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15/khea.2011.49.2.001

The Impact of Personal Traits, Family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Men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Working in Large Corporations  

Jang, Mi-Ja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Kim, Deuk-Sung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Research Institute of Ecology for the Elderly,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9, no.2, 2011 , pp. 1-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surveyed middle aged men, who were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worked for large corporations in Seoul, Busan, Ulsan, Cheonan, Yeoju, Sugi, Suwon and Daejon. A total of 166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worked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were professionals with high educational levels and incomes. Second, the middle aged men were found to enjoy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y had high ego-resilience, when they had high satisfaction with fatherhood, when they expressed themselves more(emotional expression), when they ha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when they had experienced less of a burden in supporting their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s
middle aged men; psychological well-being; ego-resilience; emotional exp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DOI
2 Ryff, C. D., & Keyes, C. L. M.(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DOI   ScienceOn
3 Campbell, A.(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2. 117-124.
4 Canfield, K. R.(1995). Effective fathering practice and fathering satisfaction related to a father's life course. Kansas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5 Clausen, J. A.(1981). Men's occupational career in the middle years. In D. H. Eichorn, J. A. Clausen, N. Haan, M. Hnonzik, & P. Mussen(Eds.), Present and past in middle life. New York: Academic Press.
6 Jaques, E.(1965). Death and the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 502-14.
7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Levinson, M. H., & Mckee, B.(2007) The Seasons of a Man's Life. N. Y.: Knopf.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8 년 원저발간)
8 Lois, M. T.(1982). Men at middle age: Developmental transitions.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464, 47-56.   DOI   ScienceOn
9 홍윤기(2009). 어머니 자녀간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련성.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Neugarten, B. L.(1979). Time age, and the life cycl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6(7), 887-894.   DOI   ScienceOn
11 황신덕(2004). 상사의 리더십 및 상사에 대한 신뢰와 구성원 태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Barnett, R. C., Marshall, N. L., & Pleck, J. H.(1992), Men's multiple ro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men's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May), 358-367.   DOI   ScienceOn
13 Bauer, R. A.(1966). Social Indicators. Mass: M. I. T. Press.
14 하정(1997).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원지, 한경혜(2001). 직업역할 및 아버지역할이 남성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20.
16 최정혜(1999).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9), 85-101.
17 하유진(2007).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20, 30대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경혜(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에 대한 이해, 베이비붐 세대의 Lifestyle과 가족. 2010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31.
19 한경혜, 이정화, 옥선화, Ryff, C., Marks, N.(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2(2), 209-225.
20 한남제(1984). 가족연구의 성과와 문제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0년 특집 심포지움 자료집. 46-61.
21 안정신(2005).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년학회, 25(2), 245-266.
22 허미화(2003).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 및 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허정선, 현명호(2005). 가족의 애착, 귀인양식 및 자아탄력성과 표출정서(Expressed Emotion)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37-51.
24 허유정(2000). 행복감과 정서표현 성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안정신, 한경혜, 차승은(2004). 한국 중년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 척도구조와 문항정보. 한국인간발달학회, 11(4), 75-93.
26 여성한국사회연구회(1997). 남성과 한국사회.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7 윤정기(2008). 내 남자를 위한 관계의 심리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8 윤진(1985).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9 이은아(2007). 중년기 남성의 가족 및 직업관련 변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47-562.
30 임정숙(2007). 부부친밀감이 노부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채기(1997). 남자도 사람이다. 서울: 집현전.
32 장휘숙(2008). 성인심리학-성인발달, 노화, 죽음. 서울: 박영사.
33 정성호(2006). 중년의 사회학. 서울: 살림.
34 정옥분(2008).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학지사.
35 정현숙(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36 조선화(1998). 아버지만족감 및 스트레스와 아버지 역할수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김지경(2010).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부양부담. 방하남 외.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38 박주연(2009). 남자나이 50, 그 쓸쓸함에 대하여. weekly 경향, 823호, 14-17.
39 박준희(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관계스트레스, 여가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서정아, 한경혜(1998). 가족 및 직업 특성이 중.장년기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165-177.
41 김태현, 김양호(2003). 중년남성의 남성 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1), 99-120.
42 박근희(2004). 한국 중년남성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나일주, 임찬영, 박소화(2008).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 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노인복지연구, 42, 151-174.
44 류지수(2007).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문경실(1995). 남편의 직업만족도와 결혼만족도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 부부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김민철, 박시영, 김경화(2010). 베이비붐 세대 '2010년 쇼크' - 30년 일한 직장인의 경우. http://news.chosun.com에서 2010년 1월 9일 인출.
47 김윤민(2003). 중년기 남성의 일.가족역할 수행부담 및 심리적 복지감.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김애순(2004).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49 김영선(2003). 가족기업 종사자의 일-가족갈등 및 직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김원(2008). 아동의 정서강도, 정서표현성, 정서표현의 갈등과 공격성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강모성, 전영주, 손태홍(2008). 기혼 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05-134.
52 고기숙(2003).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3 권지은(2002).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김명자(2003). 중년기 발달. 서울: 교문사.
55 김경민, 한경혜 (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4(3), 211-230.
56 김경신, 이선미(1998). 중년부부의 노부모 부양부담과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9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