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gg-larvae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7초

클로버씨스트선충과 사탕무씨스트선충 알과 유충에 대한 약제 반응 비교 (Comparative Responses of Sugar Beet Cys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and Clover Cyst Nematode, H. trifolii to Different Nematicides)

  • 정문기;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61-369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랭지 배추재배지에서 근래에 문제되고 있는 Heterodera속의 사탕무씨스트선충(H. schachtii)과 클로버씨스트선충(H. trifolii)에 대한 살선충 물질(Burkholderia rinojensis, fluazaindolizine, fluopyram, fosthiazate, hydrogen peroxide, imicyafos)들의 알과 유충에 대한 약제 반응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 물질에 따른 부화율 비교 결과 부화율은 처리 약제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fluopyram, fosthiazate, imicyafos 처리에서는 두 선충 모두 99%의 매우 높은 부화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선충간 약효차이는 hydrogen peroxide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부화유충에 대한 처리별 살선충 활성은 부화 억제효과 실험에서 높은 부화억제 효과를 보였던 fluazaindolizine 처리에서만 두 선충 모두에 대하여 30%미만의 낮은 살선충 효과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90%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처리 24시간 후와 48시간 후 모든 실험물질에 대한 2령충들의 약제반응은 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내 실험에서 동일한 기주를 가해하는 두 씨스트선충들의 살선충제들에 대한 약제 반응이 동일하게 나타나 두 선충 혼생지에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안도에 서식하는 해마(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의 서식지 특성 및 산란생태 (Habitat Characteristics and Spawning Ecology of 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 Inhabiting the Soando (Island))

  • 조현근;안중관;김형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5-626
    • /
    • 2022
  •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도 일대에서 해마의 서식지 특성 및 산란생태를 밝히기 위해 조사하였다. 해마가 서식하는 조사지점은 주로 거머리말 개체군의 초지가 형성되었다. 거머리말 생육밀도와 생물량(Mean±SE)은 각각 춘계(5월)에 136±14.4shoots/m2, 489.8g DW/m2로 가장 높았고, 생육밀도는 추계(10월)에 93±7.0shoots/m2, 생물량은 동계(2월)에 122.3g DW/m2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기간 동안 다이빙과 족대 조사를 통해 293개체의 해마가 확인되었고 해마의 전장은 10.1~87.0mm의 범위였다. 수정란 또는 자어를 보육중인 수컷 개체는 2015년, 2016년 모두 5월부터 출현하여 10월까지 채집되었고, 미성어의 출현은 2015년에는 7월, 2016년에는 6월부터 확인되었다. 산란기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마의 산란시기는 4~10월까지로 추정되었다. 수컷의 보육낭에서 확인된 수정난수 또는 자어수는 38.3±14.8(20~76)개였고 암컷에서 확인된 포란수는 47.2±8.6(31~59)개였다. 해마의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1:1.7로서 수컷의 출현비율이 우세하였다.

피조개의 먹이와 성장 (THE FOOD AND GROWTH OF THE LARVAE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 SCHRENCK)

  • 유성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7-154
    • /
    • 1969
  • 1968년 8월초순부터 1968년 9월중순까지의 사이에 일본 굴연구소에서 피조개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밝혔다. 1) 피조개의 알의 크기는 $54.9(53.8\~57.0)\mu $ 내외이고, 수정후 8일경까지 즉 유생의 크기는 각장 $110.8\mu$ 각고 $83.9\mu$ 각폭 $58.2\mu$ 내외가 될 때까지는 먹이를 주지 않더라도 생장하지만, 수정후 2일 즉 D상자패로 되면 곧 투여하는 것이 좋다. 2) 유생이 먹는 먹이의 수는 유생의 크기에 따라 많은 차가 있으나 대체로 각정팽출기인 변태기전후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이것을 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Y=0.0025161X^{2.76459}$ 3) 먹이를 원심분리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사용했을때 피조개 유생의 성장이 다른데 각회귀직선의 경사를 검정 한 결과는 유생의 크기가 작은 경우 $99\%$ 신뢰성으로 유의의 차가 있고, 유생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95\%$ 신뢰성으로서 유의의 차가 있다. 즉 원심분리한 먹이를 줬을 때가 그렇지 않은 먹이를 줬을 때보다 언제나 유생의 성장이 좋지만 이차는 유생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 더욱 현저하다. 4) 피조개의 유생이 부착생활로 들어가는 것은 수정후 28일경인데 이때 유생의 크기는 각장 $261.7\~289.6\mu$, 각고 $191.2\~221.7\mu$, 각폭 $147.6\~170.8\mu$ 내외이다. 5) 피조개 유생의 성장식은 각장 $94.3\mu$부터 $133.9\mu$까지는 Y=85.22857+3.35000X 각장 $141.6\mu$부터 $269.3\mu$까지는 Y=10.83036X-36.05357 각장 $296.8\mu$부터 $373.2\mu$까지는 Y=19.10000X-279.30000 각고 $72.7\mu$부터 $98.7\mu$까지는 Y=67.l1429+2.15714X 각고 $108.4\mu$부터 $206.4\mu$까지는 Y=8.31607X-27.45357 각고 $228.6\mu$부터 $282.1\mu$까지는 Y=173.46700+13.37500X 각폭 $45.3\mu$부터 $77.8\mu$까지는 Y=38.08570+2.73570X 각폭 $87.4\mu$부터 $157.7\mu$까지는 Y=5.77320X-5.99640 각폭 $175.4\mu$부터 $214.0\mu$ 까지는 Y=9.65000X-114.13300등과 같은 회귀직선 또는 각장 $94.3\mu$부터 $373.2\mu$까지는 Y=72.45 $e^{0.04697x}$ 각고 $72.7\mu$부터 $282.1\mu$까지는 Y=54,96 $e^{0.04720x}$ 각폭 $45.3\mu$부터 $214.0\mu$까지는 Y=39.82 $e^{0.04927x}$ 등과 같은 지수곡선으로서도 표시할 수 있다. 6) 상대성장식은 각장 $94.3\mu$ 각고 $72.7\mu$(수정후 2일)부터 각장 $133.9\mu$ 각고 $98.7\mu$(수정후 14일)까지는 Y=12.87780 +0.63817X 각장 $141.6\mu$, 각고 $108.4\mu$(수정후 1난일부터 각장 $269.3\mu$, 각고 $206.4\mu$(수정후 28일)까지는 Y= 0.90220+0.76450X 각장 $296.3\mu$ 각고 $228.6\mu$(수정후 30일)부터 각장 $373.2\mu$, 각고 $282.1\mu$(수정후 34일)까지는 Y= 25.02630+0.69156였고, 한편 각장 $94.3\mu$, 각폭 $45.3\mu$(수정후 2일)부터 곡장 $133.9\mu$, 각폭 $77.8\mu$(수정후 14일)까지는 Y= 0.81373X-31.18914 각장 $141.6\mu$, 곡폭 $87.4\mu$(수정후 16일)부터 각장 $269.3\mu$ 각폭 $157.7\mu$(수정후 28일)까지는 Y= 13.37549+0.53230X 각장 $296.8\mu$, 각폭 $175.4\mu$(수정후 30일)부터 각장 $373.2\mu$ 각폭 $214.0\mu$(수정후 34일)까지는 Y=30.24328+0.49545X 등과 같은 회귀직선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 PDF

전라북도에서 곤충 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의 발생 (Occurrence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 in Jeollabuk-do, Korea)

  • 최선우;김주희;서경원;문영훈;이공준;이창규;김재수;김진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95-201
    • /
    • 2017
  •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가 혹명나방,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과 진딧물인 미분류 1종을 감염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전라북도 진안, 김제, 익산에서 수집되었고, 6월과 9월에 관찰이 가능하였다. 이 균에 감염된 혹명나방은 진안에서 수집되었고, 감염율이 46%에 달하였다. 감염된 곤충 충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를 이용하여 인공배양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sim}28^{\circ}C$가 인공배양을 위한 최적온도로 판단되며, SDAY보다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에서 발육이 보다 양호하였다. 이 곰팡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함을 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 백병원 환자의 제2차 장내 기생충 검사 성적(1984-1992) (Second report on intestinal parasites among the patients of Seoul Paik Hospital (1984-1992))

  • 이상금;신보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27-34
    • /
    • 1994
  • 지난 1984년의 제1차 보고에 이어 1984년부터 1992년까지 9년간 서울 백병원 외래 및 입원환자 중 기생충검사를 의뢰한 52.552명에 대하여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 및 직접 도말법으로 대변검사를 시행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총 윤충류(13종) 충란 및 원충류(5종) 포낭 양성률은 각각 평균 6.5% 및 2.5%이었다. 윤충류 종별 양성률(양성자수)은 간흡충 3.2% (1.667). 편충 2.1%(1 089) 요꼬가와흡충 1 2%(613), 회충 0.2%(100) 동양모양선충 0.06%(34). 유무구조충 0.05%(28). 왜소조충 0.03%(18). 구충 0.03%(17). 극구흡충류 0.03%(15), 폐흠충 0.02%(12). 요충 0.02%(10) 분선충 0.01%(6), 광절열두조충 0.004% (2)이었다. 원충 별로는 대장아메바 1.1%(588). 왜소아메바 0.8%(402), 람블편모충 0.3% (173), 이질아메바 0.3%(164). 장트리코모나스 0.004%(2)로 나타났다. 조사년도별로 볼 때 회 충 및 편충 등 토양매개성 윤충은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간흡충을 비롯한 패류 매개성 윤충과 장내 원충류는 양성률의 감소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Biological Parameters of Rhipicephalus (Boophilus) microplus (Acari: Ixodidae) Fed on Rabbits, Sheep, and Cattle

  • Ma, Miling;Chen, Ze;Liu, Aihong;Ren, Qiaoyun;Liu, Junlong;Liu, Zhijie;Li, Youquan;Yin, Hong;Guan, Guiquan;Luo, Jianx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3호
    • /
    • pp.301-305
    • /
    • 2016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hosts on feeding performance of Rhipicephalus (Boophilus) microplus, we used 3 mammalian species as hosts, cattle (Qinchuan), sheep (Tan), and rabbits (Japanese white rabbit) for infesting ticks. Five hundreds of R. microplus larvae were exposed to each animal (3 animals/host species). Tick recoveries were 11.0%, 0.47%, and 5.5% from cattle, sheep, and rabbits, respectively. The averages of tick feeding perio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cattle, sheep, and rabbits, 28.8, 25.3, and 26.7 days, respectively. The average weights of individual engorged female from cattle, sheep, and rabbits were 312.5, 219.1, and 130.2 mg, respectively and those of egg mass weights each to 85.0, 96.6, and 17.8 mg. The highest egg hatching rate was in the ticks from cattle (96.0%), followed by those from rabbits (83.0%) and sheep (19.2%). These data suggest that rabbits could be as an alternative host to cultivate R. microplus for evaluating vaccines and chemical and biological medicines against the tick in the laboratory, although the biological parameters of ticks were less than those from cattle.

Test of Insecticidal Efficacy of Some Commercial Natural Products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Homoptera : Aleyrodidae), Bemisia tabaci(Homoptera : Aleyrodidae), and Spodoptera litura(Lepidoptera : Noctuidae)

  • Jeong, Hyung-Uk;Kim, Man-Il;Chang, Sung-Kwon;Oh, Hyung-Keu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2호
    • /
    • pp.105-112
    • /
    • 2009
  •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and the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are serious insect pests that have a wide host range including cucumber, tomato, and pepper. In this study, we tested larvicidal efficacy of several on-the-marke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to select the effective products after the target pests were stabilized in indoor rearing condition.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two whiteflie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 vaporariorum, egg duration is 9.6 days and nymph is 18.9 days, and in the case of B. tabaci, egg duration is 7.4 days and nymph is 15.2 days under $25^{\circ}C$ with relative humidity (RH) of $60{\pm}5%$ and a photoperiod of 16 L:8D. The total period of T. vaporariorum was 5 days longer than B. tabaci. Among 22 EFAMs six products showed more than 60% of insecticide efficacy against T. vaporariorum BTV B, BTV D, BTV G, BTV L, BTV M, and BTV S. On the other hand, seven EFAM products showed over 60% of insecticide efficacy against B. tabaci BTV D, BTV G, BTV K, BTV L, BTV M, BTV N, and BTV U. In the case of Spodptera litura previously, 16 EFAMs were tested against $2^{nd}$ instar S. litura, and six EFAMs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90% efficacy. Test of these six EFAMs against entire larval stag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lthough some of these products showed still more than 90% of insecticidal efficacy against up to $3^{rd}$ instar larvae, the efficacy of these EFAMs sharply decreased as ages increase, resulting in less than 60% of efficacy of the products at most. This result indicates the difficulty to control S. litura with the on-the-market EFAMs alone under economic injury level. Collectively, it is required to find more EFAMs, and find alternative method, and combined way of controlling to control those insect pests tested in this study.

줄점팔랑나비 (Parnara guttata)에 대한 몇 가지 살충제의 활성과 아치사농도에 의한 영향 (Activity and sublethal effects of several insecticides to the rice skipper, Parnara guttata Bremer et Grey (Lepidoptera : Hesperiidae))

  • 오홍규;이영수;이상계;박형만;최용석;류갑희;장영덕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7-263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살충제 12종에 대한 줄점팔랑나비 (Parnara guttata)의 발육 단계별 약제감수성 및 아치사농도가 암컷성충의 수명, 산란전기, 산란수, 그리고 차세대의 부화율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fenitrothion과 fenthion, cartap hyochloride, imidacloprid, ethofenprox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에 사용한 모든 약제는 $1{\sim}2$령 유충에 대해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령 유충에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ethofenprox, fipronil, methoxyfenozide, tebufenozide and Bt. var. kurstaki였다. $3{\sim}4$령기에 $LC_{40}$ 수준의 약제처리 후 생존한 유충으로부터 우화한 성충과 그 차세대에 대한 영향은 대부분의 약제에서 관찰되었다. Fenthion, tebufenozide, cartap hydrochloride, methoxyfenozide, ethofenprox, imidacloprid, apronil은 암컷성충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PMC, imidacloprid, ethofenprox, fipronil, methoxyfenozide는 암컷성충의 산란전기를 지연시키고 산란수를 감소시켰는데, ethofenprox가 처리된 경우는 전혀 산란을 하지 않았다. 알의 부화율은 fenitrothion을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감소하였으며, 그 중 imidacloprid와 fipronil의 경우 알은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또한, IGR제인 methoxyfenozide와 tebufenozide는 차세대 유충의 발육에도 영향을 주었다.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Cyprinidae))

  • 고명훈;김우중;박상용;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8-205
    • /
    • 2011
  • 멸종위기어류 돌상어의 생물학적 특성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초기생활사를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홍천군에서 성숙한 개체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성숙한 암컷과 수컷은 Ovaprim을 주사한 후 건식법으호 인공 수정시켰다. 성숙란은 약한 접착성을 띤 투명한 회색난이었으며, 난경은 0.89${\pm}$0.04mm였다. 수온 23$^{\circ}C$에서 수정 후 107시간 만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직후 전기자어 크기는 전장 4.6${\pm}$0.16mm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6.1${\pm}$0.20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후기자어로, 부화 후 15일에는 전장 8.6${\pm}$0.67mm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 후에 31.5${\pm}$3.32mm로 체측반문과 외부형태가 성어와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전자빔 조사가 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점박이응애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Tetranychus urticae)

  • 문상래;손봉기;양정오;우종석;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9-137
    • /
    • 2010
  • 전자빔 조사(30, 50, 70, 100 Gy)가 주요 농업해충(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 알의 부화는 조사량이 많아질수록 억제되었으며, 특히 담배가루이와 점박이응애 알은 10 0Gy 조사량에서 부화가 100%억제되었다. 그러나 약충/유충, 번데기,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의 알에 조사했을 때 부화유충의 우화억제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70 Gy 조사량에서 담배가루이 우화성충은 산란을 하지 않았고, 100 Gy 조사량에서 배추좀나방 우화성충의 산란수가 감소하였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 약충/유충에 조사했을 때 70과 100 Gy 조사량에서 부화유충에 미치는 영향과 비슷하였다. 배추좀나방 번데기에 조사했을 때 100 Gy에서 산란수가 감소하였고, 산란한 알이 100% 부화하지 못했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의 성충에 조사했을 때 70, 100 Gy에서 산란수/산자수가 감소하였으며, 산란한 알의 부화억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담배가루이 알은 부화가 100%억제되었다. 그러나, 4종의 주요 농업해충의 모든 발육태에 조사하였을 때 성충수명에는 영향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