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derl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pousal Relationship's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조혜숙;최수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13-3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부부관계(친밀소통, 애정표현 및 의사소통)가 심리적복지감(긍정적, 부정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관계 및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 녀 유배우자들이고 설문지는 500부를 배포하여 475 부를 회수하였다. 그 중 결측치를 제외한 46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 회귀분석, t-test 및 분산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친밀소통, 애정표현 및 여가공유가 긍정적 복지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여가공유를 제외한 친밀소통 및 애정표현이 부정적 복지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유무 등에 따라서 친밀소통, 애정표현 및 여가공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긍정적 복지감 및 부정적 복지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the Elderly Feeling of Self-Efficacy on Preparation after Retire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신근영;고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55-267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 역할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20일-4월1일 설문지 518부를 배부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효능감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직접과 간접 효과 모두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 효능감이 사회적 자본과 노후준비에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기 효능감은 경제적 준비가 미흡하지만, 사회적 자본을 활용함으로써 삶의 만족을 효과적으로 끌어낼 수 있었음을 긍정적으로 알 수 있다. 초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생애 주기적 사회참여에 대한 기반구축과 지속할 수 있는 사회 공유시스템 구축과 사회적 자본 강화책으로 사회적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서비스의 개선 및 확충이 필요하다.

Effects of Heat Wave on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in the Poor and Elderly

  • Kim, Young-Min;Kim, So-Yeon;Cheong, Hae-Kwan;Ahn, Byun-Gok;Choi, Kyu-Sik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7권
    • /
    • pp.13.1-13.10
    • /
    • 2012
  • Objectiv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cute effects of heat stress on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poor housing conditions. Methods: Repeated measurements of the indoo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were conducted for 20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low-cost dosshouses in Seoul during hot summer days in 2010. Changes in the body temperatur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analyzed using a repeated-measures ANOVA controlling for age, sex, alcohol, and smoking. Results: Averag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s were $31.47^{\circ}C$ (standard deviation [SD], $0.97^{\circ}C$) and $28.15^{\circ}C$ (SD, $2.03^{\circ}C$), respectively. Body temperature increased by $0.21^{\circ}C$ (95% confidence interval [CI], 0.16 to $0.26^{\circ}C$) and $0.07^{\circ}C$ (95% CI, 0.04 to $0.10^{\circ}C$) with an increase in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of $1^{\circ}C$. DBP decreased by 2.05 mmHg (95% CI, 0.05 to 4.05 mmHg), showing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the indoor temperature increased by $1^{\circ}C$, while it increased by 0.20 mmHg (95% CI, -0.83 to 1.22 mmHg) as outdoor temperature increased by $1^{\circ}C$. SBP decreased by 1.75 mmHg (95% CI, -1.11 to 4.61 mmHg) and 0.35 mmHg (95% CI, -1.04 to 1.73 mmHg), as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increased by $1^{\circ}C$, respectively. The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on SBP and DB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indoor and outdoor. Conclusions: The poor and elderly are directly exposed to heat waves, while their vital signs respond sensitively to increase in temperature. Careful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considering socioeconomic status are therefo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