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Journal Licens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도서관에서의 해외전자정보 라이센싱 (A Study on Licensing of the Electronic Resource Collections in Korean Universities)

  • 한혜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2호
    • /
    • pp.87-105
    • /
    • 2004
  • 인쇄환경에서의 도서관은 장서 구입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무제한 접근과 영구 이용을 지원한다. 이와 달리 전자환경에서의 도서관은 대부분의 전자정보 서비스를 일정기간 동안만 접속할 수 있고 특정 조건하에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전자정보의 접속은 라이선스 취득을 통하여 가능하며 전자정보의 라이센싱이란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출판사 혹은 정보제공자인 라이센서(licensor)와 전자자원을 구입하려는 도서관인 라이센시(licensee)간 협상한 내용에 상호 동의하여 계약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도서관에서는 이제 필요한 전자정보를 확충하기 위하여 구입(purchasing)하는 것이 아닌 라이센싱(licensing)을 해야 한다. 본 논고에서는 라이센싱 관련 현안들을 살펴보고 전자정보의 선정 기준과 라이센싱 관련 원칙 및 고려사항에 대하여 문헌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본 논고에서 정리하여 제시한 사항들이 국내 대학도서관의 해외 전자정보 담당자 업무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YOLOv5에서 가상 번호판 생성을 통한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through Fake License Plate Generator in YOLOv5)

  • 하상현;정석찬;전영준;장문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699-706
    • /
    • 2021
  • Exist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is used as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but a method of using deep learning has been proposed in recent studies because it has problems with image quality and Korean misrecognition. This requires a lot of data collection, but the collection of license plates is not easy to collect due to the problem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labeling work to designate the location of individual license plates is required, but it also requires a lot of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five types of license plates were created using a virtual Korean license plate gener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notic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generated license plate is synthesized in the license plate part of collectable vehicle images to construct 10,147 learning data to be used in deep learning. The learning data classifies license plates, Korean, and numbers into individual classes and learn using YOLOv5. Since the proposed method recognizes letters and numbers individually, if the font does not change, it can be recognized even if the license plate standard changes or the number of characters increas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n accuracy of 96.82% was obtained, and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learned license plate but also to new types of license plates such as new license plates and eco-friendly license plates.

다단계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블랙박스 영상용 차량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 (A License Plat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Multi-Stage Neural Network for Automobile Black-Box Image)

  • 김진영;허서원;임종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0-48
    • /
    • 2018
  • 본 논문은 차량과 함께 카메라의 위치가 이동하는 블랙박스 영상을 위한 차량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카메라의 흔들림이나 빛의 변화가 많은 블랙박스 영상에서 다단계 신경 회로망을 사용하여 한글 문자의 인식률을 높여 전체적인 차량 번호판의 인식률을 높이고자 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차량 번호판의 한글 문자의 모음과 자음을 분리하여 인식한다. 먼저, 1차 신경 회로망으로 모음을 인식하고, 종모음('ㅏ','ㅓ')과 횡모음('ㅗ','ㅜ')로 구분한 뒤 각각의 모음군에 2차 신경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자음을 구분한다. 실제 블랙박스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 번호판 인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한 인식 시스템이 기존의 신경 회로망 기법을 사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보다 높은 인식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SVM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위치 추출 (License Plate Location Using SVM)

  • 홍석근;천주광;안명석;심준환;조석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45-8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SVM을 이용한 번호판 위치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번호판 영역은 가로-세로 비율 컬러, 공간 주파수 성분 등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영상 획득, 번호판 후보 영역 추출, 번호란 위치 검증 세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판 후보 영역 추출 단계에서는 컬러 필터링과 경계선 검출을 하여 번호판 후보 영역을 찾아내고 후보 영역의 DCT 계수를 SVM에 적용하여 검증한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거침으로써 잘못된 추출을 막아 신뢰성 있는 번호판 영역 추출이 가능하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딥러닝을 이용한 번호판 검출과 인식 알고리즘 (License Plate Detection and Recognition Algorithm using Deep Learning)

  • 김정환;임준홍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642-651
    • /
    • 2019
  • 최근 지능형 교통관제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번호판 검출과 인식 알고리즘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번호판은 차량의 고유 식별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차량 통행 관제 시스템은 정차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차량의 입출입 인식 방법으로 루프 코일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교통 정체를 유발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의 입출입 인식 방법으로 카메라 영상을 사용한다. 차량 통행 관제 시스템의 특성상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차량이 접근하면 카메라의 배경화면이 달라진다. 이 특징을 이용하여 배경화면의 차분영상을 구하면 차량의 입출입을 인식할 수 있다. 입출입 인식 후 한국 번호판의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후보 이미지를 추정한다. 그리고 선형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해서 최종 번호판을 검출한다. 검출한 번호판의 글자와 숫자 인식 방법으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의 시스템과 달리 검출 위치를 기준으로 글자와 숫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번호판의 규격이 변해도 인식할 수 있다. 실험한 결과 기존의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들 보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더 높은 인식률을 가진다.

동적 사용권 권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상품의 온라인 유통 (On-line Circulation of Software Product based on Dynamic License Control)

  • 강우준;김응모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5S호
    • /
    • pp.1726-1735
    • /
    • 2000
  •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상품은 하드웨어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전자파일 형태의 상품 즉,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판매는 물류비용이 없고, 상품의 검색이용이하며, 한시적으로 사용해 본 후 구입할 수 있는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불법 복제 문제 때문에 혀재 전자상거래에서는기피 상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디지털 소프트웨어 상품의 불법 복제 문제는 상용권 관리 기술의 부재가 가장 큰 이유중이 하나니 .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사용권 부여 대상의 식별 방법이 없고, 대상의 이동 방지가 불가능하고, 해킹 방지가 미비하며, 기타 전자상거래 구조가 미완성되어 사용권 관리상에 많은 문제젬을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 상에서 소프트웨어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권 관리 기술인 동적 사용권 관리(DLCC: Dynamic License Control)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 할 뿐 아니라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는 디지털 소프트웨어 상품의 상품 작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을 제안한다.

  • PDF

YOLOv5에서 자동차 번호판 및 문자 정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hicle License Plates and Character Sorting Algorithms in YOLOv5)

  • 장문석;하상현;정석찬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55-562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rting method for extracting accurate license plate information, which is currently used in Korea, after detecting objects using YOLO. We propose sorting methods for the five types of vehicle license plates manag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y classifying the plates with the number of lines, Korean characters, and numbers.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5 license plate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dentifies all license plate types and information by focusing on the object with high reliability score in the result label file presented by YOLO and deleting unnecessary object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pplicable to all systems that recognize license plates.

Emgu CV를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자동 인식 프로그램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 program using Emgu CV)

  • 김남우;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209-1214
    • /
    • 2016
  • 자동차 번호판 인식은 대중적인 감시 기술 중의 한 종류로서, 주어진 비디오나 영상 내 광학문자 인식을 수반한다. 번호판 인식은 자동차 번호판 국부화, 번호판의 크기, 차원, 명암대비, 밝기를 조정하는 정규화, 개별문자를 얻어내는 문자 분할, 문자를 인식하는 광학 문자 인식, 번호판의 형태, 크기, 위치 들이 연도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번호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구문 분석을 하는 절차를 거친다. 본 논문에서는 EmguCV를 이용하여 구현한 번호판 감지를 수행하여 위치를 찾아내고, 오픈 소스 광학 문자 인식 엔진으로 잘 알려져 있는 테서렉트 OCR을 이용하여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자동 인식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번호판의 촬영 각도, 크기, 밝기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에 관해 기술하였다.

An Edge AI Device base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 Jeong, Youngwoo;Oh, Hyun Woo;Kim, Soohee;Lee, Seung Eu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0권3호
    • /
    • pp.166-173
    • /
    • 2022
  •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that provide safety and convenience to humans. Systems that compose the ITS adopt architectures that applied the cloud computing which consists of a high-performance general-purpose processor or graphics processing unit. However, an architecture that only used the cloud computing requires a high network bandwidth and consumes much power. Therefore, applying edge computing to ITS is essential for solving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dge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ice based ITS. Edge AI which is applicable to various systems in ITS has been applied to license plate recognition. We implemented edge AI on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The accuracy of the edge AI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was 0.94. Finally, we synthesized the edge AI logic with Magnachip/Hynix 180nm CMOS technology and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d using the Synopsys's design compiler tool was 482.583mW.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을 이용한 MP3 디지털 음악의 온라인 유통 (On-line Circulation of MP3 Digital Music based on Digital Rights Management Technology)

  • 강우준;김응모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1S호
    • /
    • pp.3694-3701
    • /
    • 2000
  •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전자파일 형태의 상품 즉,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판매는 물류비용이 없고, 상품의 검색이 용이하며, 한시적으로 사용해 본 후 구입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불법 복제 문제 때문에 현재 전자상거래에서는 기피 상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트 저작권 보호 기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한 저작권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안정된 수익 모델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이며 기술적인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상품의 불법 복제 문제는 사용권 관리 기술의 부재가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이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사용권 부여 대상의 식별 방법이 없고, 대상의 이동 방지가 불가능하고, 해킹 방지가 미비하며, 기타 전자상거래 상에서 MP3 디지털 음악의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인 동적 사용권 관리(DLC : Dynamic License Control) 기술을 이용한 MP3 음악 상품의 유통시스템과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는 MP3 상품작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