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Well-being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6초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 송병은;강혜령;김광성
    • 종양간호연구
    • /
    • 제8권1호
    • /
    • pp.40-49
    • /
    • 2008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rom June 1 to October 13, 2007.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6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which located in Seoul and Jeollanam-do province using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MT Scale (FACT-BMT) version 4. We collected a total of 155 questionnaires and analyzed 149 among the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2.53 out of 5. Physical well being score was highest among sub-domains, followed by emotional well-being, additional concerns, social/family well-being, and functional well-being. Study subjects worried that their conditions would get worse. However study subjects didn't regret having been received HSCT. Age, duration from HSCT, age at diagnosis, income, readmission, HSCT typ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related to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HSCT survivor's quality of life issue is still important and have to be investigated repeatedly in the future. That is necessary for generalizing QOL outcomes for clinical use. We also suggest to develop interventions to improve QOL.

  • PDF

개인내적 특성과 가족 특성 및 직업만족도가 중년남성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붐 세대 대기업 근무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Personal Traits, Family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Men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Working in Large Corporations)

  • 장미자;김득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1
    • /
    • 2011
  • This research surveyed middle aged men, who were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worked for large corporations in Seoul, Busan, Ulsan, Cheonan, Yeoju, Sugi, Suwon and Daejon. A total of 166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worked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were professionals with high educational levels and incomes. Second, the middle aged men were found to enjoy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y had high ego-resilience, when they had high satisfaction with fatherhood, when they expressed themselves more(emotional expression), when they ha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when they had experienced less of a burden in supporting their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ark Sides of Engaging in Fan Community of Human Brand

  • Han, Jeongsoo;Kim, Chung K.;Kim, Miyea;Jun, Mina;Kim, Joshua Y.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33-148
    • /
    • 2014
  • People enthusiastic about human brands eagerly engage in fan communities to share their common interests with others. Although sharing one's enthusiasm towards the same celebrities can give thempositive senses of we-ness (in-group identity, togetherness, camaraderie) and belongingness, negative sides also exist such as schadenfreude and trash talk. Even though the studies addressing the negative sides of fan community are gaining significance, no prior studies formally examine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engaging in a fan community and their effect on one's well-being. Therefore, this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ngaging in fan community negatively affects memb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chadenfreude and trash tal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engaging highly in a fan community leads members to feel malicious pleasure at rivals' misfortunes and share negative opinions of rival human brands and fan communities. These negative consequences of fan community engagement ultimately lead to a low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in the area of personal growth whereas fan community engagement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By showing the negative influences of engaging in fan communities on members' well-being through schadenfreude and trash tal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dd depth to the existing literature.

  • PDF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패션과 지속가능발전 (Fash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ducational Aspects)

  • 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1-690
    • /
    • 2015
  • Sustainability has been a important issue in fashion industry that reflects the modern phase of the time. More education institutions than ever before are beginning to offer specialized courses, certificates and degrees related to sustainability in fashion, and many fashion institutions are working to embed sustainability issues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study, I investigate how sustainability is being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of leading fashion institutions, corporate management activity across the world and overview the world leading educational programmes related to sustainable fashion, pulling out the unique expertise and areas of specialization for each institution. In conclusion, the sustainable fashion were still not widely promoted domestical fashion institutions compare with other foreign leading fashion institutions. This happens in fashion business as well. Korean fashion institutions have to make educational program and certificates and degrees related to sustainability because the educational program can transform domestic fashion industry to sustainable fashion leading country level.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오옥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1호
    • /
    • pp.45-65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요인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심리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첫째, 부정 정서의 경우 연령, 결혼 연수, 본인의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도 연령, 결혼연수, 본인 및 배우자의 최종학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정 정서,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부정 정서-임파워먼트, 부정 정서-삶의 만족, 심리적 안녕감-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부정 정서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 나아가 삶의 만족도라는 3가지 차원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심리적 요인을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위 연구결과는 향후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을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 PDF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대인관계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 이금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103-111
    • /
    • 2023
  • 본 연구는 k시의 간호대학생 동아리 활동이 대인관계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3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간호학과 재학생 101명 중 동아리 활동 참여자는 78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의 평균 점수는 3.97±0.47점, 심리적 안녕감의 점수는 3.62±0.44점이었다.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의 영향 요인은 환경지배(β=.27 p=.010), 긍정적 대인관계(β=.23, p=.026)순으로 총변화량의 46.8%를 설명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의 영향 요인에서는 의사 소통(β=.29, p=.009)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총 변화량의 4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 시키기 위한 교육적 전략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Usage in Korean Schools

  • Hwang, Hye-Je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61-74
    • /
    • 1997
  • Currently, school computer education has turned to multimedia education, and the related policies are run by each regional authority of education. School principals and parents show strong interest on computer education and the movement into multimedia education as well. In current school education it also seems that computer use is being integrated into all subjects.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가족 및 사회지원체제 변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d Married Women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 Focused on family and social support system variables -)

  • 강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73
    • /
    • 2010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변인, 가족변인, 사회지원체제 변인이 취업기혼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취업기혼여성 332명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일반적인 사항과 독립변인으로 가족관련 변인, 보육관련 변인, 직장관련 변인, 사회지원체제 변인을 측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심리적 복지(well-being)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수준은 36.14점(중간값 32점)으로 나타나 대체로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변인 중 취업기혼여성의 학력, 배우자 지원, 가계총소득 등이 심리적복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취업기혼여성의 심리적복지에는 직업만족도, 보육서비스만족도, 사회지원체제, 배우자의 가사노동 변인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기혼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직업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린 소비자를 위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채널 브랜드 제안 (Branding for TV Channel Focusing on Well-being Lifestyle of Green Consumers)

  • 김예지;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7-131
    • /
    • 2016
  • 종합편성채널의 도입으로 인해 시청자들의 욕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채널 경쟁이 날로 과열되고 있다. 지속적인 웰빙(Well-being)과 그린소비 열풍으로 인해 웰빙 채널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채널 브랜드 전략 사례 및 국내 웰빙 라이프 프로그램에 관하여 현황조사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의, 식, 주 전반에 관한 웰빙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존재하지 않으며 교양, 오락 등의 프로그램에서 단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임을 파악하고 웰빙 라이프 채널 브랜드 전략을 제안하고 채널 브랜드 마크와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제작하였다. 채널 브랜드 전략과 디자인의 객관적 검증을 위해 환경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체로 해당 채널의 필요성과 연구자가 제안한 컨텐츠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브랜드마크와 관련된 가독성과 같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를 개선하였으며 비교 검증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브랜드마크에 대해 이전과는 달리 긍정적인 결과가 타나났다. 본 연구가 향후 그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채널 제작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가정과교육의 미래방향 탐색: '웰빙(Well-Being)교육'의 담론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tur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With/Post COVID-19 Era: Focused on the Review of 'Well-Being Education')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1-149
    • /
    • 2022
  • 이 연구는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정과교육이 필수 교과로서 어떤 가치를 표방하여 필수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위드/포스트 코로나시대로 상징되는 미래 사회의 변화를 문헌 고찰을 통해 진단했다. 또,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의 목적을 규명한 'OECD교육 2030' 프로젝트와 한국의 '교육비전 2045'를 고찰했다. 또, 영국의 교육철학자인 White의 교육 목적론을 고찰했다. 그 결과, 미래사회의 교육 목적은 사회와 개인의 웰빙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같은 교육 목적의 실현을 위해 웰빙 과목의 개발과 같은 노력을 여러 국가들에서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웰빙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실행전략이 가능하지만, 가장 손쉬운 전략은 이미 교과로 존재하는 가정과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정과교육이 필수교과로서 가지는 주요 가치는 사회와 개인이 웰빙을 추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함양시켜 주는 교과라는 점에 있다고 규명했다. 이것은 가정과교육에서 다루는 교육내용은 'OECD교육 2030'에서 웰빙의 기준이 된 OECD의 BLI 를 거의 모두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전통적으로 가정교과가 '삶 중심의 생활교과'이며, 동시에 삶의 질 향상을 통해 개인 및 가족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행복추구역량'을 함양해 온 행복 교과의 성격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행복 및 웰빙교육'으로서의 담론을 발달시켜 가는데 필요한 가정과교육의 이론적 개념틀을 개발하여 제시했다. 또 웰빙교육을 실행하는 가정과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나타내게 될 고유한 사고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이론적 개념틀을 개발하여 제시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같은 가정과의 웰빙교육의 담론이 더 많은 경험적 연구로 검증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