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ryogenic tissu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8초

종자 다수확계통'232'의 조직배양 및 포장에서의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a Zoysiagrass Line '232'in the Tissue Culture and Field)

  • 이재필;김종보;임성희;주영규;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1-326
    • /
    • 1997
  • A high seed yield '232' was evaluated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issue culture re-sponse. The effect of mowing and urea application on coverage in '232' was also stud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232' produced high seed yield than any other lines, but its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coverage, establishment rate, stolon length, stolon number and colour change were not good. 2.Callus induction of '232'(52.9%) was relatively high, and higher than that of Z. sinica(49.0%). However,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of '232' was not as good as that of Z. japonica and Z. sinica. 3.Coverage of '232' was very much enhanced by mowing on July 18, but not at all by mowing on May 29 and September 4. 4.Urea application did not increase the coverage in '232',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breeding material rather than direct use.

  • PDF

소나무의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에 미치는 ABA, 삼투압제 및 배발생조직 라인 효과 (Effects of ABA, osmoticum and embryogenic tissue lines for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in Pinus densiflora)

  • 김용욱;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2호
    • /
    • pp.93-98
    • /
    • 2012
  • 본 연구는 소나무의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및 abscisic acid (ABA) 농도, 배발생 조직 라인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1 M maltose+3.75% polyethylen glycol (PEG) 4000 처리구에서 45개 (/90 m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처리구 또한 41개로 효과가 있었다.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0.4 및 0.6%의 농도에서는 전혀 체세포배가 유도되지 않았으며, 0.8% 이상의 농도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 체세포배 유도 수는 1.0% gelrite에서 41개로 가장 높은 유도 수를 보였으며, 0.8 혹은 1.2%에서의 농도에서 또한 각각 37.3 및 39.7개로 높은 유도수를 보여 0.8% gelrite 이상에서 체세포배 유도 효과가 있었다. ABA농도, 배발생조직 라인 및 활성탄 첨가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율 비교에서 06-6조직라인의 경우 150 혹은 $20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를 0.2% 활성탄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45%의 최대 발아율을 보였다. 활성탄 무첨가 배지의 경우 최대 발아율은 06-6라인, $25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에서 28.9%로 나타났다.

소나무 배발생조직 라인 별 체세포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with Embryogenic Tissue Lines in Pinus densiflora)

  • 김용욱;신한나;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49-454
    • /
    • 2011
  • 본 연구는 소나무의 배발생조직 라인 간 증식율,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율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나무 미숙접합배로부터 유도된 15개 배발생조직 라인 간 증식율 비교에서 05-4 라인은 5.3배의 최대 증식율을 보인 반면, 05-37라인은 1.4배로 가장 저조하여 조직 라인 간 증식율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배발생조직 13개 라인의 체세포배 유도에서는 05-4라인에서 39.8개(90 mg 조직기준)를 유도하여 가장 높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단지 5개 조직라인(05-4, 12, 21, 29 및 37)에서만 체세포배 유도가 가능하였다. 나머지 8개 라인에서는 전혀 유도되지 않아 조직라인 간 체세포배 유도효율의 큰 차이를 보였다. 3개의 조직라인에서 유래한 체세포배의 발아비교에서 05-4라인 유래 체세포배 발아율이 0.2% gelrite에서 가장 높은 47.3%로 나타났으나, 05-4 및 29라인에서는 0.2% 이상의 gelrite 농도에서 발아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05-37 라인 유래 체세포배의 발아는 0.1 혹은 0.2% 농도에서는 전혀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아 gelrite 농도에 따른 발아율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소나무의 배발생조직 라인 간 증식율, 체세포배 발생 효율 및 발아효과는 배발생조직 라인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자 (Citrus junos SIEB.) 의 발생단계에 따른 미세구조적 특성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ges During in vitro Regeneration in Citrus junos SIEB.)

  • 박민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7-24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유자의 미성숙 배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 및 발생단게별 미세구조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유자에서는 배양 5-6주 경에 담황색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 6주경의 캘러스 세포에서는 인접하고 있는 작은 액포들이 융합하여 큰 액포를 형성하는 융합현상을 관찰하였다. 배양 12주 경에는 배발생 캘러스의 미분화 세포에서 특이하게 구형의 핵인을 가지고 있는 큰핵과 녹말로 가득차 있는 녹말체를 다수 관찰하였다. 배양 14-16주 경의 배발생 캘러스 세포에서는 활발하게 exocytosis가 일어나므로서 다수의 분배체들이 세포벽쪽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로부터 작은 입자들이 세포 간극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볼수 있었다. 또한 배양 24주경의 배발생 캘러스에서는 발달된 커다란 구형의 엽록체들이 이중막으로 세포질과 경계되어 있었으며 기질중에 일정하게 전형적인 그라나가 분포되어 있었다. 배양 26주경의 어린 정상 식물체의 미성숙잎에서는 다수의 도관과 반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배양 30주경의 정상식물체의 미성숙잎에는 다수의 작은 반세포들과 사관 그리고 중심액포들이 나타났으며 또한 작은 제2차 액포들이 커다란 중심 액포 속으로 끼어들어가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원형질막 근처에는 신장된 엽록체들이 분포되어 있었다.

  • PDF

Electroporation을 이용한 잔디(Zoysia japonica Steud.) 및 벼(Oryza sativa L.) 배발생세포로의 DNA 도입 (DNA Delivery into Embryogenic Cells of Zoysiagrass(Zoysia japonica Steud.) and Rice(Oryza sativa L.) by Electroporation)

  • 박건환;최준수;윤충호;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09-314
    • /
    • 1994
  •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단자엽 식물의 형질전환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발생 세포를 직접 electroporation하여 DNA를 도입하는 실험을 벼와 잔디에서 실시하였다. 잔디는 수정 후 3주된 미숙배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였으며, 2.4-D가 1 mg/L 함유된 액체 MS배지로 옮겨 진탕배양한 것을 electroporation 실험에 이용하였다. 벼는 20 mm 정도의 미숙화서 유래의 캘러스를 액체 N$_{6}$배지(1 mg/L 2.4-D 함유)에서 진탕배양하여 획득한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액체 진탕배양한 세포괴를 GUS expression vector인 pGA1074 (30 $\mu\textrm{g}$/ml)와 함께 MS 액체 배지에서 Electroporation하였다. 세포벽과 세포막을 통한 세포로의 DNA 전이는 GUS 유전자의 발현 여부 및 정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400 volt, 800 $\mu$F capacitance로 electroporation 처리된 벼와 잔디의 세포괴들은 200 ${\mu}\ell$ (packed cell volume)의 세포괴 당 25 unit (1 unit=파란색을 띤 독립된 세포군) 이상의 빈도로 GUS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무처리 세포주 및 처리한 비배발생 세포주에서는 GUS 발현이 일어나지 않음을 반복적으로 확인차였다. 따라서 electroporation에 의한 벼와 잔디의 형질전환실험에서 원형질체 대신 intact한 배발생 세포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High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its Prolifer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in Cotton (Gossypium hirsutum L.)

  • Haq, Ikram-ul;Zafar, Yusuf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55-61
    • /
    • 2004
  • 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are fundamental to cotton tissue culture biotechnology. An efficient protocol for callus induction, somatic embryogenesis and their maturation have been developed to regenerate plantlets from cotton (Gossypium hirsutum L.) variety coker 312. Embryogenic callus was initiated from hypo-cotyl region that was used as an explant at seedling stage when it was about 7-8 days old. Callus induction was achieved through culturing hypocotyls (5-7mm) on $MS_{1a} medium supplemented with 2,4-D (0.1 mg/L) and KT (0.5 mg/L) for six weeks. A friable, colorless, bulky and well proliferating callus becomes greenish with the addition of NAA (2.0 mg/L), ZT (0.1 mg/L) and removal of 2,4-D (M $S_{1b}$) cultured for two weeks then again transferred to $MS_{1a}.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embryogenic callus,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and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ZT (0.1mg/L) and activated charcoal (2g/L), both hormo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on and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in hypocotyls derived embryogenic callus but in case of cotton, such a capability have been observed on MS medium with 1.92 g/L $KNO_3$, but it is considered to attain somewhat more improvement. High embryogenesis frequency was achieved through nutrient deficient stress treatment. The frequency of globular embryogenesis (two-three folds) was achieved when well proliferating callus was (from $MS_{1a}$ media) cultured on MS (1/5 strength) medium for four weeks. Here the development of anthocyanins is the best indicator for somatic embryogenesis. However, when embryoid callus was cultured on MS (full strength) medium, the globular embryos were developed into normal plantlets immediately. In this procedure 27.49% cotyledenary embryos were developed. Of that 70% cotyledenary embryos were developed not only into normal plantlets but rooted simultaneously, when cultured on MS (with 0.05 mgg/L giberrelic acid) medium. So complete plants could be regenerated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hypocotyl explants within 6 months.s.

용담(Gentina scabra var. buergeri)의 잎 절편 배양에서 체세포배발생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Leaf Explant Cultures of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 방재욱;이미경;정성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37
    • /
    • 1994
  • 용담의 잎 절편 배양을 통하여 유도된 배발생 캘러스로 부터 식물체의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캘러스는 0.5 mg/L2,4-D, 2 mg/L BAP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유도되었으며, 이 캘러스를 2 mg/L P-CPA, 0.5 mg/L 2,4-D 및 0.5mg/L kinetin이 첨가된 SH 배지에 옮겼을 때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가 가능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SH 기본 배지에 옮겨 슈트의 증식 및 뿌리 발생을 유도하였다. 재분화 식물체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가 2:1:1의 비율로 혼합된 인공 토양에서 순화시킨 후 토양에 활착시켰다. 토양에 활착된 재분화 식물체는 키, 줄기의 모양과 수, 개화기등에서 표현형적 변이를 나타냈다. 세포유전적 분석에서 모식물체와 재분화 식물체의 염색체는 2n=26으로 안정성을 보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적용된 재분화 체계가 안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오이의 배발생 현탁 배양세포로부터 제초제 저항성 형질전환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Herbicide-resistant Transgenic Plants from Embryogenic Suspension Cultures of Cucumber)

  • 우제욱;정원중;최관삼;박효근;백남긴;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2001
  • 제초제 저항성 오이 (Cucumis sativus L. cv Green angel)를 생산하기 위하여 배발생 현탁배양세포와 binary vector pGA-bar을 지닌 Agrobacterium tumefacians (LBA4404)를 공동배양하였다. 형질전환 벡터의 T-DNA부분에는 kanamycin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neomycin phosphotrans ferase (npt II) 유전자와 phosphinothricin (PPT)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bar)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48시간의 공동배양 후 배발생 캘러스는 20mg/L PPT가 함유된 성숙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약 200개체의 형질전환 유식물체를 40mg/L PPT가 첨가된 호르몬이 없는 배지에서 생산하였다. 5개의 오이 형질전환 식물체의 염색체에 bar유전자가 도입되어 발현되는 것을 nor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오이 식물체가 토양에서 성숙되었다. 성숙한 오이 식물체는 PPT가 함유된 상업적 제초제 (Basta)를 일반적인 사용 농도 (3ml/L)처리시에도 저항성을 나타내며 생장하였다.

  • PDF

초저온 보존된 오이 배발생세포 현탁배양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Cryopreserved Embryogenic Cell Suspension Cultures of Cucumber)

  • 김석원;인동수;정원중;우제욱;정민;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01-505
    • /
    • 1998
  • 오이의 국내 F1 품종인 조생낙합의 하배축 유래 배발생 현탁배양 세포의 초저온 보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액체질소 저장 후 캘러스 재생률은 2M DMNSO와 0.4 M sucrose를 혼용 처리하였을 때 캘러스 재생률이 85%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glycerol 처리구에서는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캘러스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고농도의 삼투용액에서 배양세포의 전처리 과정은 필요하지 않았다. 재생된 캘러스를 1 mg/L 2,4-D가 첨가된 MS 배지로 이식하여 배양하였을 때 다수의 체세포배가 발달하였으며, 체세포배를 MS 기본배지로 옮겨 명배양한 결과 다수의 소식물체가 발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