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government standard framewor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4초

전자상거래 표준화 현황 및 정책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Policies for Standardization on Electronic Commerce)

  • 박윤정;임춘성;윤용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0권3호
    • /
    • pp.23-44
    • /
    • 2003
  • It is needed to search the electronic commerce standardization and to analysis its policies to meet the international situations strategically and forecast the technology surroundings for electronic commerce.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the current state of electronic commerce standardization and analyzing policies on electronic commerce by the driving subject, that is,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 major countries, and standard classifications of electronic commerce technologies such as e-documents, e-catalog, e-payment, and e-process.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get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tate and policies for standardization on electronic commerce and put them practical use to make policies and strategy applications.

  • PDF

United Nations Framework and Recommendations for International Electronic Business Facilitation

  • Dollein, Richard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2권2호
    • /
    • pp.43-47
    • /
    • 2013
  • Within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of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th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serves as the focal point for trade facilitation recommendations and electronic business standards, covering both commercial and government business processes that can foster growth in international trade and related services. Accordingly United Nations Centre for Trade Facilitation and Electronic Business (UN/CEFACT) was established, as a subsidiary, intergovernmental body of the UNECE Committee on Trade, mandated to develop a program of work of global relevance to achieve improved worldwid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in these areas. Domest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lectronic documents to be conformed to international standards, it is enough to have the role of international activities continue to supply part of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trends in participation and international standard.

Agile 방법론과 MDA/MDD 기법을 활용하여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프로젝트의 품질 향상 사례 (A Case Study of Software Development Quality Improvement by Agile Methodology and MDA/MDD Technology)

  • 이승한;박재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744-274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프로젝트 내에서 MDD/MDA 기술 적용으로 인한 생산성과 품질 향상효과를 기능점수 (Function Point) 관점과 코드 인스펙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시한다. 또한 본 사례의 프로젝트에서 적용한 MDD/MDA적용 방법을 소개한다. MDD 기법의 발전과 더불어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사례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교훈이나, 제한된 측정 데이터로 분석된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개발 방법론과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MDD를 실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새로운 측정지표로 정량적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Application Life-Cycle 환경에서 모델링 된 정보들을 통합 저장소를 통하여 관리함으로써 추적성과 가시성이 확보된 방안을 제시한다.

UML 메타모델링과 모델의 변환을 통한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기반의 코드 생성 자동화 (An Automatic code generation through UML Meta modelling and transformation of Model for electronic government framework)

  • 이승한;박재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407-3411
    • /
    • 2015
  • UML 모델을 사용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환경에서 UML 메타 모델의 규칙을 준수하고, 이를 통하여 확장하면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UML 메타 모델은 자체 규모가 점진적으로 방대해지고 있으며 UML 메타 모델을 사용하는 다양한 곳에서 UML 메타 모델의 확장 및 변환을 위해서는 반드시 Profile의 정의를 통하여 다이어그램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UML 메타모델을 확장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하여 요소들만을 추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UML 메타모델의 확장과 Profile을 메타 저장소를 기반으로 재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UML 모델링 도구나 분석도구를 좀 더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고, 이러한 도구를 활용하여 SW 산업에서의 개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ML 메타모델의 확장을 통하여 Profile을 재정의 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에 실제로 적용한 결과를 코드 사이즈와 복잡도를 비교하여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Desig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Library Based on SaaS and Web Standard

  • Lee, Jong-Hoon;Min, Byung-Won;Oh, Yo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1호
    • /
    • pp.41-51
    • /
    • 2015
  • Management systems for electronic library have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Client/Server or ASP framework in domestic market for a long time. Therefore, both service provider and user suffer from their high cost and effort in management, maintenance, and repairing of software as well as hardware. Recently in addition, mobile devices like smartphone and tablet PC are frequently used as terminal devices to access computers through the Internet or other networks, sophisticatedly customized or personalized interface for n-screen service became more important issue these day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heme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library based on SaaS and Web Standard.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roposed scheme applying Electronic Cabinet Guidelines for Web Standard and Universal Code System. Hosted application management style and software on demand style service models based on SaaS are basically applied to develop the management system. Moreover, a newly improved concept of duplication check algorithm in a hierarchical evaluation process is presented and a personalized interface based on web standard is applied to implement the system. Algorithms of duplication check for journal, volume/number, and paper are hierarchically presented with their logic flows. Total framework of our development obeys the standard feature of Electronic Cabinet Guidelines offered by Korea government so that we can accomplish standard of application software, quality improvement of total software, and reusability extension. Scope of our development includes core services of library automation system such as acquisition, list-up, loan-and-return, and their related services. We focus on interoperation compatibility between elementary sub-systems throughout complex network and structural features. Reanalyzing and standardizing each part of the system under the concept on the cloud of service, we construct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generating, test, operation, and maintenance. Finally, performance analyses are performed about resource usability of server, memory amount used, and response time of server etc. As a result of measurements fulfilled over 5 times at different test points and using different data, the average response time is about 62.9 seconds for 100 clients, which takes about 0.629 seconds per client on the average. We can expect this result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system in real-time level proof. Resource usability and memory occupation are also good and moderate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systems. As total verification tests, we present a simple proof to obey Electronic Cabinet Guidelines and a record of TTA authentication test for topics about SaaS maturity, performance, and application program features.

스프링 서버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1270)을 이용한 응용 공격 시나리오의 대응 방안 (Countermeasure of an Application Attack Scenario Using Spring Server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CVE-2018-1270))

  • 정병문;장재열;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03-308
    • /
    • 2019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웹서비스 개발도구의 표준이라 할 만큼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1270)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서버를 대상으로 발생한 취약점의 위험성을 해킹 시나리오 POC(Proof Of Concept)를 이용한 취약점 실험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종국적 대응방안으로 버전 4.3.16와 버전 5.0.5 이상으로 패치를 제안한다. 아울러 제안한 해킹시나리오 취약점 실험분석이 보안 프로그램의 성능향상 및 새로운 인증체계의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전자정부 수출 촉진을 위한 전략적 접근 - 개발도상국 진출을 중심으로 - (A Strategic Approach for Promoting Korean e-Government Model Exports Targeting Developing Countries -)

  • 남재일;이종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49-10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UN 전자정부 세계 순위 평가에서 2010년에 이어 2회 연속 1위로 평가 받은 바 있는 한국의 전자정부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수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물론 현재까지 개별 부처나 기관별로는 관련 시스템의 수출을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 왔으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 수출 기업 지원을 위한 기존 부처나 기관 중심의 추진전략에서 나타난 미흡한 점을 분석하여 한국 전자정부의 수출을 촉진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중장기적인 전략과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기존 정부부처 및 기관별로 추진하고 있는 전자정부 수출전략을 분석하여 그 개선점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목표모델과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 보다 적실성이 높으며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RIA기반의 웹 콘텐츠 관리에 관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A)

  • 서준오;김철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09-1114
    • /
    • 2015
  • 본 논문은 RIA 기술 중 하나인 어도비 플렉스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CMS를 설계 구현 한다. 플렉스는 기존 HTML+CSS+Javascript 등으로 이루어진 마크업 언어 위에 다양한 시각적 컴포넌트를 쉽게 추가 할 수 있어 보다 역동적인 웹사이트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HTTP요청 처리는 MVC기반의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 쓰이고 있다. 갈수록 방대해져 가는 웹 콘텐츠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Essential Competencies for Digital Workforce of Provincial Office in Thailand Using Delphi Technique

  • Rujira Rikharom;Wirapong, Chansanam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51-8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study its required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proposes a competency framework necessary for the digital workforce of the Provincial Offices in Thailand. The specific primary informants were determined as 17 people. The collecting process was perform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the electronic Delphi technique in two phases, totaling four rounds. In the first time, a structured interview was used to conduct online interviews for 15 people. Content valid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issues of the competency framework essential for the digital workforce with 7-level scaled questionnaires, and then online reviews were collected between 10-15 people (2nd to 4th times). A consensus was found and confirmed four time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namely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mode, median,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mode and median, interquartile range,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essential competency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workforce were covered in digital literacy (six aspects), digital skills (four aspects), and digital characteristics (four aspects). Consensus was confirmed for 84 issue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61 points for building an essential competency framework for the digital workforce made them effective in using digital technology as a labor-saving instrument, as well as for expanding the breadth of development of digital expertise to includ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digital practitioner network. This development will benefit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rivate sector,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 the future.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Development using the Standard Framework of Electronic Government)

  • 김호진;김창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8-1009
    • /
    • 2013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공공사업 프로젝트에서 응용 SW 표준화, 품질 및 재사용성 향상 등의 목적 하에 개발된 것으로 일반 기업에서도 도입하여 시스템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이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가 정부기관은 물론 일반기업에서도 효율성 향상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일반기업 프로젝트에 도입할 때의 기대효과 및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도입방법과 단계를 살펴보고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가 일반기업에서도 많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