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Acheilognathinae)

고유종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 김치홍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최웅선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김대희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백재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Received : 2013.08.27
  • Accepted : 2014.03.06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Acheilognathus majusculus which is Korean endemic species from Yeong river were observed under the controlled water temperature, $18.0{\pm}1.0^{\circ}C$. Fertilized eggs are opaque yellow in color and round oval shaped measuring 2.12 (2.08~2.18) mm in length and 1.86 (1.80~1.98) mm in breadth. The number of eggs averaged 72 (40~112) per an oviposition. The eggs of this species began to hatch about forty three hours after insemination and the total length of larvae was 4.23 mm mean. S form moving of larvae were not observed during larval development. The larvae reached at the heterotrophic stage about twenty-five days after hatching. It is estimated that the larvae was comming out from freshwater bivalve since that time in nature. A. majusculus was grew up to be adult stage enough which can be join to new production for three hundred days after hatching with over 67.8 mm in total length.

한국 고유종인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종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난 발생과 자어의 성장을 관찰하고 초기생활사 특성을 논의하였다. 수정란은 둥근 타원형으로 평균 장경이 2.12mm(2.08~2.18 mm), 단경이 1.86mm(1.80~1.98 mm)이며 담황색 난황을 가진 분리침성란이다. 개체 당 산란 수는 40~112개(평균 72개)였고 수정란은 수온 $18.0{\pm}1.0^{\circ}C$에서 수정 후 43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4.23mm이고 형태적으로 납자루속의 자어 특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어 시기의 S자 운동은 없었다. 부화 후 25일 경에 소화기관이 완성되고 외부 먹이를 먹을 수 있어 자연에서 조개로부터 부출하는 시기로 추정된다. 만 1년 후에는 재생산이 가능한 크기로 성장한다.

Keywords

References

  1. 金容億.朴洋成. 1985. 흰줄납줄개의 卵發生과 孵化仔漁. 한국수산학회지, 18: 586-593.
  2. 金容億.韓景鎬. 1990. 실험실에서 사육한 한국산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2: 159-168.
  3. 김익수.김치홍. 1989. 한국산 잉어과 어류 칼납자루(Acheilognathus limbata)와 묵납자루(A. signifer)의 초기발생과 분류 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학회지, 32: 22-33.
  4.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5. 김치홍. 1991. 한국산 납자루속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2pp.
  6. 김치홍.강언종.김종화. 2006.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 Acheilognathinae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8: 266-272.
  7. 김치홍.石鍋壽寬.김민경.김우진. 2012. 일본에 서식하는 큰 납지리의 난발생과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24: 101-109.
  8. 김치홍.이완옥.이종하.백재민. 2011. 고유종 칼납자루의 재생산 기초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3: 150-157.
  9. 백현민.송호복. 2005a.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Acheilognathinae)의 패 내 산란과 적응전략. 한국생태학회지, 28: 105-111.
  10. 백현민.송호복. 2005b.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Acheilognathinae)의 난 형태와 초기 생활사. 한국생태학회지, 28: 281-286.
  11. 宋鎬復.權伍吉. 1994. 衣岩湖에 棲息하는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ustae Mori)의 産卵및 發生特性에 關한 硏究. 한국육수학회지, 22: 51-70.
  12. 양 현. 2004.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와 임실납자루 A. somjinensis의 생태와 종 분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00pp.
  13. 鈴木伸洋.田祥麟. 1988d. 安城川産흰줄납줄개의 卵發生과 仔魚의 發育및 仔魚의 表皮上突起에 關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1: 1-15.
  14. 鈴木伸洋.田祥麟. 1989. 큰납지리의 卵發生과 仔魚의 發育및 仔魚의 表皮上突起. 한국어류학회지, 1: 73-82.
  15. 鈴木伸洋.田祥麟. 1990a. 熊川川水系産납자루의 個體發生. 한국어류학회지, 2: 77-87.
  16. 鈴木伸洋.田祥麟. 1990b. 가시납지리의 卵發生과 仔魚의 發育 및 仔魚의 表皮上突起. 한국어류학회지, 2: 169-181.
  17. 채병수. 2001.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 Cyprinidae)의 산란관의 신장. 한국어류학회지, 13: 111-116.
  18. 환경부. 2013.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14.07. 17] [법률 제11912호, 2013.07.16, 일부개정]
  19. Arai, R. 1988. Fish systematics and cladistics. In: Ueno, T. and M. Okiyama (eds.), Ichthyology Currents 1988. Tokyo, Asakurashoten, pp. 4-33.
  20. Banarescu, P. 1990. Zoogeography of fresh waters, vol. 1: General distribution and dispersal of freshwater animals. Aula-Velag. Wiesbaden, pp. 71-94.
  21. Kim, I.S. and H. Yang. 1998. Acheilognathus majusculus, a new bittreling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with revised key to species of the genus Acheilognathus of Korea. Korean J. Bio. Sci., 2: 27-31. https://doi.org/10.1080/12265071.1998.9647387
  22. Suzuki, N. and S.R. Jeon. 1987. Development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with notes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and paryngeal apparatus. Kor. J. Lim., 20: 229-241.
  23. Suzuki, N. and S.R. Jeon. 1988a. Development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with note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Kor. J. Lim., 21: 165-179.
  24. Suzuki, N. and S.R. Jeon. 1988b. Development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limbata (Cyprinidae) from Korea and Japan, with notes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and on the genetic implication in hybrid embryos. Kor. J. Lim., 21: 211-229.
  25. Suzuki, N. and S.R. Jeon. 1988c. Development of the bittering, Acheilognathus suigensis (Cyprinidae) from Korea, with note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Kor. J. Lim., 21: 231-242.
  26. Suzuki, N. and S.R. Jeon. 1991. Development of the bittering, Acanthorhodeus rhombeus (Cyprinidae), from Korea. J. Basic Sci., Sang Myung Women's University, 5: 53-62.
  27. Suzuki, N. and T. Hibia. 1984.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wo bitterings, Rhodeus atremius and R. suigensis (Cyprinidae). Japan. J. Ichthyol., 31: 287-196.
  28. Suzuki, N., N. Akiyama and T. Hibia. 1985. Development of the bitterling Rhodeus uyekii (Cyprinidae), with a note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Japanese J. Ichthyol., 32: 2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