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plant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6초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폐달걀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감소효과 (The Malodor Decreasing Effec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on Decomposing Waste Egg)

  • 이창훈;이용호;유재홍;박준영;심명용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77-182
    • /
    • 2016
  • 부화장에서 폐기하는 달걀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이용 분해하여 비료화하는 데 있어 발생하는 악취는 폐기물 처리에 있어 중요한 제한요소 중 하나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30008와 KACC 30068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효모 균주는 모두 세균만을 사용하여 분해 처리하였을 때보다 섞어서 사용한 경우 암모니아 발생을 약 35.4% 감소하였고, 두 균주를 같이 섞어 사용한 경우는 57.1% 감소시켰다. 두 균주는 황화수소 또한 42%와 90.4%씩 각각 감소시켰고, 동시에 두 균주를 같이 사용했을 때에는 황화수소 발생을 98.5% 감소시켰다. 메틸메르캅탄의 경우 KA30008은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KA30068은 40%, 두 균주를 함께 사용한 경우는 66.7% 감소시켰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는 효모의 처리가 B. amyloliquefaciens를 사용하여 폐달걀 분해 시 악취 발생을 저감하는 효과를 더 증진시킴을 보여주었다.

신선초를 가해하는 주홍날개들명나방(Udea ferrugalis)의 형태적 특징 및 생활사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Udea ferrugalis (Lepidoptera, Pyralidae) Attacking Angelica utitis)

  • 이기열;민경범;안기수;최관순;장영덕;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5
    • /
    • 1999
  • 신선초를 가해하는 주홍날개들명나방(Udea ferrugalis)을 채집하여 1995~1996년동안 실내에서 누대사육하면서 형태적 특징과 생활사를 조사하고 신선초 이외의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성충은 갈색으로 체장은 암컷이 10.1mm, 수컷은 8.3mm이었고, 날개편길이는 18.5mm, 16.6mm이었다. 알은 회백색으로 원형이며, 유충은 유백색~연노랑색으로 체장은 1.5~14.6mm이고, 번데기는 진한 갈색으로 체장은 8.2~9.7mm였다. $20^{\circ}C$항온조건에서 난기간은 5.81일, 유충기간 19.00일, 전용기간은 3.46일, 그리고 용기간은 11.00일 이었다. 또한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9.80일, 수컷은 10.13일 이었다. 산란수는 $20^{\circ}C$$30^{\circ}C$에서 각각 238.5개, 248.8개 이었다. 기주식물은 채소류에서 무, 배추, 상치, 딸리, 오이, 미나리, 콩, 국화, 장미, 신선초, 천궁 등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 PDF

블루베리와 복숭아에서 전정가지 수분함량이 갈색날개매미충 알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isture Content of Pruned Blueberry and Peach Twigs on Hatchability of Rican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Eggs)

  • 김동환;양창열;김형환;서미혜;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57-363
    • /
    • 2017
  • 12월부터 3월까지 갈색날개매미충 알이 붙어 있는 블루베리나무와 복숭아나무의 가지를 전정한 후 가지의 마름정도와 갈색날개매미충 알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알의 부화율은 블루베리와 복숭아 모두 1% 미만으로 정상적인 가지(52.8~68.4%)에 비해 부화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부화시기에 전정가지의 함수율은 블루베리와 복숭아 각각 9.8~20.9%, 7.5~13.8%로 매우 낮았다. 즉 갈색날개매미충의 알이 붙어 있는 가지를 전정할 경우 가지가 심하게 마르기 때문에 가지 속의 알도 건조해져서 정상적으로 부화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에서의 청어(Clupea pallasii) 산란장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Spawning Beds in Jinhae Bay, Korea)

  • 문성용;최정화;이해원;김정년;허진석;곽우석;이용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4-538
    • /
    • 2019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awning bed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ere observed by scuba diving in Jinhae Bay, Korea, with a focus on marine vegetation as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2017, the fertilized eggs of C. pallasii were mainly found attached to the leaves of algae species Carpopel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nd Acrosrium polyneurum at the rocky shore in Wonpo-dong and Jeodo. The mean density of fertilized eggs in C. pallasii spawning beds was $153,776eggs/m^2$ off Wonpo-dong and $856,430eggs/m^2$ off Jeodo, giving an estimated total of $5.345{\times}10^9$ eggs in Wonpo-dong and $3.3074{\times}10^{10}$ eggs in Jeodo. We examined spawning beds with an area of $38,619m^2$ off Wonpo-dong and $34,760m^2$ off Jeodo. The choice of spawning bed may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marine vegetation, such as the algal diversity of rocky shore environments, which could affect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pallasii in Jinhae Bay is in January to mid-February.

차응애의 cyenopyrafen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 Tetranychidae) to Cyenopyrafen)

  • 백채훈;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0-174
    • /
    • 2010
  • 차응애에 대해 cyenopyrafen의 효력을 검정한 결과, 실내시험에서 차응애의 난, 유충, 전약충과 암컷성충에 대해 매우 우수한 약효를 보였다. Cyenopyrafen의 처리에서 생존한 차응애 암컷성충들의 산란수는 아주 적어 무처리와 큰 차이가 있었으며, 산란된 난은 전혀 부화되지 않았다. 시험약제는 125와 83.3 ppm 처리에서 차응애의 암컷성충에 대해 처리 후 15일까지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포장시험에서 cyenopyrafen은 차응애의 혼합태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밀도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시험결과들로 보아 cyenopyrafen은 차응애의 방제약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살응애제의 적정 사용농도는 83.3 ppm으로 판단된다.

잎갈나무통나방의 생활사 (Bionomics of Coleophora obducia (Lepidoptera: Coleophoridae))

  • 신상철;채정석;최광식;박일권;김철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9-171
    • /
    • 2003
  • 일본잎갈나무의 식엽해충인 잎갈나무통나방(Coleophora obducia Meyrlck)의 생활사 및 천적의 종류를 충북지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주식물로는 일본잎갈나무만이 확인되었다. 잎갈나무통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중순부터 하순까지였고 최성기는 5월 14일경이었다. 성충 1마리당 포란수는 약 44.5개였으며 1엽당 1개씩의 알을 낳았다. 난기간은 약 2주 였고 유충은 잎 속에다 고치를 틀고 월동하였고 4월 말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천적으로 포식성곤충인 거미류, 개미류 등과 기생성곤충인 기생파리류와 기생벌류가 조사되었다.

국내 단감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의 계절적 발생과 화학적 방제 (Seasonal Occurrences and Chemical Control of Oyster Scale, Psuedaulacaspis cockerelli (Hemiptera: Diaspididae)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Korea)

  • 정부근;이흥수;강동완;권진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97-105
    • /
    • 2017
  • 단감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시기별 발생특성과 우수 방제약제를 선발하였다. 가지에서 월동한 약충이나 암컷 깍지는 9월 중순경에 교미 후, 월동에 들어가며 다음 해 봄철에 기온상승과 더불어 포란과 산란의 과정을 거쳐, 5월 중하순까지 산란을 마친 후 죽었다. 수컷은 대부분 9월 말까지 우화하여 암컷과 교미하고 죽었으나 낙엽에서 월동하는 개체의 경우 모두 사멸하였다. 식나무깍지벌레의 산란 특성은 매년 기상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4월 중순부터 5월 중 하순까지 산란하고, 5월 초 중순에 산란 최성기를 보였다. 산란 량은 160개 정도로 추정되며, 산란 최성기로부터 약 1주일 경과 후 부화 최성기를 보였다. 여름철에는 7월 초 중순에 시작하여 8월 중 하순까지 산란하고, 7월 말과 8월 초에 산란 최성기에 도달하며, 암컷 한 마리당 산란수는 봄철보다도 다소 적은 130개 정도이고, 난 기간은 약 4일로 추정되었다. 가는 가지에서 월동한 성충이 산란한 알로부터 부화한 1세대 약충은 가지와 잎에서 각각 10%, 90% 정도의 비율로 관찰되었다. 가는 가지에서 대부분 암컷 깍지로 발육하고 2009년 7월 27일 2세대 약충 발생 최성기에 도달한 다음 8월 중 하순경부터 월동처로 정하고 살아간다. 암컷과 수컷 깍지는 8월 이전까지 잎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발육하다가, 2009년 8월 12일 이후 잎에서 수컷의 약충 발생 최성기를 시작으로 8월 27일 수컷 깍지벌레 발생 최성기, 9월 14일 전후로 수컷 성충의 발생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발생관계를 관계를 보여주었다. 8월 12일 잎에서 관찰되는 약충 중 75% 정도는 발육하여 수컷으로 우화하여 교미하고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Buprofezine+dinotefurn (20+15) WP로 6월 9일과 16일 2회 방제하고 7주 후에 생사충을 판정한 결과 방제가가 90.6%로 나타났다.

Responses of Guava Plants to Inoculation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Soil Infested with Meloidogyne enterolobii

  • Campos, Maryluce Albuquerque Da Silva;Silva, Fabio Sergio Barbosa Da;Yano-Melo, Adriana Mayumi;Melo, Natoniel Franklin De;Pedrosa, Elvira Maria Regis;Maia, Leonor Co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242-248
    • /
    • 2013
  • In the Northeast of Brazil, expansion of guava crops has been impaired by Meloidogyne enterolobii that causes root galls, leaf fall and plant death. Considering the fact that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mprove plant growth giving protection against damages by plant pathogens,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select AMF efficient to increase production of guava seedlings and their tolerance to M. enterolobii. Seedlings of guava were inoculated with 200 spores of Gigaspora albida, Glomus etunicatum or Acaulospora longula and 55 days later with 4,000 eggs of M. enterolobii.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MF and M. enterolobii were assessed by measuring leaf number, aerial dry biomass, $CO_2$ evolution and arbuscular and total mycorrhizal colonization. In general, plant growth was improved by the treatments with A. longula or with G. albida. The presence of the nematode decreased arbuscular colonization and increased general enzymatic activity. Higher dehydrogenase activity occurred with the A. longula treatment and $CO_2$ evolution was higher in the control with the nematode. More spores and higher production of glomalin-related soil proteins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 with G. albida. The numbers of galls, egg masses and eggs were reduced in the presence of A. longula. Inoculation with this fungus benefitted plant growth and decreased nematode reproduction.

지역별 시설재배지에서 식물기생선충의 살선충제에 대한 밀도억제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Nematicides on Nematode Populations in a Regional Vinyl Plastic House)

  • 김세희;박상은;고나연;류태희;신효섭;권혜리;서미자;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5-225
    • /
    • 2013
  • 과채류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방제를 위해 충남 공주의 오이 재배지와 충남 부여와 논산, 경남 진주의 딸기 재배지, 전남곡성의 메론 재배지역에서 시설재배와 노지 재배를 하고 있는 농가토양을 채취하여 선충을 분리, 동정한 후 각 지역별 토양에서 abamectin 1.68% SC, cadusafos 3% GR, dazomet 98% GR, fosthiazate 30% SL, BA12011 SL 등 약제들의 선충에 대한 밀도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실험과 포장실험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평균밀도가 약제처리 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부여의 경우 fosthiazate 처리시 Pratylenchus spp.가, 곡성의 경우 fosthiazate, abamectin, cadusafos, dazomet 처리시 Pratylenchus spp.에 대하여 토양 내 평균 밀도가 상승하였다. 또한 BA12011 처리시 약제처리 후 다른 약제와 비슷한 수준의 개체군 평균밀도를 보였으며, 특히 공주 토양에서는 fosthiazate의 약제처리 효과보다 모든 종에서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에 약제처리를 한 후 난낭 형성을 확인한 결과, abamectin의 경우 부여와 진주의 토양에서 효과를 보였고, BA12011은 논산과 곡성, dazomet는 공주에서 난낭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BA12011을 가지고 오이재배지에서의 방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Meloidogyne spp., Pratylenchus spp., Helicotylenchus spp.의 평균 밀도가 감소하였고, 2차 처리시보다 1차 처리시 평균 밀도의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초기 단계의 방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phology, Pathogenicity and Molecular analysis of Alternaria Isolates from Solanaceous Crops (oral)

  • Cho, H.S.;Park, M.S.;Kim, B.R.;Yu, S.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2.3-113
    • /
    • 2003
  • More than 30 isolates of Alternaria were obtained from various solanaceous crops in Korea. For all isolat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representative isolates of A. solani and A. tomatophila. Pathogenicity test was performed to Potato, tomato, egg plant and red Pepper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m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isolates were determined using sequence analyses of ITS rDNA and histone H3 gene, and URP-PCR analysi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from the solanaceous crops were grouped as identical or very similar to either A. tomatophila(ATO), A. solani(ASO), and unidentified Altemaria sp.(ASP). Among the molecular markers used in this study, the URP-PCR analysi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axonomic resolution of these species. Based on the conidial morphology, pathogenicity test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 tomatophila(early blight of tomato) could be distinguished from A. solani(early blight of potato), and the Alternaria sp.(ASP) from potato,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A. solani in conidial morphology, was considered as a new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