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 Wheelchair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초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동휠체어 설계 (Design of Electric Wheelchair Using Triple Axis Acceleration Sensor)

  • 손진수;남재동;김정민;홍태경;권은신;남재현;박희정;이주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36-837
    • /
    • 2014
  • 전동휠체어는 노약자나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이동 보조시스템이며, 대부분의 전동 휠체어는 자세 제어를 위해 엔코더 센서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 엔코더는 빈번한 기계적 마찰에 의해 결함이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본 연구에서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동 휠체어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Implementing Accessible Themed Roads through the Analysis of Electric Wheelchair User Experiences

  • Je-Seung Woo;Ji-Hui Nam;Sun-Gi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47-154
    • /
    • 2023
  • 본 연구는 보행장애를 가진 고령의 전동이동 보조기기 이용자들의 이동 편의 향상을 위해 교통약자를 위한 무장애 코스 길 안내 서비스 '테마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동행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이동과정에서 겪는 불편사항들을 수집하였다. 공동 창의 워크숍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한 결과 코스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앱서비스로 구현할 기능을 도출할 수 있었다. 페르소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무장애 코스 '테마길' 서비스를 설계하여 최종적으로 전용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경로안내 및 주변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이용자들의 경험분석을 통해 추천장소와 안전한 경로를 코스로 엮어 제공하는 무장애 코스 길 안내 서비스를 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차별성을 가진다.

휠체어 동력 보조장치 개발 국제 동향 (International Trends in Wheelchair Power Assist Add-ons Development )

  • 이석민;최기원;문인혁;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43-150
    • /
    • 2023
  •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여가 활동에 참여가 장려되고있다. 그러나 여가활동 참여를 위해서는 여가가 행해지는 장소까지의 이동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위한 이동수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동 및 전동 휠체어는 여가활동을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수동 휠체어에 전동 휠체어의 기능을 접합하는 휠체어 동력보조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동력보조 장치 제품들의 FDA 승인 과정을 조사하고, 세계 각국에서 생산하는 측면부착형, 전방부착형, 하방부착형, 후방부착형 휠체어 동력보조 장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정보들은 국내 장애인 및 보조인들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제품을 선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장애인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동력 보조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많은 사용적합성 시험과 임상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 기반의 NFC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연구 (Research of Customiz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using NFC on Mobile Device Environment)

  • 박상현;김진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2호
    • /
    • pp.17-2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장치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전동 휠체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기존 연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는 Bluetooth통신 이용하여 휠체어 제어용 통합보드와 통신한다. 스마트 모바일 장치는 휠체어 제어용 통합보드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사용자가 휠체어의 상태를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스마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상태에 맞게 언제든지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는 HEX형식으로 하드웨어에서 신호를 바로 읽고 분석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사용자에 맞춘 설정내용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버스카드(NFC)를 이용하여 등록, 저장과 설정한 내용을 읽어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휠체어 중심의 보조기구가 아닌 사람중심의 보조기구로 장애인 및 노인들에게 편의와 안정성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간병인의 전동휠체어 사용에 대한 만족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Caretakers Needs for Changes in Electric Wheelchairs)

  • 이정아;이범석;최현;유성문;양성필;배재혁;박한람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7-184
    • /
    • 2016
  • 본 논문은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관리하고 보조하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의 만족도에 대한 것이다. 전동휠체어 만족에 대한 설문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목들을 전문가 의견과 간병인들의 의견을 통해 안정성, 조작성, 만족도 항목의 사용성 공통 항목들을 선택하였다. 또한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간병 경력, 간병시간, 간병의 어려움과 전동휠체어 무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접이식 전동휠체어 개발에 대한 의견도 조사하였다. 대상자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보조하는 간병인 50명이었다. 연령대는 평균 54.54세이었고, 간병 경험은 80.98개월이었고, 하루 간병 평균시간은 9.80시간이었다. 전동휠체어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안전성, 조작성, 항목에서는 대부분 만족하였으나, 무게와 세척에 대한 만족도 항목에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동휠체어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게가 무겁고 조작하기 힘들고, 간병인들을 옮기기가 힘들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접이식 전동휠체어에 대한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병인들은 전동휠체어 사용만족도 조사에서 무게가 가볍고, 보관 및 세척이 편리한 전동휠체어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를 관리하고 보조하는 간병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접이식 전동휠체어 개발이 필요하다.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한 지능형 휠체어의 단일 이동 장애물 충돌회피 알고리즘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of an Intelligent Wheelchair Considering the User's Safety with a Moving Obstacle)

  • 김용휘;윤태성;박진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936-940
    • /
    • 2013
  • As the ageing population grows around the world, the demand for electric wheelchairs, an important mobility assistance device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a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intelligent wheelchairs are actively underway to improve safety and comfort for wheelchair users. However, previous collision avoidance studies for intelligent wheelchairs have concentrated on collision avoidance methods with the shortest distance and by only changing either velocity or heading angle, rather than considering the forces exerted on the user. If a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that does not consider these forces is applied to an intelligent wheelchair,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falling as wheelchair users are generally disabled and elderly peopl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which minimizes the forces exerted on a wheelchair user by minimiz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chair's velocity and heading angle when the sizes, positions, velocities, and heading angles of a wheelchair and a moving obstacle are known.

휠체어 사용자의 대변기 접근 방식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휠체어 종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eference of Wheelchair Users to Toilet Approach Way - Focused on Wheelchair Users' Disability Types and Their Wheelchair Types)

  • 배융호;이경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7-2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oilet approach way by wheelchair us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oor and to suggest the layout of the toilet rooms most accessible to the wheelchair users. Methods: Survey to wheelchair users about approach to toilet have been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90 answers have been analyzed statistically by SPSS 19.0 program.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pinal cord disorders prefer diagonal approach and lateral approach to the toilet, but brain lesions prefer diagonal approach and frontal approach to toilet. Secondly, the manual wheelchair users prefer the diagonal approach and the lateral approach to the toilet, and the electric wheelchair users has a different approach way to the toille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door. Finally, the layout of accessible toilets have to be designed for the diagonal approach to toilet, which is most preferred by wheelchair users. Implications: The toilet approach vari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s and the wheelchair types. Therefore, the size of accessible toilets should be larger than now considering the access of variety wheelchair users.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의 국내·외 안전성 평가기준 비교 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Safet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Powered-Scooter and the Electric-Wheelchair)

  • 전성철;서정희;임희철;이창형;신용일;정덕영
    • 재활복지
    • /
    • 제16권3호
    • /
    • pp.421-43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이하 휠체어)의 국내·외 평가기준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국내 여건에 적합한 기준규격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국내 기준규격의 개선항목은 문헌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국내 "전자의료 기기 기준규격 50.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 기준규격을 국외 규격(ISO 7176 series, JIS T 9203, JIS T 9206, JIS T 9208, EN 12184)과 비교하였다. 휠체어의 성능과 안전성에 직결되는 일반 권장사항, 성능의 권장사항, 전기적 특성, 기타 권장사항의 항목과 기준치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였다. 현행 기준규격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개선이 필요한 평가항목(최대속도, 브레이크 시스템, 조명등과 반사경 등)에 대하여 개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참조자료를 정리하였다. 이에 휠체어 관련 국내·외 기준규격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현실에 적합한 기준규격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