2 of 51 mature ones Elevated AFP progressively returned to normal range by 1 month after operation in all. Complete excision of the mass was performed, and major complication was not noticed. In five immature cases, PEB chemotherapy (Cisplatin, Etoposide, Bleomycin) was performed. Two of 2 cases in histological grade II were well tolerated to the aggressive chemotherapy. One of three cases in grade III expired due to severe bone marrow depression, and two of them expired by tumor recurrences. In conclusion, immature teratoma in histological grade III showed high potentiality of recurrence. Therefore, postoperative chemotherapy has to be applied to the high graded immature tumors.

  • PDF

초기발생 동안 양서류 난에 미세주입된 $\beta$-galactosid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beta$-Galactosidase Gene Microinjected into Xenopus Egg During Early Development)

  • 차병직;정해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5-372
    • /
    • 1990
  • Transgenic 양서류를 만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bacterial $\beta$-galactosidase 유전자를 cytopalsmic actin promoter에 연결시킨 plasmid를 xenopus 수정란에 미세주입하여 외부 DN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beta$-gal DNA를 20nl당 1ng에서 2ng의 농도로 미세주입하는 경우, 이 농도는 배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전자 산물인 $\beta$-galactosidase는 양서류의 모든 배엽성 세포에서 발현 가능하고, 정상적인 활성을 나타내므로 외부 DNA의 발현여부를 in situ 상태에서 판명할 수 있었다. 주입된 외부 DNA는 낭배기 시기에 최초로 발현되고, 적어도 올챙이 시기까지 유지 및 발현 가능하며, 초기 발생동안 extrachromosomal 상태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현의 정도는 주입된 개체는 물론 매 실험마다 차이를 보였고, 또한 기질인 X-Gal에 반응하는 부위가 전체 배에 분포하는 겅우는 거의 없으며, 일정 부위에 한정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세포막을 통해서 DNA가 다른 할구로 이동하지 못하는 사실에 비추어 미세주입된 DNA가 난할시 각 할구로 균등하게 분포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나뉘어 들어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밀도 리포단백질 수용체 관련 단백질 5(LRP5) 유전자 적중 생쥐의 개발 (Development of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 5 (LRP5) Gene Targeted Mouse)

  • 박효영;김철민;이상미;정영희;문승주;강만종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19-24
    • /
    • 2005
  • 저밀도 리포단백질 수용체 관련 단백질 5(LRP5)는 간과 췌장을 포함하여 많은 조직에서 발현하며 아포리포단백질 E와 결합한다. 이와 같은 LRP5 유전자의 체내 기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LRP5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를 개발하였다. 먼지 LRP5 genomic DNA는 TT2 ES 세포로부터 분리하였으며 LRP5 유전자의 엑손 18에 neo 유전자를 삽입한 vector를 구축하고 TT2 ES 세포에 도입하였다. 178개의 G418 내성을 보인 세포 중 상동유전자 재조합에 의하여 targeting vector가 LRP5 유전자 위치에 삽입된 clone은 3개였다. 키메라 생쥐는 상실배기 수정을 ES 세포와 응집시켜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키메라 생쥐는 C57BL/6 생쥐와 교미를 유도하여 heterozygous를 얻었다. 또한 이들 heterozygous간의 교배에 의하여 LRP5 유전자 결손 생쥐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생쥐는 LRP5 유전자의 체내 기능연구에 있어서 모델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생쥐 초기 배아에서 분리한 할구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Establishment of Embryonic Stem Cell Line from Isolated Blastomeres from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 임천규;성지혜;최혜원;조재원;신미라;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1호
    • /
    • pp.25-33
    • /
    • 2006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착상전 생쥐 배아에서 분리한 할구를 이용하여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고 그 효용성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생쥐 (C57BL/6J)의 2- 또는 4-세포기 배아에서 투명대를 제거하고 할구를 분리하여 지지세포와 공동배양한 후 할구로부터 형성된 내세포괴를 분리하여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계대배양 중인 세포주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와 표지 인자 및 관련 유전자 발현을 세포면역화학적 염색과 RT-PCR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계대배양 중인 배아줄기 세포주의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전체적으로 2-세포기에서 분리한 할구와 4-세포기에서 분리한 할구에서 각각 3.0% (1/33)와 4.0% (1/25)의 효율로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할 수 있었다. 이는 4-세포기의 배아를 사용하였을 때의 16.7% (5/30)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분리된 할구로부터 확립된 배아줄기세포주에서 SSEA-l 과 Oct-4의 발현을 관찰하였고, 이들에서 분화된 배아체에서 삼배엽성 분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착상전 초기 배아에서 분리한 할구를 이용하여 배이줄기세포를 확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관련 연구를 통해 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배아의 파괴 또는 발생 능력에 손상을 주지 않고 새로운 인간 배아줄기세포주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실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한 Human Thrombopoietin (hTPO) 형질전환 닭의 생산 (Production of hTPO Transgenic Chickens using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

  • 권모선;구본철;김도향;김민지;김태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7-186
    • /
    • 2009
  • 형질전환 동물에 있어서 외래 유전자의 조절되지 않은 과다 발현은 생리적인 부작용이나 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래 유전자 발현 조절 system인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Tet system)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Tet system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은 system 자체의 구성 요소로 인한 미미한 leaky 현상 때문에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완벽한 외래 유전자의 발현 조절 system을 구축하기 위하여 rtTA 대신 진일보한 형태의 $rtTA2^SM2$를 도입하고 TRE 부분을 TRE-tight로 대체하였다. 확립된 retrovirus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적세포와 형질전환 닭으로부터 혈소판 생산의 일차적인 조절자이며, 조혈간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human thrombopoietin(hTPO)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In vitro 상의 연구에서, CEF 세포에서 발현되는 hTPO가 가장 높은 발현량과 발현 유도율을 나타내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hTPO나 다른 표적세포에서 생산된 hTPO에 비해 생물학적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농도로 농축한 재조합 retrovirus를 stage X단계의 계란의 배반엽 층에 미세주입하여 대리 난각 방법으로 배양한 결과, 미세주입한 138개의 계란 중 21일 후에 15개의 계란에서 병아리가 부화하였으며, 그 중 8마리가 형질전환 개체로 확인되었다. 이 형질전환 닭은 사료 1 g 당 0.5 mg의 doxycycline을 첨가하여 2주간 식이하였으며, 그 후 혈액을 채취하여 hTPO 농도를 측정한 결과 200ng/mL로 확인되었다. 또한 형질전환 개체 중 수컷의 정자에서 hTPO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germLine transmission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람의 cytokine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위한 생체반응기로서의 형질전환 닭의 생산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