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Journal Licens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초

저화질 영상에서 강건한 번호판 추출 방법 (A Robust License Plate Extraction Method for Low Quality Images)

  • 이용우;김현수;강우윤;김경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2호
    • /
    • pp.8-1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매우 다양한 조건하에서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색상정보와 에지정보를 보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조건은 물론 압축영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영상의 블록화 현상에 강건하게 번호판을 추출한다. 번호판 기울기 각도 보정은 탐색된 영역만을 허프 변환을 통해 각도를 추정, 보정함으로써 연산량을 줄였다. 최종 번호판 후보지 결정은 대상 영역의 가로 대 세로 비율 평가, 수평 스캔하여 영점 교차되는 양상 평가, 레이블링 방법을 이용한 연결 성분 수 측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다양한 시간대에 수집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강건하게 번호판을 추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 주정차 단속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4.9%의 번호판 추출 결과를 얻었다.

컬러 정보 및 형태학적 특징과 신경망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A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Using Colors Informa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Neural Network)

  • 조재현;양황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04-3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컬러 공간 및 형태학적 특징과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번호판의 후보영역 중에서 신 구 차량 번호판의 형태학적 특성을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잡음 영역을 제거하고,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번호판 개별 영역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Label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문자를 추출한 후에 결합한다. 이렇게 분류된 개별 문자 및 숫자 코드를 ART2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학습 및 인식을 한다. 제안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녹색 번호판과 흰색 번호판 각각 100장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시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이 실험을 통해서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디지털상품의 국제거래 유형과 분쟁 해결방안 (Disputes Patterns and Resolution Approaches in the Global Trading of Digital Goods)

  • 심상렬;정윤세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7권3호
    • /
    • pp.145-167
    • /
    • 2007
  • Digital goods are defined as intangible and non-physical good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digital signals, electronically represented as 0 and 1. They are also called as digital products, electronic transmissions, information goods, digital contents, computer information, etc. Digital goods are now trad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s well as on-line and off-line. Korean government revised the Basic Law on Foreign Trade to include digital goods and services as the scope of foreign trade in 2001. Trade volume of digital goods are increasing in Korea. The supply chains of digital goods from producing the components to selling globally to consumer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physical goods. Mostly, digital goods are traded on the license basis rather than ownership contract. End User License Agreements(EULAs), such as shrink-wrap, click- wrap, or browser-wrap licenses are very popular in online transactions. Unlike conventional physical goods. the breach of license contract is closely linked with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gitalized intellectual property is easy to copy and transmit in the cyber space. In cases of legal disputes from the breach of license contract, commercial arbitration or on-lin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ADRs) are regarded as better approach to solve them rather than court sues. For promoting more secure and reliable international trade of digital goods. arbitration clauses should be included in most of license contracts.

  • PDF

전자자원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etadata for Licensed Electronic Resources)

  • 이두영;강순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4호
    • /
    • pp.57-80
    • /
    • 2004
  • 오늘날 대부분의 도서관 전자자원 이용은 라이선스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용자의 전자자원 접속 및 이용은 라이선스 조건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 따라서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라이선스 관련 데이터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자원 관리를 위한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를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방법으로 전자자원 메타데이터 스키마, 저작권 권리표현언어의 분석과 외국 대학도서관 전자자원 관리시스템의 라이선스 관련 데이터요소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전자자원 라이선스 관련 핵심요소와 선택요소로 구분하여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를 설정하였다.

차량후면부 차량특징정보 검출을 통한 차량정보인식 및 자동과금시스템 (Vehicle Informa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with Detection of Vehicle feature Information in the Rear-Side of Vehicle)

  • 이응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5-4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나 도심 진입 차량의 무인 자동과금 및 주요시설 출입 차량의 통제와 관리를 위하여 차량번호판 인식뿐만 아니라 차량 표시 문자와 제조사 식별자 검출 분류하여 차량의 정보를 판독하는 차량정보인식 및 자동과금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차량 후면부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잡음제거, 세선화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템플릿 마스킹 및 레이블링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차량표시문자, 제조사 표식자 및 번호판 영역을 각각 검출하였다. 또한, 검출된 특징 영역으로부터 특징자의 구조적 특징 및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문자와 제조사 표식자를 분류하였고, 하이브리드 패턴벡터와 세븐세그먼트 패턴벡터를 사용하여 차량번호판의 문자 및 숫자를 각각 인식하였다. 실험에서는 실제 고속도로상에서 제안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획득된 실 영상을 사용하여 인식 성능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잡음, 외부환경, 차량의 크기에 무관하게 차량 특징자를 정확히 검출 분류하였으며 제안한 시스템은 범죄차량 단속, 차량자동과금 및 관공서 등의 차량입출력 관리의 무인화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학교 도서관을 위한 전자책 구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Purchasing Models for Electronic Books in the School Libraries)

  • 김성혁;김진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9-145
    • /
    • 2006
  • 본 논문은 초중등 학교도서관의 전자책 적정 구매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전자책의 특성, 전자책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그리고 가격결정모델과 구매방법에 대한사례조사, 환경, 정부의 역할 등을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책 구매를 위한 적정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안된 모델의 현실적 활용을 위해 공청회, 전국교육청 학교도서관 담당자 및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가상 데이터를 활용한 번호판 문자 인식 및 차종 인식 시스템 제안 (Proposal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Using Synthetic Data and Vehicle Type Recognition System)

  • 이승주;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76-78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차종 인식과 자동차 번호판 문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영상처리를 통한 번호판 영역 추출과 DNN을 이용한 문자 인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환경이 변화되면 인식률이 하락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시간 검출과 환경 변화에 따른 정확도 하락에 초점을 맞춰 1-stage 객체 검출 방법인 YOLO v3를 사용하였으며, RGB 카메라 한 대로 실시간 차종 및 번호판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 학습데이터는 차종 인식과 자동차 번호판 영역 검출의 경우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며, 자동차 번호판 문자 인식의 경우 가상 데이터만을 사용하였다. 각 모듈별 정확도는 차종 검출은 96.39%, 번호판 검출은 99.94%, 번호판 검출은 79.06%를 기록하였다. 이외에도 YOLO v3의 경량화 네트워크인 YOLO v3 tiny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딥러닝과 의미론적 영상분할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의 숫자 및 문자영역 검출 (Detection of Number and Character Area of License Plate Using Deep Learning and Semantic Image Segmentation)

  • 이정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9-35
    • /
    • 2021
  • 자동차 번호판 인식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자동차 번호판의 숫자 및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과 의미론적 영상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자동차 번호판의 번호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화소 투영과 같은 전처리과정 없이 번호판 영상에서 바로 숫자 및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이다. 번호판 영상은 도로 위에 설치된 고정 카메라로 부터 획득한 영상으로 날씨 및 조명변화 등을 모두 포함한 다양한 실제 상황에서 촬영된 것을 사용하였다. 입력 영상은 색상변화를 줄이기 위해 정규화하고 실험에 사용된 딥러닝 신경망 모델은 Vgg16, Vgg19, ResNet18 및 ResNet50이다. 제안방법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번호판 영상 500장으로 실험하였다. 학습을 위해 300장을 할당하였으며 테스트용으로 200장을 사용하였다. 컴퓨터모의 실험결과 ResNet50을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하였으며 95.77% 정확도를 얻었다.

디지털 장서개발의 방법과 전략 (Methods and Strategies of Digital Collection Development in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9-99
    • /
    • 2007
  • 도서관의 핵심역량은 서고에 축적된 방대한 아날로그 자료와 서버에 농축되는 고품질의 디지털 컨텐츠에서 발원하며, 양자의 상호작용이 강화할 때 지식정보의 타입캡슐과 게이트웨이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 연구는 디지털 장서개발의 대상과 방법을 논급한 다음에 전자잡지의 라이선스 확보 인터넷 정보자원의 개발,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등의 전략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어느 도서관이든 디지털 장서개발과 아카이빙에 소홀하면 정보공유지로서의 입지를 상실할 것이다.

  • PDF

SIFT와 신경망을 이용한 학습 기반 차량 번호판 검출 (Learning-based Detection of License Plate using SIFT and Neural Network)

  • 홍원주;김민우;오일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8호
    • /
    • pp.187-195
    • /
    • 2013
  • 차량 번호판 검출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해 영상 획득 환경을 제한한다. 본 논문은 제약사항이 적은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 번호판을 검출하기 위해 SIFT와 신경망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SIFT는 영상의 크기, 회전 변화에 불변하는 지역특징으로서 처리해야 할 환경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분별력이 뛰어나다. 영상에서 추출한 SIFT를 번호판 내부의 것(내부 부류)과 외부의 것(외부 부류)으로 나누어 2부류 분류기를 학습한다. 분류기는 신경망을 사용하며, 찾고자 하는 번호판의 종류를 학습 집합에 포함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번호판을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지역특징을 추출하고 미리 학습한 분류기로 번호판 내부 부류를 가려낸다. 분류기의 성능이 높지 않더라도 분류 결과 내부 부류는 번호판 내부에 밀집하여 나타나고 번호판 외부에서는 흩어져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지역특징 맵을 만들고, 이 맵에서 임계값 이상인 전역 최댓값을 번호판 영역으로 검출한다.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수집하고 지역특징 분류와 번호판 검출 알고리즘을 실험한다. 지역특징을 분류기로 분류한 결과 정인식률은 97.1%, 정확률은 62.0%, 재현율은 50.2%를 보였다. 정인식률에 비해 정확률과 재현율은 낮았지만, 번호판 검출 결과 98.6%의 높은 검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