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olism and thrombosi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심방세동 환자에서 Warfarin 반응성에 이뇨제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uretics on Warfarin Response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박희주;나현오;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57
    • /
    • 2013
  • Purpose: Warfarin is the most widely used anticoagulant drug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after ischemic stroke and thromboembolism related to atrial fibrillation, artificial heart valves,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Warfarin is commonly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drugs such as diuretics in order to treat the comorbidity. Although several warfarin-diuretics interactions have been reported, the results are conflicting. Therefore, the initial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uretics on the warfarin respons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Methods: One hundred forty six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ho were on anticoagulation therapy with warfarin and maintained INR levels of 2-3 for three consecutive times were followed up, retrospectively. Stable warfarin doses and INR per stable warfarin dose were compared according to age, gender, comorbidity, and concurrent medication. The stable warfarin dose was defined as the maintenance dose of warfarin of the measured patient whose INR was within the target INR range more than 3 times consecutively. Results: The differences of stable warfarin doses in patients with ($3.22{\pm}1.21$ mg/day) and without ($3.58{\pm}1.14$ mg/day) diuretics were marginally significant (P=0.069). On the other hand, stable warfarin doses were $2.97{\pm}1.10$ mg/day in patients with thiazide (n=36) and $3.58{\pm}1.14$ mg/day in patients without diuretics (n=82),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9). INR values per stable warfarin dose in patients with diuretics and thiazide were $0.84{\pm}0.31$ and $0.90{\pm}0.34$, respectively, which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without diuretics ($0.72{\pm}0.21$, P=0.010 and P=0.006, respectively). Age, gender, and concurrent use of thiazide diuretic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arfarin response from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the concurrent use of thiazide diuretics could increase the response of warfarin in patient with atrial fibrillation. Therefore, clinicians should be aware that warfarin dose needs to be adjusted when it is used with thiazide diuretics concomitantly.

국내 한의학계의 항혈전 효과에 대한 실험 연구 고찰 -2001년 이후 한방부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on Antithrombotic in Oriental Medicine -Within Articles in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Since 2001'-)

  • 정수정;마영훈;최승범;박경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16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the result of experimental study about antithrombotic effect by reviewing recent oriental medicine journals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in Korea. Methods: Articles on antithrombotic effect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2001' to 2013' in oriental medicine journals registere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searched. After that, 12 articles using same 'thrombosis condition model' were selected and review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f there is no limit drug concentrations,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denosine diphosphate (ADP) in hyulbuchukeo-tanggamibang (HBCT) was the largest aggregation inhibitory effect and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epinephrine in Saegeum-san (SGS), Jogan-tanggagambang (JGTG), hyulbuchukeo-tanggamibang (HBCT) had a large inhibitory effect on aggregation. 2. At the lowest concentration, Mokdan-san (MDS) of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DP and Hyunhosaik-san (HHS) of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epinephrine were effective. 3. Pulmonary embolism induced by collagen and epinephrine in Neungasojeok-tang (NSJT) has the highest antithrombotic effect. 4. Pathological conditions of extravasated blood by dextran, Jogan-tanggagambang (JGTG) has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decrease in platelet numbers. Compared to the rest of the experimental drug, Saegeum-san (SGS), Heanggyonghonghwa-tang (HGTHHT), Wusl-san (WSS), Mokdan-san (MD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prothrombin time (PT) increases. Honghwadanggui-san (HDS), Saegeum-san (SG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increase in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Jogan-tanggagambang (JGTG), Heanggyonghonghwa-tang (HGTHHT)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decrease in fibrinogen. Conclusions: This result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scriptions of antithrombotic medicine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We will have to carry out further studies that will compare each herb used in the diseases caused by extravasated blood.

Denali 하대정맥 필터 제거: 합병증과 성공률 (Denali Inferior Vena Cava Filter Retrieval: Complications and Success Rates)

  • 최서윤;김건영;황홍필;한영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879-888
    • /
    • 2023
  • 목적 본 연구는 Denali 필터 제거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대상과 방법 2015년 9월부터 2020년 4월까지 Denali 필터 삽입을 받은 14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필터 제거를 필요로 하는 97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표준 방법 또는 심화기술로 필터를 제거하였다. 제거 전후로 정맥조영술을 얻어 성공적인 제거율과 합병증 여부, 필터 삽입에 걸린 시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97명의 환자들이 모두 합병증 없이 필터를 제거하였다. 92명(94.8%)에서는 표준방법으로 제거했고 5명(5.2%)은 심화기술로 제거하였다. 필터 각도가 15도 이상인 예가 2건 있었다. 정맥조영술(venography)로 필터가 하대정맥에 박힌 사례가 17건(17.5%)이 있음을 확인했으나 필터 제거 후 조영제 유출과는 관련이 없었다. 결론 Denali 필터는 합병증 없는 높은 성공적 제거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및 실험과 같이 사용이 증가하는 Denili 필터는 높은 제거율을 보여주는 신뢰할만하고 안전한 필터임을 보여주었다.

중환자실(重患者室)에서 기관내(氣管內) 삽관후(揷管後) 퇴원(退院)한 환자(患者)의 임상통계(臨床統計) 고찰(考察) (Clinical Observation for Endotracheal intubation Patients in ICU)

  • 남창규;문병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07-432
    • /
    • 1996
  • 연구배경(硏究背景) 및 목적(目的) : 중환자실에서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 환자의 실태분석과 질환별 빈도, 부위 및 예후판정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對象) 및 방법(方法) : 1992년 1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대전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중환자실에 입실(入室)하여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을 실시한 환자 37명을 대상(對象)으로 조사하였다. 결과(結果) 및 결론(結論) : 1.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을 시행한 환자수는 37명으로 전체 내실(內室)환자의 4%를 차지하였다. 2. 질환별 빈도는 허혈성 뇌졸중이 가장 많았고, 출혈성 노졸중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뇌혈전이 뇌색전보다 많았다고, 뇌실질내출혈이 지주막하출혈보다 많았다. 3. 뇌색전의 병변부위는 중대뇌동맥이 가장 많았고, 뇌혈전과 뇌실질내흡연에서는 모두 뇌교가 가장 많았다. 4. 성별로는 남녀의 비가 1:1로 같았고, 연령별로는 60대가 가장 많았다. 5. 사상체질(四象體質)분류에서는 태음인(太陰人)이 가장 많았다. 6. 입실(入室) 당시의 의식상태는 GCS 3-7점이 가장 많았다. 7. 선행질환(先行疾患)(과거력(過去歷))으로는 고혈압이 가장 많았다. 8. 중환자실(重患者室) 체류기간(滯留期間)은 2일 이내가 가장 많았고, 발병후 중환자실 퇴원까지 경과기간은 1-3인이 가장 많았다. 9.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 시간별(時間別) 분포(分布)는 13-15(말(末))시(時)가 가장 많았고, 지속시간(持續時間)이 2시간 이내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월별(月別) 분포(分布)는 2월과 5월이 가장 많았고, 계절별로는 겨울이 가장 많았다. 10. 기관내(氣管內) 삽관시(揷管時)의 결정시간(決定時間)은 심전지후가 호흡부전시보다 빈도가 높았다. 11. 중환자실에서의 합병증으로는 비뇨기감염이 가장 많았고, 폐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으로 인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급성기 중풍 환자의 중풍발병시간에 따른 제속성 비교 (The comparison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cute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onset time)

  • 김미영;최원우;민인규;선종주;정재한;나병조;홍진우;정우상;문상관;조기호;고성규;전찬용;한창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51-757
    • /
    • 2007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background information on stroke by evaluating various etiological factors on the basis that the onset time of cerebral infarction varies according to its cause. Methods : We studied hospitalized patients within 4 weeks after their ictus who were admitted at Kyunghee OMC, Kyungwon OMC, or Donguk Ilsan OMC from [month] $1^{st}$, 2005 to June $30^{th}$, 2007.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cute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onset time. Results : Regardless of the onset time, the distribution of cerebral infarction patterns showed high SVO. The onset ti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or average age, height, weight, BMI, waist measurement, hip measurement, or waist/hip ratio between onset during sleep and awakening. Patients whose stroke occurred while awake were more likely to have a past history of HTN, DM, ischemic heart disease, or atrial fibrillation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onset time. Conclusions :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tendency of acute stag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varies according to their onset ti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previous findings that cerebral infarctions that occurred during sleep were more likely to have been caused by cerebral thrombosis, and strokes that occurred while awake were more likely to have been caused by cerebral embolism.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relevant results, so a larger study group is needed to research the tendency of stroke patients.

  • PDF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치료로서 내막제거술의 임상적 결과: 색전증 분류에 따른 접근 (Clinical Results alter Pulmonary Endarterectomy as a Curative Surgical Method in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an Approach to Operative Classification of Thromboembolic Disease)

  • 임주영;이재원;김정원;정성호;제형곤;송현;정철현;주석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91-597
    • /
    • 2008
  • 배경: 만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폐동맥고혈압은 내막제거술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본원에서의 수술 경험을 분석하여 질환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토대로 향후 수술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서 만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으로 내막제거술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증상은 주로 호흡곤란이었고 페동맥 색전증의 원인으로는 심부혈전증 11명(55%)이 가장 많았다. 17명(85%)의 환자에서 하대정맥 필터를 삽입하였다. 수술은 완전 순환 정지하(n=13) 또는 low flow (n=7)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행하였고 수술 전 삼첨판 폐쇄부전이 grade IV/IV 이상인 환자들 중 6명(66%)에서 삼첨판륜 성형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5{\pm}32$개월이었다. 결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분류에 따른 폐동맥 색전증의 종류는 type I이 4명 (20%), type II, III가 각각 8명(40%)씩이었고 우심실 수축기압은 수술 전 평균 $77{\pm}29$ mmHg에서 수술 직후 $37{\pm}19$ mmHg로 감소하였으며(p<0.001) 삼첨판 폐쇄부전의 정도 및 NYHA functional class 모두 수술 후 호전을 보였다. 재관류 손상은 7예(35%)로 UCSD type I, II인 환자군에 비해 type III인 환자에서 재관류 손상의 발생률이 더 높았고(25% vs 50%, p=0.25) 중환자실 재원기간도 길었다($5{\pm}2$일 vs $9{\pm}7$일, p=0.07). 조기사망은 2명(10%)이었고 만기사망은 기저질환의 악화 1명, 폐동맥 색전증의 재발 1명, 그리고 지속된 폐동맥 고혈압 1명, 모두 3명(15%)이었다. 결론: 내막제거술은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수술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퇴원손상심층자료를 이용한 환자안전지표의 적용 (Application of Patient Safety Indicators using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 김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93-2303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환자안전지표 산출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조사방법: 환자안전지표의 정의는 OECD에서 AHRQ에 근거하여 작성한 보건기술문서 19의 기준을 이용하였고, 이에 따라 2004-2008년 퇴원손상심층조사 875,622건에서 환자안전지표(PSIs)를 산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환자안전지표별 비율의 변이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2004-2008년간 약 80만 건의 퇴원 중에서 8개의 환자안전지표에 해당하는 위해사건은 3,084건이었다. 욕창(PSI3, 4.88), 시술 중 이물질 체내 잔류(PSI5, 0.05), 수술 후 패혈증(PSI13, 1.32), 출생손상-신생아(PSI17, 7.92), 산과적 외상-도구를 이용한 질식 분만(PSI18, 32.81)의 퇴원 1,000건당 비율은 모두 OECD 환자안전지표 비율의 최소-최대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내과적 치료에 의한 감염(PSI7, 0.22), 수술 후 폐색전증 또는 심부정맥혈전증(PSI12, 0.90), 우발적 천공 또는 열상(PSI15, 0.71)의 퇴원 1,000건당 비율은 OECD 환자안전지표 최소값에 못 미쳤다. PSI 18을 제외한 7개의 지표값 모두 부진단명의 개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지표 비율은 환자특성을 보정했을 때, 병상규모 및 병원소재지 등 병원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가적인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위해사고를 스크리닝 하는 환자안전지표를 산출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의 질, 임상 관련 변수 등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여전히 있지만, 환자안전에 대한 국가적인 통계를 추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해사건으로 인한 사망 규모 산출 등의 결과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