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aegnu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보리수즙 첨가가 설기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rry Silverberry(Elaegnus multiflora) Juice on the Quality of Sulgidduk)

  • 최해욱;김혜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07-716
    • /
    • 2015
  •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erry silverberry (Elaegnus multiflora) juice on sulgidduk, rice cake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quantities of cherry silverberry juice (0%, 33%, 66%, and 100%). The pH level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ith cherry silverberry jui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ith cherry silverberry juice. In terms of color, the L-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other groups, whereas the a-value and the b-valu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other groups (p<0.001). The hardness, spring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s. Preferences for the appearanc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ulgidduk with 66% and 100% cherry silverberry juice were higher than those for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rry silverberry juice can increase the acceptability of sulgidduk and that 66-100% cherry silverberry juice may be appropriate for making sulgidduk.

동아시아와 북미 분포 조경수목쌍 비교 (Pairing of Woody Landscape Plants between Eastern Asian and North American species)

  • 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8
    • /
    • 1998
  • 동아시아와 북미에 분포하는 조경수목을 형태적 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8종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자주받침꽃, 능소화, 산딸나무, 보리밥나무, 가래나무, 튤립나무, 일본목련, 잣나무는 동아시아와 북미에서 각각 밀접한 유연성을 가진 종들이 있어 이들을 조경수목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형태적 특성이 매우 흡사한 종으로는 중국단풍나무, 고로쇠, 들메나무, 야광나무, 소나무와 곰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피나무, 참느릅나무 등에서 동아시아와 북미 조경수목쌍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보리수나무속 식물의 분포 및 생육지 토양 특성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Elaeagnus Plants in Korea)

  • You, Young-Han;Kim, Kyung-Bum;An, Chung-Sun;Kim, Joon-Ho;Song, Seung-Da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59-170
    • /
    • 1994
  •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Korean Elaeagnus plants were investigated by literatures, field survey and soil analysis. Deciduous E. umbellata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western and southern islands. Distribution area of evergreen Elaeagnus pla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 macrophylla and E. glabra belonged to group l occurring in the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islands; E. submacrophylla to group 2 occurring in the southern and western islands; E. maritima and E. ankaii to group 3 in the southern islands only. Deciduous E. umbellata appeared euryeciously from poor soil to rich one, whereas evergreen Elaegnus plants appeared stenoeciously in haline soil near coast.

  • PDF

부산의 상록식물상과 분포 (Flora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Plants in Busan)

  • 이정훈;성정숙;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39-1245
    • /
    • 2007
  • 부산지역의 상록식물상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23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동정된 상록식물은 33과 51속 60종 8변종으로 총 68종류로 나타났으며, 인동덩굴, 털인동, 으름덩굴, 천선과나무, 돌가시나무, 장딸기, 순비기나무, 구골나무, 밀사초 등의 9종을 상록식물로 분류하였다. 상록식물의 수직적 식생분포에 있어서 해송군락이 상층부의 수관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아래 사스레피나무군락이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등의 군락과 함께 중층을 구성하고, 송악, 마삭줄, 장딸기 등이 하층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 외의 군락으로는 참식나무-생달나무군락, 천선과 나무군락, 송악-마삭줄군락, 자금우군락, 발풀고사리군락, 풀고사리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본 23개의 조사지역에서 출현율에 의한 분석 결과 출현율 50% 이상인 종은 해송을 비롯하여 13종, 출현율 10% 이하인 종은 고란초를 비롯한 29종이었다. 상록식물의 분포는 해안에서 내륙지역으로 갈수록 확연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로 해안과 인접한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