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 materia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레이저 홈가공에서 편광빔의 다중반사 효과 (Effects of Multiple Reflections of Polarized Beam in Laser Grooving)

  • 방세윤;성관제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3권2호
    • /
    • pp.81-89
    • /
    • 2005
  • A numerical model for multiple reflection effects of a polarized beam on laser grooving has been developed. The surface of the treated material is assumed to reflect laser irradiation in a fully specular fashion. Combining electromagnetic wave theory with Fresnel's relation, the reflective behavior of a groove surface can be obtained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polarization status in the reflected wave field. The material surface is divided into a number of rectangular patches using a bicubic surface representation method. The net radiative flux far these patch elements is obtained by standard ray tracing methods. The changing state of polarization of the electric field after reflection was included in the ray tracing method. The resulting radiative flux is combined with a set of three-dimensional conduction equations governing conduction losses into the medium, and the resulting groove shape and depth are found through iterative procedures. It is observed that reflections of a polarized beam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increasing the material removal rate but also in forming different final groove shapes. Comparison with available experimental results for silicon nitride shows good agreement for the qualitative trends of the dependence of groove shapes on the electric field vector orientation.

Fe-Si-Al 합금 분말 · 고무 복합 자성체의 전파 흡수 특성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of Fe-Si-Al Alloy Flaky Powder-Rubber Composites)

  • 이경섭;윤여춘;최광보;김성수;이준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28-234
    • /
    • 2005
  • 준 마이크로파 대역용 전자파 노이즈의 흡수체로서 자성 복합 시트를 개발하였다. Fe-Si-Al 자성 분말을 attrition mill을 이용해 편상화한 후 이것을 polymer와 혼합 분산시켜 전자파의 입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된 자성 복합 시트를 제조하였다. Attrition milling 시간이 긴 편상 분말일수록 제조된 자성 복합체의 유전율은 증가하나 투자율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오랜 시간 milling한 편상 분말일수록 임피던스 정합 주파수는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나 정합 주파수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은 감소한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복합 자성체의 유전율과 투자율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여 1.4 GHz에서 -8.2 dB의 반사 손실 특성을 갖는 두께 1.0 mm의 노이즈 흡수 시트를 개발하였다.

Zn-Al 합금 선재를 이용한 금속용사 공법 적용 콘크리트의 전자파 차폐 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EMP Shielding Performance of Concrete Applied with ATMSM Using Zn-Al Alloy Wire)

  • 최현준;박진호;민태범;장현오;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17
    • /
    • 2019
  • EMP(Electromagnetic Pulse)는 통상적으로 고출력 전자기파 (High Power Electromagnetic: HPEM)를 의미한다. EMP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 판의 경우, 현장 적용 시, 용접 및 볼트의 연결부(접합부)에서 시공자의 숙련도 및 불량시공, 차폐판의 변형 등으로 인한 전자파 차폐성능 저하의 가능성을 유발하고 있으며, 또한 벽체로부터 이격거리로 인한 비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문제점으로 지적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크리트 벽체를 대상으로 반사손실에 대한 전자파 차폐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콘크리트에 금속용사 공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전자파 차폐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실험변수로는 콘크리트 벽체 두께, Zn-Al 금속용사 적용 유무이다. 콘크리트 벽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지고 있는 벽체 두께인 100~300mm이며, 또한 전자파 차폐성능에 관한 Zn-Al 금속용사 공법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 유무로 구분하여 실험변수를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두께가 증가할수록 흡수 손실의 증가로 인해 전자파 차폐성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Zn-Al 금속용사 적용 후 모든 시험체에서 평균 56.68 dB의 상당한 차폐성능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금속용사 피막의 반사손실에 의하여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도성 혼입재료와 금속 용사 피막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차폐성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1-PORT METHOD에 의한 전파흡수체의 재료정수 및 전파흡수능 측정기법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Teachnique of the Meterial Constants And Propagation Absorbing Ability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By One Port Method)

  • 김동일;백명숙;정중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3-64
    • /
    • 1993
  •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reflection loss and the material constants of the fabricated samples for electromagnectic wave absorber precisely and easily by using 20mm$\Phi$coaxial tube with the end-short-type. The authors have estabilished the extraction algorithm of material constants by one port method and proved tha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coincided with the calculated on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asuring method is confirmed. This measurement method could be used effectively for the design of microwave absorbe and for its evaluation.

  • PDF

전도성 나노 카본 블랙을 함유한 고분자 재료의 유전특성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s Containing Nano-size Conductive Carbon Black Powders)

  • 진우석;이대길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5호
    • /
    • pp.68-77
    • /
    • 2004
  • 레이더 혹은 전자-통신장비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흡수/차폐는 군사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상업적 목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전자기파 흡수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흡수체에 사용되는 재료의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자기적 성질을 정확히 알아야 하며, 손실재의 함량에 따른 정확한 전자기물성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카본 블랙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복합재료의 유전성질을 자유공간 기법을 이용하여 X-Band 주파수 대역에 걸쳐 측정하고 카본 블랙의 함량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임의의 카본 블랙 함량을 갖는 고분자 수지의 유전 물성을 주파수에 따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전도성 금속 피복재의 전기전도도에 의한 전자파 차폐효과 분석 (Analysis of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iveness from Electrical Conductivity of Metallized Conductive Sheets)

  • 김영식;최익권;김성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9호
    • /
    • pp.913-918
    • /
    • 1999
  • 전자파 차폐특성 측정방법의 일환으로 매질의 전기전도도로부터 차폐효과를 정성적 수준에서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시편은 전도성 금속 (Cu, Ni)이 피복된 망사형 차폐재로 두께는 0.1 mm 정도이고, 전기전도도는 6.4$\times$10~2.4$\times$10(sup)5 mhos/m 범위 값을 가졌다. 물질상수와 시편의 두께로 표시되는 반사손실 및 흡수손실의 이론식을 도출하고 상기 시편에 대해 차폐효과를 계산하였다. 전도성 피복재의 경우 주된 차폐기구는 반사손실임을 밝힐 수 있었으며, 전기전도도가 증가함에 따라 차폐효과는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이론치를 임피던스 실측치로부터 계산된 반사손실과 비교한 결과 10 dB 이내의 오차를 보임으로써 제안한 분석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투명 전도성 코팅체의 전자기적, 광학적 성능 설계 및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an Electromagnetic and Optical Characteristics in Transparent Conductor Coated Structures)

  • 조성실;윤영준;황민제;최광식;홍익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3
    • /
    • 2024
  • In order to avoid the high observability due to the cavity resonance or electromagnetic wave leakages from the bridge of a battleship or the cockpit of an aircraft, this paper presents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coated structure to prevent the incoming/outgoing electromagnetic waves. Currently, most of the RCS reduction technologies were focused on radar absorbing material such as paints based on conductive or magnetic materials in the fuselage, and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countermeasures for achieving the low observability of materials that required optical transparency in actual weapon systems. In this study, the transmission/reflection and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ITO co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conductor were analyze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magnetic and optical characteristics was established through fabrication and measurement.

전파무향실용 페라이트 흡수체의 설계 및 특성 (Design and Properties of Ferrite Absorber Used in Anechoic Chamber)

  • 한대희;김진석;오길남;조성백;김성수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5권4호
    • /
    • pp.40-46
    • /
    • 1994
  • 전파무향실에 사용 적합한 평면 페라이트 전파흡수체의 설계 및 , 그리고 전파흡수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임피던스 정합 방정식의 엄밀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 흡수체의 복소투자율 범위에 관해 분석하였다. 페라이트 소결제의 복소투자율 및 복소유전율로부터 정합주파수 및 정합두께를 결정하고 실측한 반사감쇠특성과 비교하였다. 전파흡수특성과 재료정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정합주파수 및 정합두께의 조절을 위한 재료정수의 제어방안에 관해 검토하였다. 검토하였다.

  • PDF

비접촉 비파괴에 의한 균일물질 내부의 공극 측정 (Air Gap Measurement in Homogeneous Material by Non-contact and Non-destructive Method)

  • 전태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7-49
    • /
    • 1999
  • 균일물질의 내부결함으로 발생되는 공기층이나 불순물층은 균일물질과 다른 굴절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기파가 투과할 때 다굴절이 발생된다. 발생된 다굴절은 공기층이나 불순물층의 두께가 아주 작을 때 시간영역에서의 전자기파분석으로는 그 유무를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주파수영역에서는 다중반사에 의한 총투과율과 위상변화에 의해 그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Febry-Perot 이론에 의해 그 두께와 굴절률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 PDF

전자파 반사재료로 사용되는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적층 탄소섬유 방향성이 마찰특성에 미치는 영향 (Tribological Properties of Laminated Fiber Orientation in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for Reflecting Material of the Electromagnetic Wave)

  • 천상욱;김윤명;강호종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778-783
    • /
    • 1999
  • 전자파 반사재료로 사용되는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탄소섬유 배향이 마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찰 시, 상대 마찰 면과 탄소 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적층 방향이 수직인 경우가 수평인 경우에 비해 우수한 마찰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마찰 면과 복합재료의 적층 방향이 수평인 경우, 에폭시와 탄소섬유의 delamination이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탄소섬유 배향에 따른 마찰특성은 마찰 면과 복합재료의 적층 방향이 수직인 경우, 탄소 섬유가 단일 방향으로 배향된 $0/0^{\circ}$의 복합재료가 다방향 배향인 $0/45/90/-45^{\circ}$$0/90^{\circ}$ 복합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뛰어난 마찰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탄소섬유의 배향 방향에 따라 마찰 면에 접촉하는 탄소섬유의 접촉면적이 변화되고 그 결과, 마찰에 의한 탄소섬유와 에폭시의 debonding 정도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마찰 면과 적층 방향이 수평인 경우탄소섬유에 가해지는 응력의 종류에 따라 다른 마찰특성을 나타내며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0/90^{\circ}$로 탄소섬유가 배향된 복합재료가 가장 우수한 마찰특성을 갖는다. 마찰면과 탄소섬유 배향에 따라 마찰속도는 마찰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마멸지수와는 비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