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larvae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8초

좀구굴치 ( Micropercops swinhonis ) 의 산란습성 및 초기 난발생 (Breeding Habits and Egg Development of the Goby, Micropercops swinhonis)

  • Kim, Ik-Soo;Byung-Jik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77-486
    • /
    • 1996
  • The freshwater goby, Micropercops swinhonis ($G\"{u}nther$) was studied on the spawning behavior and egg develeopment at the two areas of Chollabukdo, Korea from March to May 1995. Egg mass attached to a layer under stones and the inner wall of waterplant, Cyperus. Spawning behavior was divided in to 1) premating stage: selecting spawning sites and formation of territory by male, 2) mating stage: enticement with zigzag-like dance and intermittant shaking of head by male and fertilization, 3) postmating stage: fanning, guarding and cleaning the nest by male. The eggs were transparent and spherical in shape, measuring $0.9\times1.4mm$ with yellowish yolk sac and many oil globules. Hatching began in about ten days after fertilization at water temperature $16~20^{\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8~4.0 mm in total length with 30 myomeres and their mouths and anuses were opened. Melanophores appeared at the air-bladder and the ventral side of caudal region.gion.

  • PDF

Egg Development and Mitotic Interval (τ0) in Black Plaice, Pleuronectes obscurus (Herzenstein)

  • Park, In-Seok;Im, Soo-Y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278-283
    • /
    • 2010
  • Black plaice, Pleuronectes obscurus (Herzenstein), were collected and fertilized to observe egg development, temperature-related cleavage rates, and mitotic intervals (${\tau}_0$). Fertilized egg was demersal, adhesive, and did not contain oil globules. After 1.75 h, the blastodisc formed, and hatching took place 121 h after fertilization at $14^{\circ}C$. The hatched larvae were $3.5{\pm}0.16\;mm$ in total length. At higher temperatures, eggs developed faster and underwent further identical developmental processes. Additionally, ${\tau}_0$ and water temperature were strongly negatively correlated at all temperatures (Y=-2.6981X+98.767, $R^2$=0.9831, where Y is ${\tau}_0$, and X is temperature) for black plaice.

참가자미(Limanda herzensteini)의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과 자어(仔漁)의 형태발달(形態發達) (Eggs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of the Flounder, Limanda herzensteini)

  • 한경호;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6-93
    • /
    • 1999
  • 1995년(年) 3월(月), 동해안(東海岸) 영일만에서 채집(採集)한 참가자미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던 중 1995년(年) 4월(月)13일(日)에 성숙한 어미를 건식법에 의해 인공수정(人工受精)시킨 후(後),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과 부화(孵化) 자어(仔魚)를 사육하면서 자어(仔魚)의 성장(成長)에 따른 형태발달(形態發達)을 관찰하였다. 1. 수정란(受精卵)은 구형(球形)의 무색 투명한 분리부성란(分離浮性卵)으로 크기는 0.86~0.96 mm (평균 0.90 mm, n=50)였고, 유구(油球)는 없었으며, 원란강(圍卵腔)은 좁았다. 2. 사육수온 $14{\sim}17.8^{\circ}C$ (평균 $16^{\circ}C$)에서 수정(受精) 후(後) 64시간만에 부화(孵化)하였다. 3. 부화(孵化) 직후(直後)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2.70~2.90 mm (평균 2.85 mm, n=10)였으며, 항문이 열려있었고, 난황(卵黃) 위에는 색소포(色素胞)가 없었다. 근절(筋節)은 10~11+25~27=35~38개였다. 4. 부화(孵化) 후(後) 3~4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3.80~4.00 mm로 눈에 색소포(色素胞)가 진하게 착색(著色)되었으며, 입이 열리면서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다. 5. 부화(孵化) 후(後) 8~9 일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4.30~4.50 mm로 난황(卵黃)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자어기(後期仔魚期)에 접어들었고, 소화관이 더욱 발달(發達)하여 rotifer를 활발하게 섭이(攝餌)하였다. 6. 부화(孵化) 후(後) 20~22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6.00~6.10 mm로 고(高)는 증가하였고, 왼쪽 눈이 위로 약간 올라가 몸은 좌우상칭(左右相稱)을 잃게 되어, 변태(變態)가 시작되었다.

  • PDF

참갈겨니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

  • 이완옥;김경환;백재민;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0-207
    • /
    • 2013
  •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갈겨니를 2011년 남한강에서 채집하여 Zacco속의 유연관계와 종 보존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난 발생 과정과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였다. Z. koreanus 난은 실험실에서 건식법으로 수정되었다. 수정란은 원형이고 투명하며, 엷은 황색난황을 가지고 있고, 유구가 없으며, 약한 점착성 침성란으로 난경은 $3.09{\pm}0.07$ mm(n=10)이었다. 수온 $20.0{\sim}23.0^{\circ}C$에서 수정 후 68시간 전후하여 난 발생이 완성되었으며,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10.30{\pm}0.40$ mm (n=10)이었다. 부화 6일 후에는 전장 $16.12{\pm}0.42$ mm(n=8)로 성장하였고,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으며 입과 항문이 열린 후기자어기가 되었다. 부화 17일 후에는 전장 $18.21{\pm}0.38$ mm(n=6)로 자랐고, 대부분의 지느러미에 기조가 나타났으며, 복부에는 갈색반점이 출현하였다. 부화 27일 후에는 전장 $20.01{\pm}1.12$ mm(n=5)로 성장하였고,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도달하였다. 부화 120일 후에는 전장 $23.29{\pm}3.12$ mm(n=10)로 성장하였으며, 외형과 반문이 성어와 유사하였다.

한국산 밀어 (Rhinogobius brunneus)의 산란습성,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Spawning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he Korea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Gobiidae: Perciformes))

  • 한경호;김용억;최규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4-120
    • /
    • 1998
  • 밀어 어미를 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매리에 위치한 하천에서 끌망과 쪽대을 사용하여 채집하여 사육하여 1995년 2월부터 5월까지 6차례에 걸쳐 산란행동과 난발생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부화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1. 산란된 알은 수조내의 작은 돌 아랫면에 거의 원형에 가깝게 한층으로 조밀하게 매달려 있었으며, 방정후 수컷은 알을 보호하였다. 2. 수정난은 난경이 $1.28\~$1.56\times0.62\~0.67mm$로 부착사를 지닌 투명한 침성란으로 많은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3.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사육수온 $16.0\~18.0^{\circ}C$ (평균 $17.0^{\circ}C$)에서 수정후 146시간 30분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4. 밀어의 알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난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 쪽을 향하는 역자난이 출현하였다. 5.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10\~3.30mm$ (평균 3.22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지 않았고, 흑색소포는 부레위, 항문 주변, 꼬리 중앙부분의 배쪽에 산재되어 있었으며, 근절수는 $25\~27$개 였다. 6. 부화후 $3\~4$일째의 자어는 전장 $3.30\~3.85mm$(평균 3.60mm)로 난황과 유구가 거의 흡수되어 입과 항문이 열리고, 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7 부화후 $20\~22$일째 개체는 평균 전장 5.85mm로 성장하였으며, 척소미단이 $45^{\circ}$ 정도로 위로 굽어져 있었다.

  • PDF

낙동강 수계 위천에 서식하는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qualidus gracilis majimae from Wicheon Stream, Nakdong-River)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4-252
    • /
    • 2022
  • 이 연구는 긴몰개의 난발생과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여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긴몰개는 2021년 6월 경북 의성군에 위치한 낙동강 수계 위천으로 유입되는 지류에서 포획하였다. 인공수정을 위해 호르몬 Ovaprim은 kg당 0.5 mL 농도로 주사하였고, 주사 후 12시간 후에 채란하였다. 성숙란의 크기는 0.80~0.85 mm (0.83±0.01 mm, n=30)였고, 수온 22±1℃에서 부화 소요시간은 62시간 30분에서 69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크기는 전장 2.39~2.53 mm (2.44±0.04 mm, n=30)였고, 부화 후 18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8.51~9.84 mm (8.95±0.42 mm, n=30)로 척추 끝부분이 완전히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2일째 치어는 전장 12.6~13.6 mm (13.0±0.36 mm, n=30)로 지느러미 기조 수는 등지느러미 iii7개, 뒷지느러미 i7개로 정수에 달했다. 긴몰개는 난 및 부화자어 크기는 점몰개와 유사하였고, cupulae는 유연종들 가운데 가장 늦게 소실되었다.

성숙 유도한 한국산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난발생과 자치어의 형태 발달 (Development of the Eggs, Larvae and Juveniles by Artificially-Matured Pacific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Korean Waters)

  • 김대현;김대중;윤성종;황형규;김응로;손상규;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71-477
    • /
    • 2008
  •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s for the Pacific mackerel, Scomber japonicus are described following natural fertilization in the indoor tank of $25^{\circ}C$ water temperature. Following a routine hormone treatment technique for the brood stock, male and female mackerels were artificially matured by intramuscular injections of LHRHa at a dosage of $400{\mu}g/kg$ body weight (BW)+Domperidone at a dosage of $4{\mu}g/kg$ body weight (BW) to induce maturation in a separate aquarium and induced natural spawning. Fertilized eggs were ca. 1.0 mm in diameter; spherical in shape with a single oil globule; pelagic and non-adhesive. Hatching occurs 41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23-24^{\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as 3.03 mm in average total length (ATL), the mouth and anus were not open, oil globule located in posterior end of yolk sac, and preanal length was 42.8% of TL. The larvae measuring 2.89 mm ATL, almost absorbed yolk sac and oil globule material in 2 days after hatching, in which the mouth and anus were open. Melanophores, branch or star in shape were observed on the top of head, peritoneal region and along the ventral contour. In 13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as 6.88 mm ATL, its posterior end of notochord began to flex upward, finfold of caudal fin appeared, jaw teeth were already formed. In 19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as 7.71 mm ATL completed only caudal fin rays (9+8), and preanal length was 49.4% of TL. In 37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as 27.4 mm ATL already completed all the fins, and preanal length was 59.9% of TL.

고유종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Acheilognathinae))

  • 김치홍;최웅선;김대희;백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4
    • /
    • 2014
  • 한국 고유종인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종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난 발생과 자어의 성장을 관찰하고 초기생활사 특성을 논의하였다. 수정란은 둥근 타원형으로 평균 장경이 2.12mm(2.08~2.18 mm), 단경이 1.86mm(1.80~1.98 mm)이며 담황색 난황을 가진 분리침성란이다. 개체 당 산란 수는 40~112개(평균 72개)였고 수정란은 수온 $18.0{\pm}1.0^{\circ}C$에서 수정 후 43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4.23mm이고 형태적으로 납자루속의 자어 특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어 시기의 S자 운동은 없었다. 부화 후 25일 경에 소화기관이 완성되고 외부 먹이를 먹을 수 있어 자연에서 조개로부터 부출하는 시기로 추정된다. 만 1년 후에는 재생산이 가능한 크기로 성장한다.

바다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Embryogenesis and Early Ontogenesis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38
    • /
    • 2009
  • Oryzias dancena의 난발생 과정과 자치어의 형태발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수온 $25{\pm}1^{\circ}C$에서 수정란은 수정 후 1시간이 경과하면 배반이 형성되었다가 30분의 간격으로 4세포기까지 난할이 이루어졌다. 이후로 발생의 속도가 느려져 수정 후, 7시간 45분이 경과된 후 포배기에 이르렀다. 수정 후 5시간 30분 후에 상실기에 도달하였으며, 포배기는 수정 후 7시간 45분 후에 이루어졌다. 수정 후 11시간 30분이 경과된 후 낭배기에 이르렀고, 수정 후 1일 6시간 후, 신경배를 형성하였다. 심장 박동이 시작되는 시기는 수정 후 2일 4시간째에 이루어졌으며, 수정 후 6일 12시간째 장기에 혈관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11일째에 부화하였고,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4.40{\pm}0.24mm$였으며, 부화 3일 후에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1일째에 각 지느러미 기조가 완전하게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으며, 이 때 전장은 $8.67{\pm}0.87mm$였다. 최초 산란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부화 후 9주째로 전장은 $22.58{\pm}2.73mm$였다.

Artificial Spawning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in Korea

  • Park, Jong Youn;Cho, Jae Kwon;Son, Maeng Hyun;Kim, Kyong Min;Han, Kyeong Ho;Park, Jae M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1호
    • /
    • pp.31-4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gg development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nd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its larvae and juveniles, and to obtain data for taxonomic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June 2013, and 50 male and female fish were used for the study. One hundred ${\mu}g/kg$ of LHRHa was injected into the body of the fish for inducing spawning, and the fish were kept in a small-sized fish holder ($2{\times}2{\times}2m$). Eggs were colorless transparent free pelagic eggs, 0.71-0.77 mm large (mean $0.74{\pm}0.02mm$, n=30), and had an oil globule. Hatching started within 27 h after fertilization. Pre-larvae that emerged just after hatching were 2.02-2.17 mm in total length (mean $2.10{\pm}0.11mm$), their mouth and anus were not opened yet, and the whole body was covered with a membrane fin. Post-larvae that emerged 15 days post hatching were 3.88-4.07 mm in total length (mean $3.98{\pm}0.13mm$), and had a ventral fin with two rays and a caudal fin with eight rays. Juveniles that were formed at 55 d post hatching, were 31.9-35.2 mm in total length (mean $33.6{\pm}2.33mm$), with red color deposited over the entire body, and black chromophores deposited in a spotted pattern. The number of fin rays, body color, and shape were the same as that in the adult 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