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laying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7초

산란초기의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계란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in Laying Hens during Early Stage of Egg Production)

  • 추연경;권형주;오성택;김용란;김은집;김동욱;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1-368
    • /
    • 2013
  • 본 시험은 산란 초기에 있어 조단백질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산란 초기 사료 내 적정 단백질 수준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22주령 Hy-Line 갈색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면적의 케이지에 모두 4개 처리구에 9반복, 반복당 20수씩 총 720수를 선발하여 2주간 일반 시판 사료로 예비 사육하였으며, 처리구별 산란율과 체중이 유사하도록 재배치한 후 총 12주간 사육하며, 조단백질 수준이 난생산성 및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사료 섭취량의 경우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 처리구의 경우 다소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었다. 산란율에 있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 사료를 급여할 경우에도 산란율 95%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난중의 경우, 조단백질 19%를 제외하고, 조단백질 16~18%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난질 항목에 있어 Haugh unit, 난각 두께 및 강도의 경우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황색에서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난황색이 옅어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양표준 2차 개정판(2012)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아미노산(Lys, TSAA, Thr) 수준을 유지하고, 사료 섭취량이 105 g 이상의 조건이라면 조단백질 16% 수준으로도 초기의 난 생산성 및 품질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후기 사료 내 가수분해 효모의 첨가 급여가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ydrolyzed Yeast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during Late Phase of Laying Hens)

  • 정재용;김관응;이형호;양회창;김은집;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69-176
    • /
    • 2021
  • 본 실험은 산란후기의 공시계에서 가수분해 효모의 수준별 급여를 통해 난 생산성과 난질을 평가하고 평가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보조사료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8주령 하이라인 실용 갈색계 총 180수를 공시하여 3개 처리에 6반복 반복당 10수를 임의배치 하였고 가수분해 효모를 0, 0.1 및 0.2%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8주간 급여하였다. 첫 전기 4주간의 산란율과 일산란량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기 4주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가수분해 효모를 첨가한 실험구의 산란율과 일산란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난중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실험기간 중의 난각강도와 난각두께는 가수분해 효모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호우유니트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난황색은 가수분해 효모 0.1%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난각 미세구조에서 유두층은 가수분해 효모 급여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가수분해 효모 0.2% 첨가구에서 가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역가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가수분해 효모의 첨가 급여에 의해 산란후기의 난 생산성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고, 난질 및 난각질이 유의하게 향상됨으로서 산란계의 후기 생산단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고령토(천연목질점토)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aolin (Natural Ligneous Clay)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김진수;조종관;윤세영;윤구;권일경;채병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133-13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토(Kaolin)의 수준별 급여(실험 1)와 주령이 서로 다른 산란계의 수준별 급여(실험 2)가 산란계의 성적, 난품질 및 난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58주령 산란계 총 64수를 이용하여 고령토 0.0, 0.2, 0.4 및 0.6% 급여구로 구분하였다. 실험 2에서는 두 가지 주령(30과 58주령)의 산란계와 세 가지 수준(0.0, 0.2 및 0.4%)의 고령토를 2 ${\times}$ 3 요인분석법으로 설계하였다. 두 실험의 결과, 고령토를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하면 사료섭취량이 적어지고 사료요구율과 산란율이 개선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난품질과 난각의 품질에는 고령토 첨가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질고령토의 첨가는 사료효율을 개선하고 산란율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첨가수준은 30주령에서는 0.2%, 58주령에서는 0.2, 0,4%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한국토종닭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병아리의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ed, Laying Age, and Egg Storage Period on the Vitality of Hatched Chicks in Korean Native Chickens)

  • 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2
    • /
    • 2021
  • 본 연구는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발생 병아리의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험은 황갈색 재래종, 토착 로드아일랜드종 및 토착 레그혼종을 이용하여 산란 초기(27~29주)와 산란 후기(50~52주) 때 생산한 종란을 각각 3일, 7일 및 14일 보관 후 부화하여 발생한 병아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부화 시간, 발생 후 병아리의 생산능력 및 장기 무게를 조사하였고, 병아리의 생리적 활성도 파악을 위하여 IL-6 유전자 발현율 및 텔로미어의 상대적 길이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알기 위하여 HSP 유전자 발현율 및 H/L ratio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계의 품종과 산란 시 연령이 발생 병아리의 강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란의 보관 기간은 병아리의 강건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된 토종닭 품종 중 토착 레그혼종 병아리가 가장 강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존율이 저조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심장을 가지며, 모든 생리활성지표가 낮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이 높았기 때문이다. 비록 산란 초기에 생산한 병아리들이 산란 후기에 생산한 병아리에 비해 생존율은 낮았지만, 생존 개체들의 생리활성지표가 높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이 낮아 산란 후기 때 생산한 병아리에 비해 강건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건성이 높은 병아리를 얻기 위해서는 강건성이 강한 품종을 선정하여야 하고, 산란 후기에 생산한 병아리의 이용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육방식에 따른 계란의 지방산 조성: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Fatty Acid Profle of Egg in Laying Hens with Different Rearing System: A Field Study)

  • 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73-777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on fatty acid profile of egg in laying hens during 9 weeks. Two hundred hens, 70-wk-old, Hy-line Brown, were used in this study and fed basal diets. 100 hens, randomly collected from facility, were transferred to cage rearing system and 100 remaining hens were moved to backyard raising system. For overall period,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n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than did saturated fatty acid (SFA) were observed. In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s, both rearing system showed a higher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than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s.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hens reared in backyard system had considerably lower contents of SFA and higher contents of MUFA compared with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P<0.05). In addition,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n-3 contents and higher n-6:n-3 ratios and CLA contents in comparison with backyard raising system (P<0.05).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s of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on PUFA, PUFA:SFA ratio, and n-6 contents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egg production as functional foods.

Effects of Replacement of Soybean Meal by Cottonseed Meal on Laying Performance and Haemoglobin Levels in Practical Diets for Breeder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 Erturk, M. Mustafa;Ozen , Nihat;Celik, Kem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980-983
    • /
    • 2004
  • A 16 week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placement of soybean meal (SM) by extracted cottonseed meal (CSM) on laying performance and haemoglobin levels in practical diets for breeder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One hundred ninety two quails (6 weeks old) were divided randomly into eight groups. The diets were isocaloric containing 2,900 kcal/kg of ME and isonitrogenous (% 20 crude protein) as fed basis. SM was replaced by 0, 2.5, 5.0, 7.5, 10.0, 12.5, 15.0 and 17.5% of CSM, respectively. Average egg production (quail day, %; quail house, %), egg weight (g), daily feed intake (g/bird), feed efficiency ratio (g feed/g egg) data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while, blood haemoglobin levels (% g Hb) of 7th (15.0% CSM) and 8th (17.5% CSM) group were lower than the control (0% CSM) diet (p<0.05).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17.5% CSM could replace SM (providing 44% of SM protein) in practical diets of breeder Japanese quails without any significant impairment on laying performance.

종계군(種鷄群)의 Newcastle Disease에 대(對)한 면역상태(免疫狀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Immune Status of Breeding Hens Against Newcastle Disease)

  • 여상건;최원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1
    • /
    • 197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immune status of breeding hens and laying hens against Newcastle disease (ND). The methods of extraction of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antibody from egg yolk, the detection of HI antibody in egg albume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I antibody titers in maternal sera and egg yolks were discussed. For the purposes of these experiments, 9 flocks of breeding hens and 16 flocks of laying hens immunized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were investigated. The vaccination program of tested flocks was 3-3-3 or 4-4-4 in general.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Freezing-thawing was the best method far antibody extraction from egg yolk for HI test. The HI antibody against NDV was found in egg albumen (geometric mean, 4.5), but lower than that found in egg yolk (32.1). The geometric mean of HI antibody titers of egg yolks (84.1) was higher than that of maternal sera (68.4) and day-old chicken sera (25.3).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HI antibody titers of maternal sera(Y) and those of egg yolks(X). The coefficient correlation was r=0.63, and the line of regression of Y on X was $\hat{Y}$=35.91+0.35X.

  • PDF

산란말기 사료 내 Bacillus subtilis와 오레가노 오일 첨가가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품질 및 장의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and Oregano Oi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Late-Phase Laying Hens)

  • 김현수;김희진;윤연서;이우도;신혜경;손지선;홍의철;전익수;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1-323
    • /
    • 2023
  • 본 연구는 생균제인 Bacillus subtilis(BS) 및 Oregano essential oil(OEO)이 산란말기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그리고 회장 내 융모의 조직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말기(69주령) 산란계 총 150마리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전 산란율 차이에 따라 산란율 100%(H), 평균(A, 88%~89%) 총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각 그룹별로 BS 또는 OEO을 처리하였다. 산란율 차이에 따른 두 그룹에서 각각 대조군(CON)은 상업용 시판사료를 급여하였으며, BS군은 대조군 사료에 3 × 108 CFU/kg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였고, OEO은 대조군 사료에 사료용 Oregano essential oil 0.3 g/kg을 첨가하였다. 총 6처리로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5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종료 후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그리고 회장내융모의 조직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란율 평균인 처리구에서 BS(91.69%) 및 OEO(91.94%)에서 CON(86.80%)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구 및 혈청 생화학 분석 결과, 산란말기 산란율 및 BS과 OEO 첨가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강도는 OEO(3.31~3.49 kg/cm2)에서 CON(2.96~3.17 kg/cm2)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장 건강지표인 융모높이(villi height; VH)와 장샘깊이(crypt depth: CD)에 대한 분석결과, CON보다 BS와 OEO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VH/CD의 비율을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산란말기 산란계 사료에 Bacillus subtilis와 Oregano essential oil을 첨가 급여하는 것이 산란율, 계란품질 및 장 건강을 향상시키는 사료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mmunity of Laying Hens due to Natural Carotenoid Supplementation: A Meta-Analysis

  • Fitri Yunitasari;Anuraga Jayanegara;Niken Ulup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82-30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arotenoid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mmunity of laying hens using a meta-analysis approach. The database was searched using Google Scholar and Scopus, from 2012 to 2022. The literature was published in English. 47 Articles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Open Meta-analyst for Ecology and Evolution (OpenMEE) software. The heterogeneity and data validation against publication bias were analyzed using JASP 0.16.2 software.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carotenoid supplementation improved feed intake by 0.32 g/day/hen [95% confidence interval (CI)=0.02 to 0.61], final body weight by 0.33 g/hen (95% CI=0.05 to 0.60), egg production by 0.38% (95% CI=0.14 to 0.63), egg weight by 0.29 g (95% CI=0.09 to 0.5), yolk colour by 2.11 (95% CI=1.71 to 2.51), Haugh unit (HU) by 0.26 (95% CI=0.11 to 0.42), yolk carotenoids by 1.17 ㎍/kg (95% CI=0.59 to 1.75), immunoglobulin A (IgA) by 0.74 mg/L (95% CI=0.18 to 1.29), and lower yolk cholesterol by -0.38 mg/g (95% CI=-0.59 to -0.16). Feed conversion ratio (FCR), eggshell thickness, and white blood cells were un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carotenoids. The heterogeneity analysis showed variability in all studies (<0.05). In conclusion, carotenoid supplementation can elevate productivity, enhance egg quality, and improve immunity. However, based on Kendall's test, there was a publication bias in several parameters, namely FCR, egg weight, HU, yolk carotenoids, and IgA.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의 수, 배설물충의 악취물질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Count in Caecal Content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r Egg Yolk in Laying Hens)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1-268
    • /
    • 2005
  • 본 연구는 Ceramic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 중의 악취물질$(NH_3,\;H_2S,\;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총 360수의 34주령의 산란계를 120마리씩 3처리구로 구분하여서 Ceramic 분말 $0.0\%$ (대조구), $0.4\%$$0.8\%$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에서 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4\%$의 Ceramics 분말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가 감소되어 배설물 중의 $NH_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