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white powd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different enzymatic hydrolysates from desalted duck egg white

  • Thammasena, Rommanee;Liu, Deng 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9호
    • /
    • pp.1487-1496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optimal preparation of hydrolysates of desalted duck egg white powder (DDEWP) by the three different proteases and to investigate thei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Methods: DDEWP was hydrolyzed by three proteases, including pepsin (PEP), Bacillus spp. (BA) and natokinase (NAT) with three different enzyme concentrations (0.1%, 0.3%, and 0.5%), individually. The important key hydrolysis parameters such as hydrolysis degree, yiel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hydrolysis (DH) of all treatm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hydrolysis time and protease concentrations.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hydrolysates were affected by type and concentration of protease as well as hydrolysis time. Hydrolysis of PEP significantly (p<0.05) obtained the highest yield of hydrolysates, however, both of BA and NAT showed substantially lower DH values and still did not exceed 5% by the end of hydrolysis. Among the different hydrolysates, PE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BA and NAT. All DDEWP hydrolysates from PEP had low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37%) tha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AT (>37% to 92%) and BA (30% to 79%). Besides, DDEWP hydrolysates of PEP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reducing power than BA and NAT. In antimicrobial activitie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Pseudomonas aeruginosa were not effectively inhibited by any DDEWP hydrolysates of PEP except for Staphylococcus aureus. Especially, the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only was displayed in DDEWP hydrolysates of PEP 0.1%. Conclusion: DDEWP hydrolysates from PEP demonstrated significantly better DH, yiel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furthermore, had excellent inhibitory on S. aureus due to large clear zone and moderated inhibitory in bactericidal inhibition.

타조알 껍질의 성분특성 및 젖산칼슘 제초를 위한 최적 회화조건 검토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Ostrich Egg Shell and Optimal Ashing Conditions for Preparation of Calcium Lactate)

  • 고민경;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6-24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타조 사육농장으로부터 폐기물로 나오는 타조알 껍질을 부가가치가 높은 칼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타조알 껍질의 성분특성 및 젖산칼슘 제조를 위한 최적 회화 조건을 검토하였다. 타조알 껍질(ostrich egg shell with mem-brace, OESM)의 평균 무게는 255.17 g, 둘레는 39.50 cm, 길이는 15.20 cm 이었으며, 피막이 제거된 타조알 껍질(ostrich egg shell without membrane, OES)의 수분함량은 0.35%, 주요 무기질 성분은 Ca으로 전체의 40.98%를 차지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2.43%, 아미노산 함량은 235.0 mg/100g을 나타내었다. OES로부터 회화분을 제조시, 회화 최적시간은 $700^{\circ}C$에서는 12시간, 80$0^{\circ}C$에서 는 80분, 90$0^{\circ}C$에서는 15분이었으며, 이때 수율은 54.5~54.6%, $L^{*}$ 값은 97.26~97.51, $a^{*}$ 값은 -0.30~-0.34, $b^{*}$ 값은 0.63~0.98 범주를 나타내었다. OES의 입자를 0.841 mm이상, 0.425~0.250mm사이, 0.150 mm 이하의 크기로 구분하여 90$0^{\circ}C$에서 15분간 회화한 후 그 수율(%)을 비교한 결과, 입자 크지에 따른 회화분의 수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꽁치 어육을 이용한 너겟의 풍미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ory Properties of the Saury (Cololabis saira) Fishmeat Nuggets)

  • 김태순;김기륜;김현아;이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0-77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overall preference of Saury fishmeat nuggets. In order to remove off-flavor of Saury and to improve the sensory properties of Saury fishmeat nugget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egetables (onion, 0-20%), different types of spices (ginger powder, white pepper powder, garlic powder) and different types of vegetables (onion & hot pepper, onion & pimento, mushroom & hot pepper, and mushroom & pimento) were added and the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Different types of herbs (Anthemis nobillis, Rosemarinus offcinalis L) and oriental herb (Angelica gigas Nakai,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d) extracts were included as well to preserve the antioxidants in the nuggets after reheating. The main ingredients included saury mince, mild pizza cheese, hydrated textured soy protein, and egg white powder. The samples were molded (dia. 4.5 cm, thickness 1.5 cm, 20 g), lightly battered and fried for 2 min (2 time) at $160^{\circ}C$. The samples were then frozen, reheated ($150^{\circ}C$, 20 min) and subjected to a sensory evalu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Saury nuggets made with a vegetable concentration of 15% had the highest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V5). In addition, Saury nuggets made with 1 g of ginger powder and garlic powder scored the highest in the preference test (S2). Saury nuggets made with onion and pepper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preference test relative to all the other tested vegetables (SV1). Finally, in terms of the herb and oriental herb extracts, the nuggets made with the condensed extracts at a 1/20 ratio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d (AS) scored the highest in the preference test, since AS had the lowest off-flavor taste.

난백분말과 카제인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 고영태;이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37-34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만든 기질을 젖산균(Lactobacillus)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난백분말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 (관능성, 휘발성 향기 성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엿다. L. acidophilus로 24시간 발효된 시료의 경우 산도는 우유 시료(대조군)에 비하여 난백분말 1-3% 시료는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난백분말 시료 가운데는 난백분말의 농도를 1%에서 3%로 증가시킴에 따라 산생성이 증가하였다. 새균구는 우유 시료가 $3.1{\times}10^9/ml$인데 비하여 난백분말 시료는 ${8.3\times}10^7/-36{\times}10^8/ml$으로 현저하게 낮았으며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의 단백분말이 첨가 된 시료에서 낮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L. acidophilus로 16.5시간 발효시켜 만든 호상요구르트 관능성을 보면, 전반적으로 기호도는 우유 요쿠르트 (표준시료)보다 난백분말 요구르트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p<0.05) 난백분말 요구르트 가운데는 2%와 3% 시료는 표준시료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1% 시료는 현저하게 저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L. acidophilus(KCTC 2182)는 시료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발효 과정에서 acetone, ethanol, diacetyl, acetoin을 생성하였다.

  • PDF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9가지 단백질 사료원의 단백질 및 인 소화율 측정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Apparent Protein and Phosphorus Digestibilities of Nine Different Dietary Protein Sources and Their Effects on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유광열;최세민;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4-2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양식되고 있는 넙치에 있어서 단백질 사료원들의 단백질과 인소화율을 측정을 통해 저오염 사료 개발을 위한 사료원을 선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9가지 동 식물성 단백질원들은 $BAIFA-M^{TM}$(어분대체품), 어분(White fish meal, WFM), 넙치근육분(Flounder muscle powder, FMP), 오징어간분(Squid liver powder, SLP), 수지박(Leather meal, LM), 대두박(Soybean meal, SM),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CGM), 가금부산물(Poultry by-product PBP), 그리고 난단백질(Egg albumin) 이였다. 실험결과, 각 사료원의 단백질 소화율은 FMP, 94%; SLP, 92%; WFM, 86%; SM, 82%; CGM, 75%; LM, 72%; PBP, 72%; $BAIFA-M^{TM}$, 71%; EA, 30%로 나타났다. 각 사료원의 인 소화율은 FMP, 77%; SLP, 72%; $BAIFA-M^{TM}$, 65%; LM, 55%; WFM, 54%; PBP, 50%; CGM, 20%; EA, 20%; SM, 17%로 나타났다.

백색 산란계의 산란성적에 미치는 성형 목탄가루, 목초액 및 양조식초 첨가사료의 영향 (Effect of Diets Containing Ground Charcoal Powder, Wood Vinegar and Fermented Acetic Acid on the Egg Production in White Leghorn Strain Layer)

  • 최윤석;고태송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42
    • /
    • 1991
  • 본 연구는 성형목탄가룬 목초액 및 양조식초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을 주체로 한 대조(기초)사료(CON) 이외에, 대조사료의 탈지미강 대신으로 0.5%의 성형목탄가루를 대치한 사료(CPD), 성형목탄가루 사료에 목초액을 첨가한 사료(PWV) 및 성형목탄가루 사료에 양조식초를 첨가한 사료(PFA)이다 2회에 걸쳐서 산란이 제어된 113주령의 백색 레그흔 계통의 산란계에 대조사료를 급여하여 1주간 예비사육 한 뒤에, 12주 동안 상기 실험사료를 각각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실험사육기간을 통해서, 대조, CPD와 PWV사료의 섭취량은 비슷하였으나, PFA사료의 섭취량은 실험사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난중은 대조에 비해서 실험사료를 급여하면 일반적으로 무거웠고, CPD를 급여한 것에서 대조사료에 비해서 유의하게 (P<0.05) 무거웠다. 산란율은 대조, CPD 및 PWV사료를 급여하면 각각 75.9, 75.0 및 75.9%로 유사하였으나, PFA를 급여하면 유의하게 (P<0.05) 낮아졌다. 그러나 산란일량은 대조, CPD및 PWV사료를 급여하면 각각 48.6, 49.9 및 49.5g이 되어 대조 에 비해서 CPD 및 PWV를 급여한 것에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이에 비해 PFA를 증여한 것에서는 유의하게 (P<0.05) 낮아졌다. 사료효율(딴/사로)은 대조와 PWV사료의 0.480 및 0.478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0.491로 높아지는 경향이, PFA에서 0.442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실험사료 사이에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연 파난율은 대조사료에 비해서 CPD와 PWV를 급여하면 각각 30% 및 70%로 감소하였으나, PFA를 급여한 것에서는 대조사료의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난중 콜레스테롤함량에는 실험사료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일당 난단백질 생합성량은 대조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CPD사료를 급여하면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고, 난각의 두께 및 난각비율이 CPD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성적은 성형목탄가루는 난생산성에 좋은 영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사료에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의 첨가 급여가 계란의 리그난 함량에 미치는 영향 (Production of Lignan-Rich Eggs as Functional Food by Supplementing Schisandra chinensis By-Product in Laying Hens)

  • 강혜미;박은지;박순영;황대연;이종춘;김명후;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7
    • /
    • 2024
  • 산란계는 식단의 건강 증진 성분을 계란에 '생체 축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 가공 부산물의 분말을 사료에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가 리그난이 풍부한 기능성 계란의 생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황옥수수, 쌀겨, 대두박, 어분, 육골분, 가금류분, 프리믹스, CaCO3 등이 첨가된 기본 사료에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첨가하여 제형화하였다. 실험의 설계는 대조구와 오미자 가공부산물을 1%, 3%, 5% 및 7% 첨가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였다. 계란의 생산성, 평균 무게, 난황과 난백의 리그난 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계란 생산과 평균 계란 무게는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을 사료에 5% 이하로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7%의 고농도로 첨가하여 사료를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처리 3주후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계란내의 리그난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한 결과,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난황의 gomisin N 과 schisandrin C의 함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p<0.05), 난백에서는 gomisin N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chisandrin C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사료여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할 경우에는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리그난이 함유된 계란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5% 이하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다면 오미자의 주요 생리활성인 gomisin N 와 schisandrin C가 풍부한 기능성 계란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농 산란계에 Chlorella의 급여가 계란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resh Water Algae, Chlorella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and Fatty Acid in Organic Laying Hens)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변영웅;박종호;한은정;최근형;고병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93-408
    • /
    • 2018
  • 본 연구는 클로렐라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 산란계 사료의 수분함량은 약 12.8%, 회분함량은 10.8%, 조단백질함량은 18.0%, 조지방 함량은 2.5%이었다. 사료에 첨가한 클로렐라분말의 수분함량은 약 1.54%, 회분함량은 6.53%, 조단백질은 54.56%, 조지방 함량은 2.45%이었다. 계란 난각의 색깔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해졌다. 파각강도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하였다. 계란 난각의 두께도 클로렐라를 급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두꺼웠다. 클로렐라 급여한 계란 난백의 높이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계란 난백의 품질 기준이 되는 호유닛은 클로렐라를 급여한지 10일 후, 92.0 HU로 대조구(84.8 H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 난황의 황색도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한 황색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의 무게는 급여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7.5%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급여 10일과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각각 11.9%, 10.7% 증가하였다. 클로렐라 급여에 따른 계란 노른자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바, 난황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alpha}$-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Palmitoleic acid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보다 대조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클로렐라 생균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급여할 경우 계란의 품질 향상과 난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Electrochemical Oxygen Evolution Reaction on NixFe3-xO4 (0 ≤ x ≤ 1.0) in Alkaline Medium at 25℃

  • Pankaj, Chauhan;Basant, Lal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497-503
    • /
    • 2022
  • Spinel ferrites (NixFe3-xO4; x = 0.25, 0.5, 0.75 and 1.0) have been prepared at 550℃ by egg white auto-combustion route using egg white at 550℃ and characterized by physicochemical (TGA, IR, XRD, and SEM) and electrochemical (CV and Tafel polarization) techniques. The presence of characteristic vibration peaks in FT-IR and reflection planes in XRD spectra confirmed the formation of spinel ferrites. The prepared oxides were transformed into oxide film on glassy carbon electrodes by coating oxide powder ink using the nafion solution and investigated their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for OER in an alkaline solution. The cyclic voltammograms of the oxide electrode did not show any redox peaks in oxygen overpotential regions. The iR-free Tafel polarization curves exhibited two Tafel slopes (b1 = 59-90 mV decade-1 and b2 = 92-124 mV decade-1) in lower and higher over potential regions, respectively. Ni-substitution in oxide matrix significantly improved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Based on the current density for OER, the 0.75 mol Ni-substituted oxide electrode was found to be the most active electrode among the prepared oxides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apparent current density (~9 mA cm-2 at 0.85 V) and lowest Tafel slope (59 mV decade-1). The OER on oxide electrodes occurred via the formation of chemisorbed intermediate on the active sites of the oxide electrode and follow the second-order mechanism.

개 파보바이러스성 장염에 대한 난황항체의 예방 및 치료 효과 (Effect of chicken egg yolk antibody on canine parvoviral enteritis in pups)

  • 오경은;정석영;김보미;장상호;이남형;조영재;김두;최정훈;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67-73
    • /
    • 2014
  •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egg yolk antibody, immunoglobulin Y (IgY), against canine parvovirus (CPV) was evaluated in 25 pups orally challenged with CPV-2a. Oral administration of IgY using powder, paste and coated paste delivery systems was compared. Each type of IgY was administered orally for 17 days from 3 days before challenge. The group of pups administered coated IgY showed mild symptoms such as a moderate decrease in total white blood cell count, no depression, vomiting and diarrhea when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overall clinical score of the group of pups administered coated Ig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hallenge control group. However, mortality did not differ among groups because not all pups received symptomatic treatment. These results implied that oral treatment of coated IgY could improve therapeutic effects against CPV challenge if pups received symptomatic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