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females

Search Result 4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중·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분석과 치료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Rotator Cuff Tear After Shoulder Disloca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 지종훈;박상은;김영율;신은수;박보연;정재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0-26
    • /
    • 2010
  • 목적: 중 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견관절 탈구와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0세 이상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7명과 여자 12명으로, 평균 나이는 64.7세 (50~78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22개월 (8~56개월) 이었다. 탈구의 횟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 견관절 내 Bankart 병변, 수술까지의 시간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 전, 후의 ASES 점수, UCLA점수, SST 점수 및 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술 후의 임상결과 및 결과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술 전 30.2점 (${\pm}20.7$)에서 술 후 72.3점 (${\pm}20.3$)으로, UCLA shoulder rating scale은 12.9점 (${\pm}5.2$)에서 26.5점 (${\pm}7.0$)으로. SST 점수는 2.4점 (${\pm}3.3$)에서 7.3점(${\pm}4.2$)으로 향상되었다. 운동 범위는 술 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10.8도 (${\pm}39.3$), 107.7도 (${\pm}40$), 22.5도 (${\pm}17.6$)와 L5 수준에서 술 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53.6도 (${\pm}20.6$), 152.1도 (${\pm}20.8$), 36.4도 (${\pm}22.7$)와 L1 수준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나이와 Bankart 병변의 유무, 탈구 횟수는 수술 후의 결과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그러나 파열이 클 수록 임상결과는 좋지 않았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과 술 후 UCLA 점수와 술 후 SST 점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0.039, 0.038). 결론: 중 장년 이후에 견관절 탈구 발생시 조기에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경우,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에 따른 노년층의 시력 및 시기능 변화와 자각적 만족도 (Changes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unction in the Elderly Generation and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by the Use of Tinted Ophthalmic Lenses)

  • 유덕현;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착색안경렌즈의 처방이 시력교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가장 효과적인 착색렌즈의 색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60대 이상(평균 $71.0{\pm}6.3$세)의 50명(남17, 여33)을 대상으로 원거리 시력이 0.5 이상이 되도록 시험테를 이용하여 교정한 후 무착색,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를 덧댐하였다. 각각 착색안경렌즈 덧댐 시의 시력은 원거리 최소가독시력 및 최소분리시력을 측정한 후 LogMAR 시력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며, 시기능은 근거리 입체시와 대비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자들의 착색안경렌즈 선호도와 시지각 및 움직임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원거리 최소가독시력과 최소분리시력은 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았으며,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리 입체시, 대비감도 및 시지각은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불편감은 그레이착색렌즈 착용 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상자가 선호하는 안경렌즈는 브라운착색렌즈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으로 노년층의 시력과 시기능이 개선될 수 있으나, 시력 및 시기능의 변화가 자각적 만족도와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1,000 lux정도의 조도에서는 원거리 시생활이 보편화된 노년층에게는 무착색 및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을, 근거리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브라운 및 그레이착색렌즈의 사용을 제안할 수 있겠다.

서울지역 저소득층 여성의 비만 및 영양소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 (Socioeconomic Factors Relating to Obesity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 Women in Low Income Families Residing in Seoul)

  • 황지윤;류성엽;유한경;박희정;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71-1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및 영양소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대상자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한 무료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여성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41{\sim}87$세 125명의 여성이었다. 대상자들의 72%가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 70%가 50만원 미만의 수입, 68%가 집을 소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을 65세 미만, 이상으로 나누어 봤을 때 65세 미만군의 비만유병율은 BMI (${\geq}\;25kg/m^2$) 기준으로 44%, WHR (${\geq}$ 0.85) 기준으로 48%, 허리둘레 (${\geq}$ 80 cm) 기준으로 50%이었다. 65세 이상군에서 는 이보다 높아 BMI (${\geq}\;25\;kg/m^2$) 기준 57%, WHR (${\geq}$ 0.85) 기준 81%, 허리둘레 (${\geq}$ 80 cm) 기준으로 79%였다. 대상자는 주로 채소류, 곡류, 과일류를 많이 섭취했다. 모든 대상자에서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상태는 대체적으로 불량했고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더욱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여자노인에서 EAR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비율은 철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50% 이상이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량은 RI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그러한 사람의 비율은 65세 미만의 경우 단백질과 Vitamin $B_6$ 제외한 65세 이상에서는 모든 영양소에서 50% 이상이었다. 65세 미만에서는 비만 및 영양불량과 사회경제적 지표와의 관련성이 없었다. 그러나 65세 이상에서 비만의 경우 수입과 영양불량의 경우 학력과 집소유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65세 이상에서 연령을 보정한 후에,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만 및 영양부족의 위험도를 살펴본 결과, BMI 기준 비만의 위험도 (OR = 12.601; 95% CI = 2.338-67.911)와 WC 기준 복부 비만의 위험도(OR = 4.778; 95% CI = 1.103-20.696)는 월평균 가구 수입 50만원 미만인 군에서 그 이상인 군보다 높았다. 영양섭취불량의 경우,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 (무학)에게서 Vitamin A (OR = 4.555; 95% CI = 1.491-13.914)를 EAR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이 높았고 자기 집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단백질 (OR = 3.660; 95% CI = 1.118-11.981), 인 (OR = 3.428; 95% CI = 1.157-10.158), 철분 (OR = 3.765; 95% CI = 1.205-11.766)섭취가 EAR보다 부족할 위험이 집을 소유한 사람들보다 높았다. 저소득층 노인여성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은 비만 (소득수준) 및 영양불량 [교육수준 (Vitamin A), 자가집 소유 여부(단백질, 인, 철)]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여성들의 비만 및 영양불량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 성주지역 장수노인의 계절별 식품섭취 상태 (Seasonal Food Intake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 백지원;구보경;김규종;이성국;이혜성;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91-700
    • /
    • 200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수노인들의 식품섭취상태를 분석 평가 하고 건강한 장수를 위한 식생활 지침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성주군에 거주하는 85세 이상 고령노인 중에서 일상생활에 무제가 없는 224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년간 4회의 계절별 식품 섭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절별 식품군별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노인은 감자류의 섭취량이 여름철에 유의적으로 높고, 버섯류의 섭취량이 가을철에 유 의하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품군의 섭취량에 있어 계절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여자노인의 경우 곡류, 당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조미로류, 음료 및 주류, 육류, 우유 류, 어패류의 섭취량이 겨울철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종실류, 해조류, 난류의 섭취량은 계절 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연평균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594.4$\pm$186.1 g 이었 으며 이 중에서 513.5$\pm$161.2 g(86.4%)는 식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고 79.3$\pm$56.7 g(13.3%)는 동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다.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식품군은 곡류였으며 그 다음이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류, 두류, 육류, 우유류, 감자류, 등 의 순이었다. 장수 노인 대상자들의 음식별 섭취빈도는 밥류에 있어서는 쌀밥의 섭취비율이 80.1~89.2%로 가장 높았으며 국과 찌개류에서는 쇠고기국, 된장국, 된장찌개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어육류 식품의 경우 조기구이의 섭취비율(9.4~12.7%)이 높았으며, 해조류 식품의 경우 김구이의 섭취비율(7.4~20.5)이 높았고, 각 계절마다 계절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김치류의 경우 배추김치의 섭취비율이 4계절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품요리 류는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과 국수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들의 계절별 식품 섭취량에 있어 겨울철의 식품 섭취량이 다른 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이 식품섭취에 계절에 의한 영향을 더욱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수 노인들은 가공식품보다는 계절마다 제철에 생산 되는 자연 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장수노인들은 소식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 와 같은 소식습관과 신선한 식물성 식품들의 일상 섭취가 건강한 장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 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우리나라 20세 이상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추이 및 관련 요인분석 (Trends and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Rate in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윤지은;임보라미;호승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2-180
    • /
    • 2014
  • Background: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er prevalence rates and earlier onset of chronic disease than the non-disabled; therefore, their participation in health screening is important. This study evaluates the participation rate and trends in health screen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participation rate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status. Methods: Data on dis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Disability Registry, and participants' corresponding health examination data were taken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between 2002 and 2011. A total of 873,819 participants aged ${\geq}20$ yea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ults: The rate of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health screening has increased each year, but their participation r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total population. The participation rate was low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younger group; those who live in city areas than rural areas; self-employed for health insurance than employees; those with an internal organ disability than those with an external physical disability; those with a severe disability than those with a mild disability; and those with a short-term disability than for those with a long-term disability. Conclus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rate are age, sex, socioeconomic status,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ealth check-up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moted using an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status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in this population.

Epidem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Opportunistic Mycoses between the Years 2006 and 2010 in Korea

  • Park, Je-Seop;Cho, Seung-Hak;Youn, Seung-Ki;Bak, Young-Seok;Yu, Young-Bin;Kim, Young K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45-150
    • /
    • 2016
  • In order to perform an epidem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opportunistic mycosis infections, we collected health insurance data between the years 2006 and 2010 from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analyzed the data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opportunistic mycoses and treatment management of opportunistic mycoses. The prevalence within the study increased consecutively by 0.02% to 0.12% every year. The annual prevalence of opportunistic mycoses increased from 2.437% in 2006 to 2.709% in 2010. The average annual prevalence was 2.605%. Candidiasis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aspergillosis, zygomycosis, and cryptococcosis. The regions with the highest incidences were the capital areas, Gyeonggi and Seoul. By sex, the prevalence in females (4.851%)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in males (0.352%). Interestingly, the adults from the 20- to 49-year-old age group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children and the elderly. Th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ized treatment was 17.31 days and of outpatient treatment was 2.21 days; 3,577 hundred million won was used in total for medical expens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to study trends of opportunistic mycoses.

Histopathology Analysis of Benign Colorectal Diseases and Colorectal Cancer in Hatyai Hospital, Songkhla, Thailand

  • Kotepui, Manas;Piwkham, Duangjai;Songsri, Apiram;Charoenkijkajorn, Le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667-2671
    • /
    • 2013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CRC)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western world and also ranks as the fifth-leading malignancy and death in Thailan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present outlook of colorectal diseases among Thai patients with special emphasis on CRC in Hatyai, Songkhla, southern Thailand.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vered ten year data of CRC, benign colorectal tumors and non-colorectal tumors from the Department of Pathology in Hatyai Hospital, Songkhla, Thailand, between years 2003-2012. Incidence rates based on age, gender, ten year incidence trends, and distribution of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ere calculated and demonstrated. Results: Out of 730 biopsies, 100 cases were benign colorectal tumors, 336 were CRC and 294 were non-colorectal tumors. Colorectal tumors (both benign and CRC) (60.1%) were more common than non-colorectal tumors (39.9%). CRC (77.1%) were more common than benign colorectal tumors (32.9%). Colorectal tumors were mainly found in patients aged over sixty whereas non-colorectal and benign colorectal tumors were found in those under sixty (P=0.01). sAmong CRC, adenocarcinoma contributed about 97.3% of all cases with well differentiated tumors being the most frequent (56.9%). Both benign colorectal tumors and CRC were more commonly found in males (63%) than females (37%). The incidence trend of CRC demonstrated increase from 2003-2012.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CRC increased in Hatyai from 2003-2012. CRC tends to be more common in people older than sixty, thus, screening programs, cost-effective analysis of treatment modalities, and treatment protocols for the elderly should be examined. Proper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measures such as changing lifestyle factors might enhance control of colorectal disease.

The Association Between Masticatory Function Assessment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the Elderly

  • Jung, Hyo-Jung;Min, Yong-Guang;Kim, Hyo-Jung;Lee, Joo-Young;Choi, Jong-Hoon;Kim, Baek-Il;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5권3호
    • /
    • pp.49-5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bjective indicator of masticatory function assessment and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MMT) using ultrasound imaging. Methods: A total of 99 subjects (males: 24, females: 75, mean age: 76) were analyzed. The maximum bite force (MBF) was measured with a pressure-sensitive sheet and an image scanner. The mixing ability index (MAI) was calculated by image analysis after asking the subjects to chew a wax specimen. The MMT during rest and clenching were obtained with a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and the difference in MMT during rest and MMT during clenching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DMM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MBF and MAI. Results: The MBF showed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β=0.346, p=0.002) and DMMT (β=0.251, p=0.011). The MAI correlated with only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β=0.476, p<0.001). Conclusions: The DMMT reflects the state of masseter muscle contraction, and can be used as a predictor as well as the number of teeth when assessing masticatory function.

중.노년층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섭취의 양적, 질적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Nutrients and Food Consumption with Advance in Age among Middle-aged and the Elderly)

  • 김인숙;서은아;유현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94-40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et quality and changes in nutrient and food intake with increase in age. Subjects were 69 patients(28 males, 41 females) living in Jeon-ju city, over middle-aged, and they were the same patients studied 4-7 years ago in a previous study. Dietary survey with one day 24-hour recall method was used. Energy,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B$_2$intakes were lower than the RDA and vitamin C was in excessive status in pre-test and post-test. In food groups examrned, the consumption of potatoes, beans, vegetables, seaweeds, beverages, seasonings, oils, fish & shells and milks was increased amount than 4-7 years before but the consumption of cereals(p<0.01), sugars, seeds, fruits, processed food, meats and eggs was decreased. Diet quality was assessed by %RDA, nutrient adequacy ratio(NAR), mean adequacy ratio(MAR), dietary diversity score(DDS), meal balance and food group pattern. In %RDA, those proportion of appropriate intake in post-test in were higher than those in pre-test. For most nutrient except vitamin A, the levels of NAR in post-test were higher than in pretest. The MAR, an index of overall dietary quality, was 0.77 for pre-test and 0.83 for post-test(p<0.05). When we counted the major food groups consumed(KDDS), 62.3% of subjects had a KDDS of 3 in pre-test and 42.0% of subjects had a KDDS of 4 in post-test. Based on these results, in terms of variety and balance, total diet quality was improved with advancing of age.

  • PDF

Clinico-pathology of Lung Cancer in a Regional Cancer Center in Northeastern India

  • Mandal, Sanjeet Kumar;Singh, Thaudem Tomcha;Sharma, Takhenchangbam Dhaneshor;Amrithalingam, Venkates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277-7281
    • /
    • 2013
  • Background: Globally, there have been important changes in trends amongst gender, histology and smoking patterns of lung cancer cas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466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were registered in Regional Cancer Center, Regional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Manipur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2. Results: Most were more than 60 years of age (67.8%) with a male: female ratio of 1.09:1. Some 78.8% of patients were chronic smokers with male smoker to female smoker ratio of 1.43:1. Consumption of alcohol was found in 29.4%, both smoking and alcohol in 27.5%, betel nut chewing in 37.9% and tobacco chewing in 25.3%. A history of tuberculosis was present in 16.3% of patients.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coughing (36.6%) and most common radiological presentation was a mass lesion (70%). Most of the patients had primary lung cancer in the right lung (60.3%). The most common histological sub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49.1%), also in the 40-60 year age group (45.9%), more than 60 year age group (51.6%), males (58.1%) and females (41.8%). As many as 91.9% of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had a history of smoking. About 32.5% of patients had distant metastasis at presentation with brain (23.8%) and positive malignant cells in pleural effusions (23.1%) as common sites. The majority of patients were in stage III (34.4%), stage IV (32.5%) and stage II (30.2%). Conclusions: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gender gap has been narrowed such that about half of the patients diagnosed with lung cancer are women in this part of India. This alarming rise in female incidence is mainly attributed to an increased smoking pattern. Squamous cell carcinoma still remains the commonest histological subtype. Most of the patients were elderly aged and presented at locally or distantly advanced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