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Health Record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6초

개인건강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 (Security Requirements of Personal Health Service)

  • 김상곤;황희정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8-5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개인건강서비스들이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될 때, 프라이버시 이슈를 포함하여 개인건강서비스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제안된다. 개인건강과 연관된 서비스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될 것이 예상되므로, 우선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한 후,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직접적인 위협과 간접적인 위협을 포함한 보안 위협을 개인건강서비스의 보안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의료서비스를 위한 전자의료기록(EMR)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에 기반을 두고 개인건강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한 뒤,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요구사항이 개인건강서비스의 보안요구사항에 의해 충족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관계를 보임으로서 제안된 개인건강서비스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OAuth 2.0 위임 Token을 이용한 환자정보 전달 시스템 (Patient Information Transfer System Using OAuth 2.0 Delegation Token)

  • 박정수;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1103-1113
    • /
    • 2020
  • 병원에서는 의료 기록저장 시스템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을 통하여 개인 정보 및 건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그러나 병원의 정보 공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취약점과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MR에서 환자 정보의 전송으로 인한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환자의 의료 기록이 저장된 병원으로부터 환자 정보를 안전하게 수신 및 전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을 OAuth 권한 위임 토큰을 사용하여 제안하였다. OAuth Token에 의사 정보와 환자가 원하는 기록 열람 제한을 적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안전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OAuth Delegation Token은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 범위, 파기 시점 등을 작성하여 전달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안전한 환자 정보 전달 및 환자 정보 재사용 금지를 방어할 수 있다. 또한, 불법적인 환자 정보 수집을 방지하고 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한다.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환자정보관리 중심- (A Study on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Model for EMR 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Focus 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 최준영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실시하는 EMR 인증기준울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에 인증기준을 추가한 모델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실습 프로그램은 EMR 인증제의 기능성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정보관리를 실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시스템에 환자정보관리에 대한 인증기준 기능을 추가하였다. 환자정보관리를 위한 EMR 인증기준 실습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었다. 등록번호 및 인적사항 관리, 진료예약 일정관리, 인적사항 수정이력관리, 동명이인 구분자 표시, 다중 등록번호 통합관리,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검색, 진료형태에 따른 환자 검색, 수술시술 동의서 기록·조회, 개인정보활용동의서 기록·조회, 연명의료결정정보 표시, 외부 의료기관문서 등록·조회, 외부 검사결과 등록·조회. 이와 같이 인증기준에 의한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의 기능을 운영하여 실습해봄으로써 인증기준의 기능성 영역에서 환자정보관리의 인증기준과 내역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다. EMR 인증 기준에 맞춰 환자정보관리 실습을 수행해봄으로써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서의 표준화된 환자정보관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EMR 인증기준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전자의무기록(EMR)의 활용과 환자정보보호 (EMR System and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 전영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3-22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st successful way for the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focusing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In this study, every aspect of the EMR is reviewed in terms of the hospital management. In particular, definitions, major function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MR are considere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general development of the EMR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applying the EMR.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protec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informed consent, and the customer-orient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re discussed and interpreted in light of the introduction of the EMR into the area of the hospital management. Finally, in this paper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by major Issues on Patient medical information.

FHIR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Health Profiling System Based on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 김영식;김일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60-362
    • /
    • 2014
  • Health Level Seven(HL7)에서 V2.x, V3 보다 향상된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ty Resources)를 표준을 개발하고 있고, 이를 채택한 솔루션 개발이 활발하고, 각 국가 의료환경에서의 검증이 필요하다. 현재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V2.x Message와 V3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CDA)가 존재 하지만, 이 기술 표준들을 개발하고 사용하는데 긴 시간 투자의 문제점이 있다. 현재 V4로 불리우는 개선된 FHIR를 사용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인지 확인한다. 개인건강기록 관리 또한 사회적인 관심을 끌고 있고,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함을 반영하여 개인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을 스마트폰으로 접속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발한다.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시스템과 Personal Health Profiling(PHP) 시스템간의 정보교류를 FHIR Open API로 구성한다. PHP 시스템에서는 이들 트랜잭션을 RESTful 서비스로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FHIR기반의 PHP 시스템을 통해 개인건강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The LEX System : HL7을 사용하는 전자의무기록의 효율적인 교환과 공유를 위한 XML기반 통합의료환경의 구축 (A Medical Integration Framework based on XML for efficient exchange and sharing of Electronic Health Record using HL7)

  • 이민경;정재헌;전종훈;유수영;김보영;최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5호
    • /
    • pp.769-778
    • /
    • 2002
  • LEX(Lifelong EHR based on XML)시스템은 이질적인 병원정보시스템을 가진 병원들이 HL7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중앙의 임상데이터베이스(Central Clinical DataBase/CCDB)를 구축하는 XML 기반의 의료정보통합 프래임 워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병원정보시스템에 독립적인 HL7 메시지 서버 연동방식을 제안하여 HL7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환자중심의 XML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제안한다. 또한 HL7 메시지를 새로운 구조의 XML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DTD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저장공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인 환자중심의 검색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 보호에 관한 국내외 법안 연구 (Research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egislation about Secondary Use Protection fo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 박한나;정부금;이동훈;정교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51-260
    • /
    • 2010
  • 의료서비스와 IT 기술간의 융합으로 환자 개인의 건강정보가 전자의무기록(EHR)의 보급과 함께 빠르게 전자화되고 있다. 이와 함께 유헬스사회에 접어들면서 전자화 된 환자의 건강기록들을 진료 이외의 공중보건 및 의학 분야의 연구,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2차이용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으로 의학 분야의 발전의 매우 유익한 일이지만 부주의하게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환자 개인의 프라이버시 손상이 발생, 더불어 2차이용융 통한 연구나 서비스 발전에도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개인건강정보를 이용한 2차적 이용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나 논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과 관련하여 국내외의 법안들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더불어 의료분야 서비스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영향요인 규명을 위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An Analysis of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for Exploring Physical Health Determinants of High School Students)

  • 이홍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7-124
    • /
    • 2015
  •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를 사는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요인, 학교 요인, 문제행동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제8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중 고등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각 관련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독립변인에 따른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수준의 차이를 t-검증과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독립변인이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를 통합 회귀분석에 근거해 제시하면,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 중에서는 남학생일수록, 아버지의 학력이 저조한 경우에, 형제가 있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요인에서는 저학년일 경우에, 성적이 우수할수록, 문제행동 요인에서는 문제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에,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신체적 건강수준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증진을 위한 제언을 전달하였다.

Panic Disorder Intelligent Health System based on IoT and Context-aware

  • Huan, Meng;Kang, Yun-Jeong;Lee, Sang-won;Choi, Dong-O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21-30
    • /
    • 202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 lot of medical data is effectively used, and the diagnosis and analysis of diseases has entered the era of intelligence. With the increasing public health awareness, ordinary citizens have also put forward new demands for panic disorder health services. Specifically, people hope to predict the risk of panic disorder as soon as possible and grasp their own condition without leaving home. Against this backdrop, the smart health industry comes into being. In the Internet age, a lot of panic disorder health data has been accumulated, such as diagnostic records, medical record information and electronic files. At the same time, various health monitoring devices emerge one after another, enabling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personal daily health information at any time. How to use the above data to provide people with convenient panic disorder self-assessment services and reduce the incidence of panic disorder in China has become an urgent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applies the context awareness to the automatic diagnosis of human diseases. While helping patients find diseases early and get treatment timely, it can effectively assist doctors in making correct diagnosis of diseases and reduce the probability of misdiagnosis and missed diagnosis.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사용성 수준 및 관련 요인 분석: Time-motion 방법 적용을 통한 다기관 접근 (Identifying Usability Level and Factors Affecting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s: A Multi-institutional Time-motion Approach)

  • 조인숙;최원자;최완희;현미숙;박연옥;이유나;조의영;황옥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3-532
    • /
    • 2015
  • Purpose: The usability, user satisfaction, and impact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ENR) system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is mixed-method research was performed as a time-motion (TM) study and a survey which were carried out at six hospitals between August and November 2013. The TM study involved 108 nurses from medical, surgical, and intensive care units at each hospital, plus an additional 48 nurses who served as nonparticipating observers. In the survey, 1879 volunteer nurses completed the Impact of ENR Systems Scale, the System Usability Scale, and a global satisfaction sca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ENR impact, system usability, and satisfaction were 4.28 (out of 6), 58.62 (out of 100), and 74.31 (out of 100), respectively, and the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hospitals (F=43.43, p<.001, F=53.08 and p<.001, and F=29.13 and p<.001, respectively). A workflow fragmentation assessment revealed different patterns of ENR system use among the included hospitals. Three user characteristics-educational background, practice period, and experience of using paper records-significantly affected the system usability and satisfaction scores. Conclusion: The system quality varied widely among the ENR systems. The generally low-to-moderate levels of system us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suggest many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