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utherococcus senticosu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mplex Extract including Eucommia ulmoide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 Ryu, Hwa Yeon;Lee, Hyun;Kong, Hae Jin;Kang, Jae Hui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256-263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response of lipopolysaccharide (LPS) activated macrophages (RAW 264.7 murine cell line) to JCE003 which is an extract including Eucommia ulmoides, Juglans regia,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Zingiber officinale. Methods: An MTT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urvival rate of RAW 264.7 cell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FN-${\gamma}$, TNF-${\alpha}$, IL-$1{\beta}$, IL-6)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mRNA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FN-${\gamma}$, TNF-${\alpha}$, IL-$1{\beta}$, and IL-6)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Results: Exposure of LPS-activated RAW 264.7 cells to JCE003 was not cytotoxic up to $400{\mu}g/mL$, but cell surviv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at $800{\mu}g/mL$ (p < 0.001). Nitric oxide production was not markedly lowered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by exposure to JCE003 (10, 50, 100, 200, 400, $800{\mu}l/mL$)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JCE003 reduc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t $400{\mu}g/mL$ (p < 0.05), but IFN-${\gamma}$ and TNF-${\alpha}$ mRNA expression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was decreased at 100, 200, and $400{\mu}g/mL$ JCE003 (p < 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JCE003 inhibited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Korean medicine anti-inflammatory drugs.

$OPB-K^{(R)}$가 임플랜트의 골유착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PB-K^{(R)}$ on the Osseointegration and Stability of Implant)

  • 강성진;조인호;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1-41
    • /
    • 2008
  • 현대 치의학에서 임플랜트가 상실치 수복에 가장 효과적인 대안으로 여겨지면서, 임플랜트의 골유착을 보다 쉽게 얻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임플랜트의 형태 및 표면 처리법 등에 많은 진보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임플랜트 주위골의 치유율을 높이고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약제의 개발도 보고되어, Pleurotus eryngii Quel와 Eleu- therococcus senticosus가 주성분인 $OPB-K^{(R)}$는 조골세포의 증식과 활성을 자극하고 파골세포의 생성과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 제작한 임플랜트를, 골다공증 유도를 위해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백서 36 마리의 경골에 식립한 후 $OPB-K^{(R)}$ (Post-$Plant^{TM}$ Calcium, Oscotech, Korea)를 투여한 군을 실험군, 투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2주, 4주, 6주에 $Periotest^{(R)}$, 골밀도 측정 및 조직학적 검사 등을 이용하여 골유착 정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eriotest^{(R)}$ 측정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험군, 대조군 모두 수치가 낮아지며, 2주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4 주, 6주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2. 골밀도 측정결과, 난소절제에 따른 결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험군, 대조군 모두 골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주와 4주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6주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3. 조직학적 검사결과 시간이 경과할수록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골유착면에서 더 나은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OPB-K^{(R)}$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임플랜트 주위 골밀도와 임플랜트 안정성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적으로 임플랜트 식립 후 $OPB-K^{(R)}$를 환자에게 장기간 투여하는 것이 성공적인 임플랜트 시술에 좋으리라 사료된다.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키 성장 기능성 식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with Plant Extracts for Enhancing Growth Rate)

  • 라정찬;박형근;최미경;이항영;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2-118
    • /
    • 2004
  • 다양한 종류의 생약재들이 동물과 인간의 성장률을 증진시키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선정된 식물의 성장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동물로서 물고기와 돼지를 이용하였다. 물고기 실험에서 오카피 추출물과 인진쑥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오가피와 인진쑥 추출물을 돼지에 먹여본 결과 평균 일일 증체율이 대조군에 비해 7.06% 증가하였다. ㅇ 결과를 검증하기위해 혈액 내 분비된 성장호르몬(GH)과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의 양을 측정하였다. 오가피와 인진쑥 추출물을 먹인 돼지는 대조군에 비해 혈액 내로 분비된 GH와 IGF-1의 양이 훨씬 더 많았다. 인간에서 성장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들은 오가피와 인진쑥 추출물을 혼합하여 쌀에 코팅한 $키우미^{TM}$($Kiwoomi^{TM}$)를 제조하였다. $키우미^{TM}$를 초등학생들에게 먹였을 때 키 성장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키우미^{TM}$를 먹인 아이들이 먹이지 않은 아이들보다 더 많이 성장하였다(약 2.14배). 결과적으로 이 기능성 쌀($Kiwoomi^{TM}$)이 다른 부작용 없이 아이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한약복합물 HT005의 성장기 흰쥐 장골길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 (New Multi-herb Mixture, HT005, Induces Longitudinal Bone Growth in Male Rats)

  • 김미연;마르쿠스 라미레즈;이동헌;임동욱;최호영;김호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1
    • /
    • 2010
  • Objectives : It was investigated new herbal prescription HT005 suppor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s a activity on the longitudinal bone growth of rats. HT005 were consisted of the root of Angelica sinensis, the fruit of Alpinia oxyphylla,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the stem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the root of Dioscorea japonica, and Poria cocos. Method :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longitudinal bone growth in adolescent male Sprague-Dawley rats, the longitudinal length of growth plate was measured directly by the tetracycline fluorescent labeling method and chondrocyte staining method. HT005 administered orally for four days, and the tetracycline was injected twice on the growth plate of the animals for fluorescent dying. The rate of longitudinal bone growth was measured the length between the tetracycline bands which fixed on the 3rd day and 5th day after injection. Cresyl violet was also used to stain the chondrocytes in the growth plate. The length of growth plate after administration was compared. Expression of IGF-1 and BMP-2 in the growth plate was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HT005 showed a significant longitudinal bone growth which was $301.0{\pm}6.1\;{\mu}m/day$ at the dose of 100 mg/kg and $283.8{\pm}1.25\;{\mu}m/day$ (p < 0.001)at the dose of 10 mg/kg of HT005, compared to control group by the tetracycline fluorescent labeling method. HT005 showed a significant chondrocyte length on growth plate which was measured $797.19{\pm}3.31\;{\mu}m$ (p < 0.001) at the dose of 100 mg/kg and $720.14{\pm}2.19$ (p < 0.001) ${\mu}m$ at the dose of 10 mg/k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cresyl-violet staining method. Both the number and intensity of BMP-2 and IGF-1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the hypertrophic zone of growth plat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MP-2 and IGF-1 expression and heights of chondrocytes in growth plate. Conclusions : Treatment of HT005 on Sprague-Dawley rats markedly increased the longitudinal bone growth. Therefore, HT005 may be an alternative herbal source to growth hormone as it promotes bone growth in children afflicted by growth retardation.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 신현탁;이명훈;이창현;성정원;김기송;권영한;김상준;안종빈;허태임;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3-308
    • /
    • 2014
  • 본 연구는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79과 211속 272종 4아종 32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3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긴잎갈퀴, 가시오갈피, 너도바람꽃, 나도개감채 등 총 8분류군,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고광나무, 고려엉겅퀴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1%, 3.43%로 나타났다.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uwangsan National Park in Korea)

  • 장현도;임효선;한세희;소순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9-406
    • /
    • 2019
  •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을 2017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소산 관속식물은 112과 399속 672종 4아종 72변종 10품종의 총 7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221분류군이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가시오갈피, 큰바늘꽃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깽깽이풀, 백작약, 꼭지연잎꿩의다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날개현호색, 노랑무늬붓꽃, 몽울토현삼 등 2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5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가시상추,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6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1분류군, 남방계 2분류군, 관심식물은 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소비되는 봄나물의 Trienzyme 추출법을 적용한 엽산 함량 분석 (Total Folate Contents of 15 Edible Plants Consumed in Korea Using Trienzyme Extraction Method)

  • 김보민;김소민;오지연;조영숙;김세나;최용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96-18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엽산 분석 데이터의 질적 양적 향상을 위해 첫째, AOAC법의 trienzyme 추출법과 식품공전의 암모니아 가수분해법을 비교 분석하고 둘째, 엽채류에 있어 trienzyme 추출법의 검증을 위해 국제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하고 정밀성과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검증된 추출법을 적용하여 시판 봄나물(생것, 데친것)의 총 엽산 합량을 L. casei를 이용한 미생물학적 정량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RM 485(mixed vegetable), CRM 487(pig liver), CRM 121(wholemeal flour), 시금치, 돌미나리의 경우 암모니아 추출법보다 trienzyme 추출법을 적용할 경우 엽산 함량이 시료에 따라 1.2에서 5.8배까지 증가하였다. 따라서 나물 등 엽채류 식품에 함유된 천연 엽산 분석에는 trienzyme 추출법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rienzyme 추출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봄나물(생것, 데친 것)의 엽산 함량은 습물 기준(wet weight basis) 나물 생시료의 경우 오가피($146.9{\mu}g/100g$), 부지갱이($142.8{\mu}g/100g$), 갯기름($140.4{\mu}g/100g$)의 엽산 함량이 15개의 분석시료 중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건물 기준(dry weight basis)을 적용한 절대량 비교에서는 민들레($1,643.0{\mu}g/g$), 시금치($1,284.8{\mu}g/g$), 비름나물($1,222.5{\mu}g/g$) 순으로 높은 엽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죽나물, 참두릅, 세발나물, 돌미나리, 참취나물 경우 $100^{\circ}C$에서 30초간 데쳤을 때 엽산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P>0.05) 갯기름나물을 제외한 나머지 9개 시료에서는 엽산 함량이 11~63% 감소하였다(건물 기준 비교). 본 연구에 적용된 엽산 trienzyme 추출법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국내 다소비 식품의 엽산 분석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생각되며 나아가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작성을 위한 엽산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고양산(1,152.3m, 정선군)과 문래산(1,082.5m, 정선군) 일원의 관속식물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Goyangsan Mtn.(Jeongseon-gun) and Munraesan Mtn.(Jeongseon-gun) Area)

  • 김영철;채현희;박유철;이선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0-256
    • /
    • 2022
  • 지역적으로 식물 다양성을 보전하기위한 가장 필수적인 항목은 전체 목록의 작성이다. 특히 석회암 지대는 식물다양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특이적인 식물의 분포지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한반도의 중부에 위치한 석회암 지대인 고양산과 문래산 일원에 분포하는 식물현황을 조사하였다. 총 8회의 조사를 통해 113과 357속 592종 15아종 44변종 3품종 654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개병풍, 가시오갈피나무, 복주머니란 및 큰바늘꽃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한국고유종은 32분류군,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V등급이 5분류군, IV등급이 41분류군, III등급이 3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국가적색목록 평가에 따라 멸종의 위협이 높은 위기(EN; Endangered)종으로 평가되는 식물은 2분류군, 취약(VU; Vulnerable)종으로 평가되는 식물은 7분류군 그리고 준위협(NT; Near threatened)종으로 평가되는 식물은 7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귀화식물은 총 4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4분류군이 있었다. 본 조사지역인 고양산과 문래산 일원은 석회암 지대 내에서 높은 식물다양성을 나타내고 있고 멸종위기야생식물인 개병풍의 핵심 분포지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개야광나무의 소수 분포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등 보전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점에 따라 고양산과 문래산 일원과 주변의 식물다양성이 우수한 지역을 평가하여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