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생의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Attitudes toward Elder Abuse)

  • 이유진;김윤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10-41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를 조사하고 노인 학대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 소재하는 D대학과 S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40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11월 20일부터 1월 26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4점 척도를 이용하여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은 3.60점, 주관적 규범은 2.69점, 지각된 행위통제와 태도는 각각 2.62점, 2.97점이었으며,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태도 모두 노인 간호와 관련된 과목의 교육여부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노인 학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beta}=.185$, p<.001), 주관적 규범(${\beta}=.167$, p=.005), 지각된 행위통제(${\beta}=.161$, p=.007)와 학년(${\beta}=-.103$, p=.03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학대를 접했을 때 적극적 개입을 위한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노인 간호와 관련된 과목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아가 노인 학대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고령자의 맥상 특성에 대한 맥파분석적인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 of the old aged pulsation)

  • 김경철;이정원;류경호;강희정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
    • /
    • 2008
  • Objectives: The basis research of aged people's healthcare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because our nation goes into an aged society rapidly. Especially in traditional medicine, pulse shapes of aged people were supposed to weak and empty pulse until now, but any objective measurement and compare research do not taken. Methods and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ign observation study to find characteristic of pulse between younger group (age $20{\sim}30$) and elder group (age $43{\sim}80$) in Busan area. We used 3-dimensional pulse analyzer '3-D MAC' (Daeyomedi Co., Ltd.). And major parameters for comparison are 1) pulse height (h1), 2) applied pressure, 3) pulse power (energy), 4) high pressure duration (w) and 5) R-AI. Conclusion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elder people's pulse has more large value in pulse height, applied pressure and pulse power than younger's that. It reveals that elder people in modernized lifestyle has Yang symptoms as well Yin symptoms. Consequently we need new method to care elder people's health, and this means more important direction than old text book. From now on verification research with objective diagnosis device like 3-D MAC, must be activated to build of evidence in traditional medicine. Cause traditional medicine's spirit of care and prevention is suitable to care elder people's cardiac and cerebral vascular disease those are have close relation with elder people.

  • PDF

노인차별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과 공적기관상담의 매개효과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How the Ageism Influenced on Elder Abus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unselling from Public Organizations :Focusing on Care Helpers Working at Elderly Long-term Care Institutions)

  • 진철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193-204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장기 요양 서비스 과정에서 행하게 되는 요양보호사의 노인차별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노인차별과 노인학대의 인과관계에서 공적 기관 상담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한 연구이다. 경상남도에 있는 노인장기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62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의 방법에 의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차별이 노인학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분석결과 공적 기관 상담이 노인차별과 노인학대의 관계상에서 유의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차별에 따른 노인학대를 공적 기관 상담을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노인차별과 공적 기관 상담에 대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방문요양보호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A Study on Visiting Caregiver's Perception of Elder Abuse)

  • 오청욱;강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38-645
    • /
    • 2016
  • 본 논문은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의 노인학대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학대신고 및 관련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방문요양보호사 24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노인학대 인식은 높았으며, 학대 유형 중 신체적 학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고, 재정적, 언어적, 방임 그리고 정서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방문요양보호사들은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신고의무가 중요하다고 인식했으나, 다수의 경우가 신고경험이 없고, 알고 있는 신고기관 종류가 대부분 경찰로 다소 제한적이었다. 관련 교육에 있어서는 다수의 방문요양보호사들이 노인학대 예방 및 신고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요구도가 매우 높았으며, 노인학대의 사례와 대처방법, 가족에 대한 상담과 교육방법 등 재가 현장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주로 희망하였다. 이에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을 위한 노인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유형별 노인학대의 인식, 신고의무 및 신고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 그리고 구체적인 학대사례와 대처방법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재가의 특성 상 가족들의 상담과 교육 또한 중요내용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학대 실태 분석 (Analysis on Elder Abuse of the Korea Elderly Long-term Care Hospital)

  • 권금주;이서영;박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53-56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노인학대 실태와 노인학대 방지를 위한 병원의 대응 방법에 따라 노인학대 감소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전국 노인요양병원 중 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한 대상 병원 중에서 설문에 응답한 86개소를 분석한 결과 노인학대 실태는 정서적 학대인 감정 상한 언행(39.5%), 요구무시(24.4%), 위협적 언행(22.1%) 등이 목격되었고, 신체구속(29,1%) 및 폭행(15.1%), 그리고 생존위협(5.8%) 등의 신체적 학대, 그리고 성적수치심(22.1%)을 주는 성적 학대가 목격되었다.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학대 방지를 위한 대응 방법에서는 노인학대 관련 규정 여부 또는 노인학대 교육 여부는 노인학대 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처벌규정, 모니터링단 구성, 신고인 비밀보장, 조사위원회 및 위원회 결과 공지 등 대응 방법이 노인학대 행위와 차이를 보여 규정이나 교육 보다는 실제적인 조사 및 대처 등에 주력하여 운영되거나 감독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한국 노인교육정책의 전개와 특징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Elder Education Policy in Korea)

  • 이혜연;김기석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35-951
    • /
    • 2009
  • 이 논문은 노인교육에 대한 정부의 정책지원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현재까지, 그 전개과정과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기존 노인교육정책 관련 연구들이 현재의 정책현황에 대한 상황기술과 이를 바탕으로 한 향후제언 성격의 담론 논의에 중심을 둠에 따라, 현재의 모습으로 발현되기까지의 정책과정에 대한 분석이 소홀히 다루어진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연구자는 '한국노인교육정책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며, 관련 문서에 기초하여 정책의 전개 과정과 특징을 찾는데 주목하였다. 분석을 통해 노인교육에 대한 정책지원은 1970년대 후반 새마을운동의 대중화를 위한 국민교육의 일환으로 시작·강화되었고, 현재에는 노인 인적자원양성을 위한 정책 지원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시기에 따라 정부의 정책지원은 그 목표와 대상, 그리고 지원체계가 변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1990년대 후반 다각적으로 수립된 노인교육정책들은 대부분 집행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정책 수립과 집행 사이의 상당한 불일치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건강지도자 양성 전략을 적용한 경로당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검증 (Effects of an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in Senior Citizen Halls)

  • 구미옥;은영;김은심;안황란;권인수;오현숙;강영실;정면숙;최소영;성경미;강혜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3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n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apply strategies for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sessions with elders at senior citizen hall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49 elders at a senior citizen hall (intervention: 27, control: 22). The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consisted of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A professional leader led the program for 4 weeks, and then an elder health leader and research assistant led for 8 weeks (total 12 weeks). Scales for eld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and senior citizen hall capability were used and physical fitness levels were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1 and July 28, 2010 and analyzed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with SPSS/WIN 12.0. Resul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physical fit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nior citizen hall capac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s applying strategies of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are effective and can be recommended as nursing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on of these elders.

한국노인 복지정책 개선을 위한 양로.요양시설 급식관리체계 및 급식서비스 현황조사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s at Elder-Care Sites for the Improvement of Elderly Welfare Policies in Korea)

  • 양일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7호
    • /
    • pp.830-83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 a) examine the current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by different types of elder-care sites, b)evaluate the attitudes of recipients of meal service programs, and c) provide feedback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foodservice management of elder-care sites in Korea. A total of 91 elderly congregate sites was analyzed in Survey 1 and opinons of 190 recipients were surveyed in Survey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l cost analysis, the meal cost per a day was ranged from ₩728 to ₩5,500. Only 16.5% elder-care sites had one dietitian due to the lack of budges and the isolated geographical location of sit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inancial and dystematical supports by the government would be very necessary to meet the goal of nutritional-balanced meal services at congregate sites. The survey results of recipients at sites, the mean of meal satisfaction score was rated 3.63 at the five-point scales. Significant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ependent variables(food, convenience, atmospere, menu, facility, and service) and independent variables(site type, gender, living years at sites, and health status). Thus, foodservice managers mus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for menu planning, service, and distribution.

  • PDF

노인의 신체조성과 일상생활기능(IADL)의 상관성 연구 (A Correlation Study on IADL and Body Composition of the Elderly)

  • 엄기매;양윤권;임인혁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on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This study consisted of male elder(n=50) and female elder(n=60). The average age of elder male and female was 73.79, 70.42 yea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test and regression test using SPSSWIN ver 10.1 and MINITAB program.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Body 3.0(seoul, korea) of Segmental Multifrequncy Bioelectical Impedance Analyzer technique. IADL was measured with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IAD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 A correlation of body composition between IADL. 1. Body composition of the elderly had effect on IADL. 1)The free fat mass(kg) and total body water(1) in Body composition of male elder had positive effect on IADL. 2)The WHR(waist-to-hip ratio %) in Body composition of male elder had negative effect on IAD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