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d, Naila;Naz, Shabana;Irfan, Muhammad;Khan, Rifat Ullah;Rehman, Zia ur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제38권3호
/
pp.468-475
/
2018
The present trial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sea buckthorn seed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of laying birds. A total of 160 Rhode Island Red${\times}$Fayoumi layers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of 40 birds each, which was further replicated four times with 10 hens per replicate. Group one was kept as a control, while other three groups were supplemented with sea buckthorn seed powder at a dose rate of 1 (T1), 2 (T2) and 3 (T3) g/kg of feed. The results showed that egg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3 at the end of the study. Egg weight was significantly (p<0.05) high in T2 and T3 during week 39 and 40. Egg yolk weight was significantly (p<0.05) in T3 compared to the control. Significantly (p<0.01) lower egg cholesterol was recorded in T2 and T3.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concluded that laying hens supplemented with sea buckthorn at the rate of 2 and 3 g/kg improved the egg quality parameters and egg cholestero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ue-shelled eggs (BE) and conventional eggs (CE). Proximate composition, quality, pH value, shell color, collagen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cholesterol,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ioxidation activity were determined. The proximate composition, general qualities, and pH values of CE and B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in moisture composition, weight, and shell thickness. Moisture content and weight of B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E. However, shell thickness and weight of BE were higher than those of CE (p<0.05). Lightness of B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 (85.20 vs. 58.80),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of BE were lower than those of CE ($a^*$: -4.75 vs. 14.20; $b*$: 10.45 vs. 30.63). The fatty acid [C18:1n7 (cis-vaccenic acid) and C18:3n6 (gamma-linolenic acid)] contents of B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E.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BE and CE were simila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 (40.78 vs. 35.35). Interestingly,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whole egg and egg yolk in BE (19.27 and 36.0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hole egg and egg yolk in CE (13.95 and 32.46). This result indicated that BE could potentially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specific compounds that affect functional activity.
본 연구는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삼 부정근을 배양하고 폐기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및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19주령 로만 브라운 산란계 420수를 공시하여 산란율 $5\%$ 시기부터 8주 동안 사양시험을 시행하였다. 산삼 배양액은 음수로 급여하였으며, 0, 0.4, 0.8, 1.6, $3.2\%$ 수준으로 5개 처리구를 두었고,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체중을 비슷하게 배치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로 모든 처리구의 영양소 함량은 CP $16\%$, ME 2,800kcal/kg 수준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산란율과 산란량은 산삼배양액을 $1.6\%$ 수준까지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3.2\%$ 급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3.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난중과 사료섭취량은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난각 강도, 난백고, 하우유닛 및 난황 색도는 처리구 상호간 통계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산삼 배양액 급여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한편,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시험의 결과, 산삼배양액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황내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사료내 녹차 가공부산물을 첨가하여 난 생산성과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과 녹차 부산물의 최적 첨가수준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공시동물은 갈색 테트란 산란계 22주령 총 96수를 이용하였다. 녹차 부산물을 첨가를 각각 0%, 2%, 4% 및 6% 수준으로 4처리 4반복 반복당 6수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사료급여와 물은 자유 채식토록 하였고 나머지는 일반 관행에 따랐다. 실험 결과로 산란율은 4% 첨가구와 6% 첨가구가 각각 90.37%와 86.87%로 대조구 79.6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난중, 산란량 및 사료섭취량은 2% 첨가구가 59.68, 45.37 및 117.13 g으로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5). 난각의 두께는 대조구가 397.50$\mu\textrm{m}$로 가장 두꺼웠지만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P>0.05). 4주와 8주때 측정한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은 녹차 가공부산물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계란의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linolen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 (DHA)가 대조구보다 녹차 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 of rubber seed oil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s during a 16-week feeding trial period. Methods: Forty-eight 25-week-old laying hens of Hy-Line Brow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comprised four replicates and each replicate had four birds. Rubber seed oil was incorporated into a corn-soybean meal basal diet by 3.5% (group I), 4.5% (group II), or 0 (control group) and equivalent nutrition was supplied for the test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The performance related values were determined using standard or well established method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oduction performance, the egg quality, the composi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the content of cholesterol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yolk within the three groups. Interestingly, both test groups achieved a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of linoleic acid, α-linole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and a significantly lower content of arachidonic acid (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 the increased level of dietary rubber seed oil,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in the content of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n-3 PUFA and total PUFA, but a declining trend in the n-6/n-3 ratio.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ubber seed oil supplemented diet effectively improved the total PUFA content in eggs without impairing the layers' production performance and the egg quality.
Turgut, L.;Hayirl, Armagan;Celebi, S.;Yoruk, M.A.;Gul, M.;Karaoglu, M.;Macit, M.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제19권8호
/
pp.1179-1189
/
2006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l vitamin D on laying performance,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of hens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fat sources and levels. Lohman strains (n = 480) were assigned to one of 10 diets: basal diet (BD), BD plus 2.5 and 5.0% sunflower oil (SO) or tallow (T) at vitamin D provided $1{\times}$ and $3{\times}$ of the current recommendation. The experiment lasted from week 30 to 44 of age. Each diet was tested in 12 replicate cages of 4 hens. Production, metabolism, and egg quality data were subjected to three-way ANOVA. Both fats decreased feed intake (FI) as compared to BD. Increasing SO and T levels linearly decreased and quadratically increased FI, respectively. The dietary factors did not affect egg production (EP) and egg weight. Vitamin D supplementation increased and decreased EP when diets contained SO and T, respectively. Feed conversion efficiency (FCE) for hens fed SO was lower than for hens fed T. However, increasing T level improved FCE, whereas increasing SO level worsened FCR. Vitamin D supplementation increased serum vitamin D and glucose concentrations. Vitamin D supplementation also caused a decrease and an increase in serum vitamin D concentration when diets contained SO and T, respectively. Serum glucose concentration for hens fed SO was lower than hens fed T. Increasing fat level linearly increased serum triglyceride and VLDL concentrations, regardless of the fat type. Increasing SO level linearly decrease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Vitamin D supplementation did not alter lipid metabolites. The dietary factors did not affect serum total protein, Ca, and P concentrations. As compared with BD, feeding SO decreased dry tibia and ash weights more than feeding T. Vitamin D supplementation tended to increase dry tibia weight and decrease tibia ash weight. Eggshell strength and thickness, yolk and albumen indexes, and Haugh unit were not responsive to the dietary factors. Eggshell strength quadratic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 level. Yolk color for hens fed SO was lower than for hens fed T. The dietary factors did not affect most of yolk fatty acids. Increasing SO level quadratically decreased yolk $C_{18:2}$ concentration. Vitamin D supplementation increased and decreased yolk $C_{18:2}$ concentration when diets contained SO and T, respectively. In conclusion, increasing fat level improved laying performance without altering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Vitamin D supplementation had minor alteration effects on laying performance,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in response to fat feed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스트레스하에서 한방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1주령 ISA brown 갈색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한방부산물을 1.0% 첨가한 구(KMHR1.0; 기초사료+1.0% 한방부산물), 기초사료에 한방부산물을 2.0% 첨가한 구(KMHR2.0; 기초사료+2.0% 한방부산물)로 3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산란율에 있어 KMHR1.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quadratic effect, p<0.01). 산란계 사료내 한방부산물을 첨가할 경우 난중 및 난각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0.05). 난각두께는 둔단부, 예단부 그리고 중앙부에서 한방부산물 첨가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난황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한방부산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또한, 난황계수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콜레스테롤과 LDL+VLDL-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한방부산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높아지는 경 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에 있어 1.0% 수준의 한방부산물 첨가는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pumpkin (Cucurbita moschata) seed meal (PSM) on laying hens' performance, quality, fatty acids, cholesterol, antioxidant compounds and shelf life of eggs. Methods: Eighty Tetra SL laying hens, 50-week-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having 10 replicates with 4 birds in each. The control (CON) treatment was fed with basal diet, while experimental treatment was fed a diet with 9% PSM, for a 6 week period. Results: Dietary PSM significantly decreased average daily feed intake (p<0.05),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other performance parameters. The PSM, enriched the eggs with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specially α linolenic acid (0.33 vs 0.21 g/100 g) and linoleic acid (20.65 vs 18.37 g/100 g), whereas it reduced the amount of arachidonic acid with 3.91% and n-6/n-3 ratio in PSM eggs compared with CON. The inclusion of 9% PSM significantly (p<0.05) diminished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yolk with 11.31% and in egg with 10.38%, in respect to the CON samples. The significantly (p<0.05) higher concentration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compounds, determined in PSM eggs, proved to be effective on shelf life of eggs preserved at refrigerator (5℃) and room temperature (21℃) for 28 days, by delaying the lipid oxidation and protein denaturation. This effect was reflected in significantly (p<0.05) higher Haugh unit in eggs stored 28 days at 21℃ and lower albumen pH values for the overall storage time, both at 5℃ and 21℃, prov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pumpkin. Conclusion: Dietary PSM sup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ive o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egg quality by increasing some fatty acids while lowering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Also, PSM proved to be effective improving shelf life of eggs for 28 days storage time.
본 연구는 계란 난황을 경구투여 한 랫드에서 혈액 지질감소에 관한 생화학적 대사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6마리의 Sprague Dawley 숫컷 랫드를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6주 동안 동일한 정제고형식이를 급여하면서 매일 한번 씩 난황을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C; 생리식염수 1.0 g), T1(삼겹살 기름 1.0 g), T2(난황 1.0 g), T3(삼겹살 기름 1.0g 과 난황 1.0 g을 각각 1주일씩 교체 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일일평균 증체량은 T1이 가장 높았고 T3, T2, C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T1이 가장 높았고 C, T3, T2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HDL-C는 T2가 가장 높았고 C, T3, T1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LDL-C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T2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 AST, ALT는 T1에서 가장 높았고 T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복강지방을 제외한 간, 비장, 신장의 무게는 각 처리구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복강지방은 T1이 가장 높았으나 C, T2, T3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 T2는 가장 낮았다. 분을 통하여 배설되는 일일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산성스테롤의 배설량은 T2가 가장 높았으나 T1은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계란의 섭취가 동물의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분을 통한 스테롤의 배설을 촉진시켜줌으로써 혈액 지질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