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laying rat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8초

산란계에 있어서 가금티푸스 저항성 계통의 산란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gg Production among Crossbreds with Resistance to Fowl Typhoid in Egg Type Chickens)

  • 오봉국;한성욱;김기석;한경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3
  • 본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시 품종으로 국내 산란계 품종중 우수계통으로 ISA 계통 White와 Brown P.S, Hyline 계통 White와 Brown P.S와 Lohman 계통 White와 Brown P.S 등 6개 계통을 선발하여 우량교배조합구를 구성하고 대조구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육하는 품종 ISA Brown CC. Hyline Brown CC와 Lohman Brown CC 3계종과 우량교배 조합구 6구를 공시하여 산란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한바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에 있어서 육성율(0~l7주) 99.95%, 성계생존율 (18~72주) 91%로 시험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시산일령은 평균 147~148일로 시험구,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3) 18~72주령 산란율에서 시험구는 83.76%, 대조구는 77.82%로 시험구 산란율이 약 6%가 높아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산란지수에 있어서도 시험구 평균 산란지수는 18~72주시까지 292.33개이고 대조구는 271.31개로 시험구가 21개 더 생산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산란량에서도 18~72주시까지 시험구는 18.83kg, 대조구는 16.48kg으로 시험구가 2.35kg 더 많은 생산을 하였고 유의하였다. (6) 난중에 있어서도 30주령시, 72주령시 모두 시험구 난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무거웠다. 18~72주시 평균난중에 있어서 시험구는 64.32g이고 대조구는 60.73g로서 시험구가 3.59g 만큼 더 무거웠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 (7)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18~72주시 시험구는 2,297인데 대조구는 2,454로서 시험구가 계란 I1kg 생산에 사료 157g 만큼 절약되었으며 유의성이 있었다. (8) 난질조사에 있어서 산란말기인 72주령시 성적을 보면 시험구 H.U는 82.20이고 대조구는 77.82로서 시험구 계란이 4.38 H.U만큼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난황색, 난각두께에 있어서는 시험구와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9) 난각색에 있어서는 시험구 난각색이 백색란과 갈색란의 중간에 속하는 연갈색 난각을 나타내며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었다. (10) 체중에 있어서 육성기 8주령시, 12주령시, 18주령시까지 시험구와 대조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산란기 42주령시, 72주령시 체중에 있어서도 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의 발육과 수명에 미치는 온도효과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and Longevity of the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üller (Stylommatophora: Limacidae))

  • 김현주;배순도;이건휘;윤영남;박성태;최병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41-546
    • /
    • 2009
  • $24^{\circ}C$에서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알 크기 (단경$\times$장경)는 $1.91{\times}2.19$ mm, 무게는 3.3 mg 이었다. 산란 직후의 알에서부터 발육하여 우화한 성체가 최초 산란 시까지 17주간의 무게는 발육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온도별 무게는 $20^{\circ}C$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다음은 24, 16 및 $28^{\circ}C$ 순이었다. 작은뾰족민달팽이가 산란한 난괴수의 부화율은 $20^{\circ}C$에서 9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24, 16 및 $28^{\circ}C$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난괴당 알수는 $20^{\circ}C$에서 20개로 가장 많았으며 $28^{\circ}C$에서 10개로 가장 적었다. 누적 산란 일수는 $20^{\circ}C$에서 15일로 가장 길었으며, $24^{\circ}C$에서 9일로 가장 짧았고, 산란기간은 84~134일로 $16^{\circ}C$에서 가장 짧았으며, $20^{\circ}C$에서 가장 길었다. 그리하여 총 산란수는 $20^{\circ}C$에서 217개로 가장 많았고, $16^{\circ}C$에서 105개로 가장 적었다.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알기간은 12~19일, 유체기간은 51~68일, 성체수명은 85~134일 이었으며, 알에서부터 성체수명까지의 총 생존기간은 $20^{\circ}C$에서 216일로 가장 길었으며, 다음은 $24^{\circ}C$에서 193일, $16^{\circ}C$에서 170일 및 $28^{\circ}C$에서 151일 순 이었다. 따라서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산란, 발육 및 성체수명에 가장 유리한 온도는 $20^{\circ}C$로 여겨졌다.

닭의 모체 연령에 따른 생산 배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 및 텔로미어 함량 분석 (Effect of Maternal Age on Chromosome Aberrations and Telomere Quantity in Chick Embryos)

  • 이수희;;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3-300
    • /
    • 2009
  • 모체 출산 연령이 늦어짐에 따라 태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난자의 노화에 따른 염색체의 비분리 현상의 증가 등이 주된 원인이다. 염색체 양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안정성에 관여하고 세포분열이 진행됨으로써 이의 길이가 짧아져 노화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체의 노화가 생산 배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닭의 산란 연령별 배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와 이들의 텔로미어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험 분석은 20주령에서부터 70주령까지의 화이트 레그혼 종을 공시하고 10주 간격으로 생산된 수정란의 초기 배아에 대한 핵형 분석과 양적형광보인법(Q-FISH)을 이용한 모계 및 생산 배아의 텔로미어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배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는 산란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산란 초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염색체 이상 빈도를 보이다가 산란 중기에서 안정된 빈도를 유지하고, 후기부터 다시 이상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모체의 노화가 태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의 텔로미어 함량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 감소 양상을 나타내는 반면, 모계 연령에 따른 생산 배아들의 텔로미어 함량은 연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모체의 노화가 수정 배아의 텔로미어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배란 후 수정이 된 배아는 초기 발생 과정 중 세포들의 reprograming이 일어나 텔로미어가 복구됨을 의미한다.

재래닭의 경영 및 판매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Current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s)

  • 한성욱;박종수;오봉국;정선부;이규호;최연호;김재홍;여정수;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7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hicken industry by reviewing the current native chicken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of native chicken products(meat and eggs). The research was carried on the basis of the farm field survey covering 210 native chicken feeders out of 9 different local area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verage raising size of native chicken flocks of sample farms was 1,787 heads and about 50% of those farms raised less than 500 heads chickens for self-sufficiency or on the side. 2. Most farmers made the decision to start on feeding native chickens in small scale with small amount of capital without sound feeding program, and their decision was mainly influenced by recommendation of mass-media( 19.5%) and neighbors (17.2%). 3. The average income per farm earned by raising the native chickens was 13,719 Won, and income per head of chicken was 8,800 Won. 4. About 40% of feeders expressed that the poor marketing management and lack of capital were the bottleneck to native chicken farm management. 5. About 70% of feeders evaluated the prospect of native chicken industry positively and so, about 60% of feeders hoped to expand the raising size in the future. 6. Most farmers directry made a bargain with marketer including middleman and enduser in selling the chicken products because there was not established special marketing system for native chicken products. 7. The sales age of native broiler was about 16~20 weeks and average body weight of broiler was 1.5~2.0 kg. And farm recieved price was not decided on the basis of each body weight or meat quality but only number of heads. 8. The average first egg-laying age of chickens was about 165 days and average annual laying rate was only about 56%. 9. In order to develop the successful Korean native chicken industry, followings are recommended ; 1) Reducing the production cos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native chicken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ound feeding program of native chickens and sufficient fund supply. 2) Orderly native chicken marketing and pric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give good vision about native chickens to farmers and to delight the consumers. 3) The measure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including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value of native chicken products against other improved chickens should be actively taken by feeders and government.

  • PDF

Maternal nutrition altered embryonic MYOD1, MYF5, and MYF6 gene expression in genetically fat and lean lines of chickens

  • Li, Feng;Yang, Chunxu;Xie, Yingjie;Gao, Xiang;Zhang, Yuanyuan;Ning, Hangyi;Liu, Guangtao;Chen, Zhihui;Shan, Ansh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8호
    • /
    • pp.1223-1234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aily feed intake during the laying period on embryonic myogenic differentiation 1 (MYOD1), myogenic factor 5 (MYF5), and myogenic factor 6 (MYF6) gene expression in genetically fat and lean lines of chickens. Methods: An experiment in a 2×2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with two dietary intake levels (100% and 75% of nutrition recommendation) and two broiler chicken lines (fat and lean). Two lines of hens (n = 384 for each line) at 23th week of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treatments with 12 replicates of 16 birds. The experiment started at 27th week of age (5% egg rate) and ended at 54th week of age. Hatched eggs from the medium laying period were collected.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se the MYOD1, MYF5, and MYF6 mRNA levels of E7, E9, E11, E13, and E15 body tissues and E17, E19, and E21 chest and thigh muscle sample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line, dietary intake, and interactions between them on MYOD1, MYF5, and MYF6 gene mRNA expression levels in embryonic tissues. Low daily feed intake did not change the expression trend of MYOD1 mRNA in either line, but changed the peak values, especially in lean line. Low daily feed intake altered the trend in MYF5 mRNA expression level in both lines and apparently delayed its onset. There was no apparent effect of low daily feed intake on the trends of MYF6 mRNA expression levels in either line, but it significantly changed the values on many embryonic days. Conclusion: Maternal nutrient restriction affects myogenesis and is manifested in the expression of embryonic MYOD1, MYF5, and MYF6 genes. Long term selection for fat deposition in broiler chickens changes the pattern and intensity of myogenesis.

The Effects of Dietary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Bacillus natto on Egg Production and Egg Lipid Composition in Layer

  • Hong, Hee-Ok;Abanto, Oliver D.;Kim, Ki-Hyun;Nam, Ki-Taeg;Son, Jong-Youn;Jung, Woo-Suk;Nam, In-Sik;Hwang, Seong-G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9-61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low grade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FSB 1) or Bacillus subtilis var. natto (FSB 2),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fat and cholesterol content, and the fatty acid (FA) profile of eggs by lipid layer. A total of 18 Hi-Line strain layers, 22 wk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no fermented soybean (control), control with 15% FSB 1 (C + FSB 1), and control with 15% FSB 2 (C + FSB 2). The rate of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were evaluated between two periods: one was from the 1st to 4th wk and the other was from the 5th to 8th wk. At the 8th wk, a total of 30 egg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treatment group and analyzed for physical quality, fat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egg production was increased in hens fed with diets containing fermented soybeans from the 5th to 8th wk period (p<0.01).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through eight weeks' cumulative egg production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between the C + FSB 1 and C + FSB 2 treatment groups (p>0.05). Egg weight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did not vary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Egg yolks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were similar in fat content, but egg yolks in the C + FSB 1 and C + FSB 2 groups had lower oleic acid (p<0.05), higher linoleic, ${\alpha}$-linolenic, and arachidonic acids (p<0.01), and lower cholesterol content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low grade soybeans might be useful as a functional feedstuff to improve egg production and quality for a healthy human diet.

흰눈섭황금새(Muscica narcissina zanthopygia HAY)의 생태-특히 번식경과와 육령기의 식습성 (Ecological Notes on Narcissus Flycatcher, Musciapa narcissina zanthopygia HAY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reeding process and feeding habits of nestlings during their nesting period-)

  • 원병오;이경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127
    • /
    • 1965
  • 1. This report is on the outcome of observation made up the breeding process of Narcissus flycatcher, Muscicapa narcissina zanthopygia, using 15 ness-boxes at Seoul and Kwang Nung Experimental forest in 1964, and the relevant feeding habit was studied by the collar method of wrapping the necks of thenestlings for 50-60 minutes or more in some cases from 1963 to 1964. 2. The Narcissus flycatcheris a common summer resident throughout Korea arriving at the end of April. The earliest data of arrival of this species in Seoul, is April 26, 1964. They migrate southward from the later part of September to early part of October. 3. In a week after their arrival , they start to build nest after a brief courtship. Male and female prepare their nest ina nestboxes in 4 or 5 days. Nests are usually found in the moss, which provide definite frame-work. The inner side of the nest is usually composed of roots of Gramineae or leaves of pine, oak or other broad leave tree. 4. The laying period is generally from the later part of April to the middle of June : and the number of eggs laid is from 3 to 8 , therefore 5 in average : eggs are pink with traces of milky yellow blending of light auburn and orange red spots and chicken-egg-like in shape. 5.The incubation takes place for 7-12 days from the middle part of May to the middle of June, in the order of male and female . The hatching rate tends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clutch size. 6. The feeding period usually lasts 15 days in average from the early part of June to the middle of July and the feeding urge tends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brood size. 7. The animals invading into their nest-boxes are red ants, chipmunks, bees , barkbeetles and philippine red-tailed shirkes, etc. 8. On the basis of analysis covering 714 birds in 31 nests, the food they consumed during the nesting period of nestlings were mostly of animal matters composing of : insect larvae form-39. 88% insect adult form 36.26%, insect pupae-0.19%, spider-17.75% and other animal matters 5.92% , Besides a small amount of plant pieces were found . As to the insect larvae, Lepidoptera was the largest in the content followed by Hymenoptera , Orthoptera and Coleoptera. As to the insect adult, Diptera was the largest in the content followed by Coleoptera, and Hymenoptera. In view of forest protection, noxious insect was of 69.38%, useful insect 4.39%, and spider 17.75%. 9. The rich assortment of its food, the ability of acquiring various insect (adults as well as larvae), its destruction of great numbers of harmful insects , and its quick assimilation artificial nesting with the nest-boxes of 2.5-3cm entrance hole employed, allow us to conclude that the flycatcher may be successfully employed in the elimination of fores pests. The above results are only that part obtained near Seoul in the middle of Korea, however, if we would extend the scheme to other broad areas using similar techniques, the nest-boxes could not only be well used by the birds, but also it would help to prevent the increase of harmful. insects.

  • PDF

감꼭지나방(나비목: 감꼭지나방과)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Lepidoptera: Stathmopodidae))

  • 박은철;최경환;김정화;조수원;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7-300
    • /
    • 2001
  • 감꼭지나방의 온도별(15, 20, 25, 3$0^{\circ}C$)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0^{\circ}C$에서 96.1일, $25^{\circ}C$에서 43.2일, 3$0^{\circ}C$에서 34.6일이 걸렸다. 15$^{\circ}C$에서는 유충기간중 모두 사망하였다. 발육영점온도는 알, 유충, 번데기, 알~성충이 각각 12.2, 13.5, 13.8, 13.4$^{\circ}C$였다. 유효적산온도는 알, 유충, 번데기, 알~성충이 각각 74.0, 331.3, 160.5, 569.9일도 이었다. 부화율, 용화율 및 우화율은 $25^{\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산란전 기간과 성충수명은 2$0^{\circ}C$에서 12.6일과 29.3일이며, $25^{\circ}C$에서는 3.8일과 8.6일, 3$0^{\circ}C$에서 2.5일과 7.0일이었다. 1세대에 요하는 평균기간(T)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았으며, 순증식률(R$_{o}$ )은 2$0^{\circ}C$와 3$0^{\circ}C$에서 낮았다. 내적자연증가율(r$_{m}$ )은 $25^{\circ}C$에서 0.066로 가장 크게 나타내었다.

  • PDF

난황 콜레스테롤 및 계란 품질에 관한 식이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효과 (Effect of Dietary β-Cyclodextrin on Egg Quality and Cholesterol Content of Egg Yolks)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4-620
    • /
    • 2004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 및 계란 품질에 관한 식이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D)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29주령 산란계 100마리를 이용하여 각각 20마리씩의 5그룹으로 나누어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실험 10주기간 동안에 각각의 산란 케이지 내에서 수용하였다. 산란계의 식이는 순수한 $\beta$CD를 0, 3, 5, 7 또는 10% 함유하는 5개의 처리구로 나누었다. 암탉의 식이섭취량, 산란율, 난중은 $\beta$CD 무첨가구와 $\beta$CD 3, 5, 및 7% 첨가구 사이에 서로 비슷하였으나 $\beta$CD 1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식이요구율을 계란 1개당으로 표시했을 때 식이내 $\beta$CD 첨가수준과 차이는 없었으나 $\beta$CD 10%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손상되었다(p<0.05). $\beta$CD 첨가는 호우유니트, 난황색 및 난각두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난황 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D 무첨가구와 비교할 때 $\beta$CD 3, 5, 7 및 10% 첨가구에서 각각 3.76, 5.12, 5.49 및 6.48 mg씩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계란 60 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D 무첨가구와 비교할 때 $\beta$CD 3, 5, 7 및 10% 첨가구에서 각각 54, 71, 77 및 86 mg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가장 획기적인 효과는 산란계 식이내 $\beta$CD 5%와 7% 첨가구에 의해서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이 각각 28.19% 및 30.23%까지 감소한 관찰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beta$CD의 첨가 급여는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진 기능성 계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박테리오신 OR-7을 생산하는 항균 효모의 양계에서의 사양시험 효과 (Efficacy of Antibacteriocidal Yeast That Producing Bacteriocin OR-7 in Chicken)

  • 조동인;강상모;이재화;이상현;김남영;김기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1-398
    • /
    • 2010
  • 산란계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균제(PY0.3%, PY0.5%) 를 산란계에 급여하였을 때 산란율, 산란수, 난중, 등외란, 파란율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란계에서의 사양시험은 36주령 ISA brown 산란계 300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기초 사료구(Con; basal diet), 기초 사료구에 일반 효모 0.3%(basal diet+0.3% 일반효모), 일반 효모 0.5%(basal diet+0.5% 일반효모), 활성 효모 0.3%(basal diet+0.3% 유전자 변형 효모), 활성 효모 0.5%(basal diet+0.5% 유전자 변형 효모)를 첨가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총 13주간의 사양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산란수, 난중, 등 외란, 파란율 등을 연구했다. 사양시험에 이용한 닭은 각각 20수씩 3반복을 하였으며, 총 300수를 사용했다. 시험결과 시험군인 활성 효모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산란율, 산란수, 난중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일반효모 첨가군에 비해서는 산란율, 산란수에 대해서는 우수하였으나 난중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등외란과 파란율에서는 첨가 군에서 큰 란이 생산되는 비율이 크다 보니까 상대적으로 등 외란과 파란율이 높아진 면도 있다. 이러한 우수한 결과는 PY를 첨가함으로써 면역 기능강화와 bacteriocin의 기능과 효모에서 분비된 여러 가지 유용물질의 상호작용에서 기인된 결과로 보여 지며 이런 이유로 사료효율 개선과 병원성 미생물의 억제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승효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