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Caregiving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Work-related Stress, Caregiver Rol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Japanese Workers

  • Honda, Ayumi;Date, Yutaka;Abe, Yasuyo;Aoyagi, Kiyoshi;Honda, Sumihis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14
  • Background: In Japan, more than 60% of employees are reported to suffer from anxiety and stress. Consequently, Japanese society has begun to address such important issues as psychogenic disability and job-related suicide. Furthermore, given the aging of society and the surg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requiring care, it is necessary to adequately and proactively support employees who care for their elderly rela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giver burden in caring for elderly relatives and work-related stress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among employees. Methods: We studied 722 men and women aged 18-83 years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K10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mental health status. Results: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a high K10 score was 15% (n = 106). Having little conversation with their supervisor and/or coworker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on [odds ratio (OR) 1.8], as did high job overload (OR 2.7) and job dissatisfaction (OR 3.8), compared with employees who frequently conversed with their supervisor and/or coworkers. Caring for elderly relatives as a prominent characteristic of an employe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epression (OR 2.1).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employees who were caring for elderly relativ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To prevent depressive disorders, it may be important to focus on reducing the work-caregiving role conflict, as well as enhancing employees' job control and better rewarding their efforts in the workplace.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사회적 지지와 부양 부담: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Burden of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 한경혜;이서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683-699
    • /
    • 2009
  • 고령화와 가족 구조의 변화로 노인 부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배우자 부양은 '돌봄' 외에도 '결혼 생활의 연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성인 자녀를 비롯한 기타 가족 부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험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남편과 아내가 처한 맥락이 상이하므로 이들의 성별 차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를 돌보는 부양자에 초점을 맞추어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수발 실태와 복지욕구」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검증, X2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부담의 하위 항목에 따라 차이점과 공통점이 각각 발견되었다. 부양 동기의 경우, 부인을 돌보는 남성의 부양 부담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남편을 돌보는 여성부양자에게서는 부양 동기와 부양 부담과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남성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 부양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경제적 부담을 느낄 승산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자의 건강상태와 피부양자의 ADL 수준은 남녀 모두의 신체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연구와 정책적 노력에 성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한은정;이정면;권진희;신슬비;이정석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84
    • /
    • 2014
  • Background: Informal care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placing a significant burden on the lives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the Stress Process Model developed by Pearlin (1990). Methods: Total 1,233 family caregivers with the disabled elderly, using the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ir home from May to June 2009, completed questionnaires finally.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32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related to background and context, 17 questions related to objective stressors, and 4 questions related to coping resourses. Family caregivers' burden is measured by the Korean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 (K-RCAS, Cronbach's alpha=0.86).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caregivers' burden was 22.0 (${\pm}6.12$).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on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that are related to background and context (region, living status, education level, relationship with beneficiary), objective stressors (duration of caregiving), coping resourses (caregiver's health statu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caregivers experience a considerable burden. The findings suggest that policies must be taken to relieve family caregivers of their duties temporarily, and to support them with counselling and education.

치매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그룹홈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Policy Suggestions to Facilitate Developing Group Homes as a Housing Alternative for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 권오정;김대년;최정신;이옥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2호
    • /
    • pp.97-111
    • /
    • 2002
  • Despite the substantial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welfare policies such as housing programs have not been developed enough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the aging people. Particularly, caring for elderly dementia patients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Families are still primarily responsible for taking care of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and thus are suffering from tremendous caregiving burdens. In many Western countries, group homes, which are small-scale care facilities with home-like atmosphere, have become common housing alternatives for elderly dementia patients. Group homes effectively create a therapeutic environment while helping reduce the elder care burdens for the families. This article proposes to review group homes as a housing op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suggestions for housing policies, separately or as a part of more general welfare policies.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912 person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and five different provinces, various possible policies and suggestions to promote establishing group homes and other facilities for elderly dementia patient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거동불편 노인의 가족관계와 의.식생활에 관한 연구 -(제3보) 뇌졸중 경험 노인의 식생활과 영양상태- (Studies on Family Caregiving, Clothing and Nutrition of Disabled Elderly -(Part 3) Food Behavior and Nutrition of Elderly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 박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85-98
    • /
    • 1991
  •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an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with cerebrovascular disease(CVD), 31 hospitalized patients and 28 old people who had experienced stroke and were living at home were interviewed for the dietary habits and drinking and smoking habits. Their blood pressure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were measured and biochemical assessment of blood sampl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30 healthy elderly. Ca Index reflecting ca intake and intake of dietary fib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 elderly groups than in the healthy elderly. Cholesterol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Although salt intakes were almost similar among the groups, patient elderly tended to like salty taste as compared to the healthy elderly.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of the patient elder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ealthy elderly.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 groups than the healthy elderly. Serum cholesterol and hemoglobin concentration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Among the above variables only Ca index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 PDF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 강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73-97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치매환자 자녀의 부양부담이 배우자폭력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ing Stress to Partner Violence among Adult Children Caregiv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재엽;황현주;전지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3호
    • /
    • pp.235-263
    • /
    • 2016
  • 본 연구는 치매환자 자녀의 부양부담이 배우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부산의 각 지역 데이케어센터 및 요양기관의 치매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기혼인 치매환자의 자녀 22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고, 빈도분석, 평균비교 및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우울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37.6%, 즉 3명 중 1명 이상의 치매환자 자녀가 배우자에게 지난 1년간 적어도 한차례 이상 정서적 폭력이나 신체적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나 배우자폭력 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우울 평균은 1.00으로 일반인(M=0.73)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부양부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치매환자 자녀의 부양부담은 배우자폭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양부담과 배우자폭력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우울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부담, 우울을 줄이고 배우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가족의 생활시간에 미친 영향: 삼중차이 방법의 적용 (The Effects of the Expansion of Formal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Time Allocation of Family in Korea)

  • 이승호;변금선;신유미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227-256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노인을 돌보는 가족 구성원의 생활시간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령화와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노인에 대한 가족의 돌봄부담이 가중되면서 공적 노인돌봄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2000년대 이후부터 관련 제도가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노인돌봄 부담을 구성원이 직접 노인을 돌보는 부분과 이로 인해 노동이나 가사, 여가 등의 다른 주요 생활에 제약을 받는 부분으로 구분하고,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로 이러한 부담이 감소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도 확대의 효과는 건강이 취약한 노인을 돌보는 중하위 소득수준의 가구를 처치집단으로 삼아서 비교적 건강한 노인을 돌보는 가구 및 고소득 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제도 효과를 추정하는 삼중차이(DDD)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 구성원의 노인돌봄 시간을 감소시켰다. 이는 제도 확대의 목적과 부합하는 결과이지만, 돌봄 시간의 감소 정도가 크지 않았고, 여성 가구원에게만 그러한 효과가 관측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도 드러났다. 또한 노인돌봄 시간이 감소한 여성 가구원의 경우에도, 가사, 노동, 여가, 비노인돌봄 및 개인유지 등의 다른 생활시간 범주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가족의 노인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공적돌봄의 대체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일부 농촌 지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 장인순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60-7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level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and to choose priority care group, thereb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reduce the caregiver's burde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from June 10 to October 8, 1994. The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Caregiver Burden Inventory by Novak(1989) and Zarit et al(1982), severity of dementia by Hughes Scales (1982), ADL by Lawton (1971), patients' family caregiving activity by pre-survey and reference review(Lee, 1993 ; Jang, 1990 ; Yoo, 1982). The subjects were 60 family caregiver of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use of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burden was evaluated over average, the mean of family burden was 61.24.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ere the severity of dementia(F=30.52, p<0.001), ADL(F=5.43, p<0.01), PADL(F=6.14, p<0.01), caregiver's health status(F=6.05, p<0.01), a view of patient's prognosis(F=4.08, p<0.05),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F=19.64, p<0.001),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s(F=7.16, p<0.001), the frequency of caregiving activity(F=5.31, p<0.01). 3. ADL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o family caregiver burden(R2=0.6611). In addition to this, the severity of dementia,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accounted for 79% of family caregiver burden. 4. The criteria of priority care group were as follows ; the mean of family caregiver burden was above 58, above of moderate ADL,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 above of 8 hours, above of moderate dementia. By the the severity of dementia, number of priority care group, mild dementia was 10(43.4%), moderate dementia 23 (92.0%), sever dementia 12(100.0%).

  • PDF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조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Grandmothers Who Refused to Support Childcare)

  • 김은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71-102
    • /
    • 2018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조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손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 가족 및 노년기 여성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족 내에서돌봄 역할을 주로 맡아온 조모를 대상으로 이들이 손자녀 양육을 수용하지 않은 계기와 맥락, 이를 둘러싼 가족관계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경험이 있는 노년기 여성 7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들은 손자녀 양육에서 오는 부담감과 연장된 어머니 역할에 대한 거부감, 가족 간 갈등발생 우려로 손자녀를 돌보지 않기로 하였으나, 성인자녀의 요청을 거절한 것에 대해 미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이들의 돌봄지원 거부 결정은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역동을 야기했으나 이들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도 나름의 방식으로 성인자녀들의 요구에 대응하며 자신의 결정을 관철하고 있었다. 셋째, 노년기 여성들은 손자녀 양육을 성인자녀들의 과업 혹은 사회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족과 사회가 여성 노인에게돌봄 책임을 전가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돌봄 및 가족관계에 대해 과거 노인세대와 다른 관점을 가진 여성 노인들이 등장했다는 점, 전통적인 젠더 인식과 가족돌봄 규범에 균열과 변화가 발생했다는 점을 확인해준다. 이는 돌봄지원 정책에 수립 시 이들의 관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손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 가족 및 노년기 여성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