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databases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8초

과훈련에 따른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대한 문헌 고찰: P300, EEG 대뇌반구비대칭 연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n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nd Emotional Changes of Athletes by Overtraining: P300, EEG Cerebral Hemispheric Asymmetry)

  • 하태호;김진구;김성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501-509
    • /
    • 2017
  • 본 연구는 과훈련에 따른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관련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과훈련 시 유발되는 신체적 피로감이 어떻게 선수들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신경생리학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와 코치들에게 뇌 생리적 관점에서 과훈련 증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최근 20년간 발행된 국내외 학술자료 및 연구보고서 등을 검토하였으며, 검색된 학술 문헌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문헌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검토한 문헌을 바탕으로 과훈련에 따른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신체의 피로감이 과훈련을 통해 누적되어 운동수행 저하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인지 및 정서적 능력 측면에서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ERP를 이용한 P300의 진폭과 잠재기 및 EEG를 이용한 대뇌반구비대칭 차이지표를 이용한 접근은 과훈련이 인지정보처리과정과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뇌생리심리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Effectiveness of alendronate as an adjunct to scaling and root planing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 Chen, Jin;Chen, Qian;Hu, Bo;Wang, Yunji;Song, Jinli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6호
    • /
    • pp.382-395
    • /
    • 2016
  • Purpose: Alendronate has been proposed as a local and systemic drug treatment used as an adjunct to scaling and root planing (SRP)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However, its effectiveness has yet to be conclusively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RP with alendronate on periodontitis compared to SRP alone. Methods: Five electronic databases were used by 2 independent reviewers to identify relevant articles from the earliest records up to September 2016.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comparing SRP with alendronate to SRP with placebo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were included. The outcome measures were changes in bone defect fill, probing depth (PD),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CAL) from baseline to 6 months. A fixed-effect or random-effect model was used to pool the extracted data, as appropriate. Mean differences (MD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Heterogeneity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chi}^2$ and $I^2$ tests. Results: After the selection process, 8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Compared with SRP alone, the adjunctive mean benefits of locally delivered alendronate were 38.25% for bone defect fill increase (95% CI=33.05%-43.45%; P<0.001; $I^2=94.0%$), 2.29 mm for PD reduction (95% CI=2.07-2.52 mm; P<0.001; $I^2=0.0%$) and 1.92 mm for CAL gain (95% CI=1.55-2.30 mm; P<0.001; $I^2=66.0%$). In addition, systemically administered alendronate with SRP significantly reduced PD by 0.36 mm (95% CI=0.18-0.55 mm; P<0.001; $I^2=0.0%$) and increased CAL by 0.39 mm (95% CI=0.11-0.68 mm; P=0.006; $I^2=6.0%$). Conclusions: The collective evidence regarding the adjunctive use of alendronate locally and systemically with SRP indicates that the combined treatment can improve the efficacy of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on increasing CAL and bone defect fill and reducing PD. However, precautions must be exercised in interpreting these results, and multicenter studies evaluating this specific appl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Risk of Breast Cancer and Total Malignancies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Undergoing TNF-α Antagonist Therapy: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 Trials

  • Liu, Yang;Fan, Wei;Chen, Hao;Yu, Ming-X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403-3410
    • /
    • 2014
  • Context: Interest exits in whether TNF-alpha antagonists increase the risk of breast cancer and total malignancie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Objectives: To analyze the risk of malignancies, especially breast cancer, in patients with RA enrolled in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for RCTs from 1 January 1998 to 1 July 2013 from online databases, such as PubMed, WILEY, EMBASE, ISI web of knowledge and Cochrane Library was conducted. Studies included RCTs that compared the safety of at least one dose of the five TNF-${\alpha}$ antagonists with placebo or methotrexate (MTX) (or TNF-${\alpha}$ antagonists plus MTX vs placebo plus MTX) in RA patients for more than 24 weeks and imported all the references into document management software EndNote${\times}6$. Two independent reviewers selected studies and extracted the data about study desig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number of all malignancies. Results: 28 RCTs from 34 records with 11,741 patients were analyzed. Of the total, 97 developed at least one malignancy during the double-blind trials, and breast cancer was observed in 17 patients (17.5% of total malignanci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risk observed in either the per protocol (PP) model (OR 0.65, 95%CI [0.22, 1.93]) or the modified intention to treat (mITT) model (OR 0.75, 95%CI [0.25, 2.21]).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trend for increased risk of total malignancies on anti-TNF-${\alpha}$ therapy administered at approved doses in either model (OR, 1.06, 95%CI [0.64, 1.75], and OR, 1.30, 95%CI [0.80, 2.14], respectively). As to the two models, modified intention to treat model analysis led to higher estimation than per protocol model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did not find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and total malignancies in adults RA patients treated with TNF-${\alpha}$ antagonists at approved doses. However, it cannot be ignored that more patients developed malignancies with TNF-${\alpha}$ antagonists therapy compared with patients with placebo or MTX, in spite of the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o that more strict clinical trials and long-term follow-up are needed, and both mITT and PP analyses should be used in such safety analyses.

Efficacy and Safety of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s for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Yuan, Dong-Mei;Li, Qian;Zhang, Qin;Xiao, Xin-Wu;Yao, Yan-Wen;Zhang, Yan;Lv, Yan-Ling;Liu, Hong-Bin;Lv, Tang-Feng;Song, Y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661-1675
    • /
    • 2016
  • Objectives: Can addition of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s (NK1-RAs) be considered as an ideal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CINV)? Researchers differ on this question. Materials and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that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NK1-RAs in preventing CINV. The primary end point was complete response (CR) in the acute, delayed, and overall phases after chemotherapy. Subgroup analyses evaluated the types of NK1-RAs, routines of administration, types of malignancies, regimens used in combination with NK1-RAs, and age of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ies. The incidences of different types of adverse events were also extracted to estimate the safety of NK1-RAs. Results: A total of 38 RCTs involving 13,923 patients were identified. The CR rate of patients receiving NK-RA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s during overall phase (70.8% vs 56.0%, P<0.001), acute phase (85.1% vs 79.6%, P<0.001), and delayed phase (71.4% vs 58.2%, P<0.001). There were three studies including patients of children or adolescents, the CR rat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overall phase: OR=2.807, P<0.001; acute phase: OR=2.863, P =0.012; delayed phase: OR=2.417, P<0.001). For all the other outcomes, patients in the NK1-RAs groups showed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cidence of nausea: 45.2% vs 45.9%, P<0.001; occurrence of vomiting: 22.6% vs 38.9%, P<0.001; usage of rescue drugs: 23.5% vs 34.1%, P<0.001). The pooled side effects from NK1-RA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previous reports and the toxicity rates in patients less than eighteen years old also did not diff between the two groups (P=0.497). However, we found that constipation and insomnia were more common in the patients of control groups, whereas diarrhea and hiccups were more frequently detected in patients receiving NK1-RAs. Conclusions: NK1-RAs improved the CR rate of CINV. They are effective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The use of NK1-RA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of diarrhea and hiccups, while de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nstipation and insomnia.

MLH1 Polymorphisms and Cancer risk: a Meta-analysis Based on 33 Case-control Studies

  • Xu, Jia-Li;Yin, Zhi-Qiang;Huang, Ming-De;Wang, Xie-Feng;Gao, Wen;Liu, Ling-Xiang;Wang, Rong-Sheng;Huang, Pu-Wen;Yin, Yong-Mei;Liu, Ping;Shu, Yong-Q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901-907
    • /
    • 2012
  • Objective: Cumulative evidence suggests that MLH1, the key component in the mismatch pathw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human cancers. Two potential functional polymorphisms (-93G>A and I219V) of MLH1 have been implicated in cancer risk. The aim of this meta-analysis was to summarize the evidence for associations. Methods: Eligible studies were identified by searching the electronic literature PubMed, ScienceDirect and Embase databases for relevant reports and bibliographies. Studies were included if of case-control design investigating MLH1 polymorphisms (-93G>A and I219V) and cancer risk with sufficient raw data for analysis. Odds ratios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 were used to evaluate the strength of associations. Results: Our meta-analysis from 33 published case-control studies showed the variant A allele of -93G>A polymorphism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in all genetic models (AA vs. GG: OR = 1.22, 95% CI: 1.03-1.44), especially among non-Asians (AA vs. GG: OR = 1.28, 95% CI: 1.04-1.58). For the I219V polymorphism, however, there was no main effect associated with overall cancer risk in any genetic model. Conclusions: The meta-analysis suggested that the MLH1 -93G>A polymorphism may be a biomarker of cancer susceptibility. Large sample association studies and assessment of gene-to-gene as well as gene-to-environment interactions are required to confirm these findings.

Tumor Necrosis Factor-α 238 G/A Polymorphism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 Cheng, Ke;Zhao, Yu-Jun;Liu, Lian;Wan, Jing-J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275-3279
    • /
    • 2013
  • Backgrou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ancer.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evaluated associations between the TNF-${\alpha}$ 238 G/A polymorphism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isk, but the published data are inconclusive. Therefore, we performed the present meta-analysis. Methods: Electronic searches of several databases were conducted for all publication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NF-${\alpha}$ 238 G/A polymorphism and HCC through July 2012. Asummary odds ratio (OR) with its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is association. Results: Eleven case-control studies with a total of 1,572 HCC cases and 1,875 controls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Overall, the TNF-${\alpha}$ 238 G/A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ree genetic comparison models (For A versus G: OR 1.32, 95%CI 1.04-1.69, P = 0.02, $I_2$ = 40%; for AG versus GG: OR 1.32, 95%CI 1.02-1.71, P = 0.03, $I_2$ = 40%; for AA/AG versus GG: OR 1.33, 95%CI 1.03-1.72, P = 0.03, $I_2$ = 41%) when all studies were pooled. Subgroup analysis by ethnicity further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TNF-${\alpha}$ 238 G/A polymorphism and risk of HCC in Asians under three genetic comparison models (For A versus G: OR 1.30, 95%CI 1.00-1.68, P = 0.05, $I_2$ = 45% for AA/AG versus GG: OR 1.31, 95%CI 1.00-1.71, P = 0.05, $I_2$ = 46%).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provided convincing evidence that the TNF-${\alpha}$ 238 G/A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usceptibility to HCC. However, more well-designed studies with large sample size are needed to validate this association in Caucasians.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 문헌 내 사회적 의사소통 측정 도구 분석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87
    • /
    • 2016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에 있어 넓은 범주의 개별적 변이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재 개입 시 효과적인 전략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도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중재 문헌 내에서 사용된 사회적 의사소통 측정 도구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전자데이터베이스 및 음악치료 학술지 검색을 통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변인으로 한 중재 연구 중 1980년에서 2015년까지 출간된 통제된 디자인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최종 분석에는 21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측정 도구 유형으로는 행동 직접 관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측정 도구 유형과 그에 따른 목표 영역 간 조합에 있어 변이성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선정된 연구 중 90.4%를 차지하는 연구에서 측정 도구 사용의 적절성 검증을 위한 평가자 간 신뢰도가 보고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중재문헌 내에서 객관적, 체계적 평가 시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동일 기능 수준에 접근하는 개별 연구 간 평가 방안 및 전략에 있어 일관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임상근거 도출에 제한이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자폐범주성장애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 시 전반적 기능 수준 변화뿐만 아니라 특정한 행동 습득, 사회 인지 수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건강한 노화를 위한 음악활용 : 국내·외 연구 고찰 (The Use of Music for Healthy Elderly : Literature Review)

  • 이예빛나;김수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35-34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 노인 대상 음악 활용 연구 내 음악 적용 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수기 검색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한 국내 연구 19편, 국외 연구 21편의 총 40편이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외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활용(중재) 연구 시작 시기가 1990년대 말로 유사하며 게재 논문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문헌 모두에서 노인의 정서, 특히 우울에 개입한 음악 활용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음악 적용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는 민요와 대중가요를 활용한 가창 활동, 국외에서는 클래식 및 명상음악의 감상이 주요한 활동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연구 모두 기존 음악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국내 연구에서는 라이브 음악의 사용 비중이 국외 연구에 비해 높고 대상자의 선호가 반영된 음악을 선정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성공적 노화에 대한 노인 대상군의 높은 요구가 국내외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반면, 구체적으로 음악을 적용하는 데 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국내외 연구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적,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다차원적인 접근의 활용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 차이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 이지영;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95-106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성별에 따른 인지 중재 및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사이의 문헌을 Cochrane, Google Scholar, KISS, PubMed, PsycINFO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로는 'Sex differences' or 'Gender differences' and 'Episodic memory' or 'Autobiographical memory'를 사용하였다. 8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연구의 질적 수준, 연구 대상자, 일화기억 평가 방법, 주요 측정변수, 수행 결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편의 연구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준 II에 해당하는 연구 5편(62.5%), 수준 III에 해당하는 연구는 3편(37.5%)으로 전반적인 질적 수준은 높았다. 분석 결과, 주로 성인과 노인이 연구 대상자에 포함되어 있었다. 일화기억 평가 방법은 인지과제 또는 표준화된 검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각 또는 청각 자극을 제시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자유회상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그 수행을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고 특히 청각적 일화기억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시각적 일화기억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결론 :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일화기억을 평가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수준의 일화기억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인지적 중재를 시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생태학적인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일화기억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모아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 박선정;김신정;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75-86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수행된 모아상호작용에 관해 보고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중 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모아상호작용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결과 19편의 논문 중 18편(94.7%)이 비 무작위 대조연구(NRCCT)였고 1편은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연구이었다. 신생아 대상 논문이 9편, 미숙아 대상 논문이 5편, 장애 영아 대상 논문이 1편, 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아 대상 논문이 1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이었다. 모아상호작용에 적용한 중재연구를 내용 분석한 결과, 전신 마사지를 포함하여 총 6종류의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감각자극을 적용한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 및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연구는 4편, 전신 마사지를 적용한 중재연구 3편, 캥거루식 돌보기를 적용한 논문 2편, 방문지원 1편, 음악요법 1편이었다. 결론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통합적 문헌고찰에 적합한 연구설계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모아상호작용 중재효과의 지속시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됨으로 모아상호작용 증진에 보다 적합한 간호 중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축적될 수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