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for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 김수정;송미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8-20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 개발 연구의 연장선으로, 학교 현장에의 적용을 위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안)은 6개 대영역, 33개 하위영역, 23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복지 분야 박사급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2회의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고, 현장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교육복지사 9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 선정 기준($CVR{\geq}.29$, $CVI{\geq}.80$, 수렴도<.50, 합의도${\geq}.05$, 안정도${\leq}.80$, $M{\geq}3.00$, SD<.80, 신뢰도${\geq}.6$)을 적용하여, 6개 대영역, 23개 하위영역, 93개 문항에 대해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이 중 신뢰도가 낮은 3문항을 제외하여 최종 90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가 현장에서 보다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한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a Broader Sense of The Prospective Welfare-State -Focusing on Esping-Anderson's Typology of Welfare-State-)

  • 엄경남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35-64
    • /
    • 2011
  • 이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보고 정책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의 지향점과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정권에 따라 이 사업의 강조점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복지국가 관점에서 이 사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이 사업은 결과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복지국가에 기여할 것인지를 주요 연구 문제로 한다. 이를 위해 사업의 예산, 대상, 내용, 지향점, 전달체계 등 정책의 구조가 갖는 차원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사업이 지향하는 복지국가 형태를 유추해 보았다. 이 사업은 국가 주도하에 진행되어 올해 법제화되면서 예산과 규모 면에서는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선별적이고 계층화를 유발하는 사업의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학업 향상과 성과를 강조하는 현 정부에서 이 사업의 지향점이 왜곡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사업이 복지국가라는 큰 틀 속에서 바른 방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정책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An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 송지훈;정영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305-3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문헌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17개 시도교육청 및 교육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세미나를 실시하여 결과를 보완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 상태를 진단하고 향후 해결해야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사업의 효과성이 증명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및 교육부 훈령 제정 등을 통해 법적, 제도적 안정성을 확보해 나갔다. 하지만 시도교육청으로 사업이 이양된 이후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점차 축소되고 정체성의 위기마저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명한 사업의 목적과 방향설정, 중앙정부의 기능 정상화, 초중등교육법 제28조 개정을 통한 '학습부진아 등'의 개념보완을 제시하였다.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종단적 변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접근 (A Latent Growth Modeling of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about Schools)

  • 김수정;이윤수;송미령;송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75-285
    • /
    • 2020
  • 본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가 그 변화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변화의 결과가 학생들의 학습몰입, 자신감,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복지정책중점연구소에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총 103개 학교(초등학교 51개, 중학교 52개)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1차년도의 표본 수는 총 820명, 2차년도는 911명, 3차년도는 837명이었다. 본 연구는 무조건 성장 모형(unconditional growth model)과 조건 성장 모형(conditional growth model)의 두 단계를 거치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선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개선은 학생들의 학습몰입, 자신감, 교우관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교사 주도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제공하며, 집중지원이 필요한 학생에 대해서는 교육복지사 중심으로 맞춤형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간호 서비스 전달 체계 모형 개발 -가정방문서비스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Nursing Service Model: - Based on the Visiting Nurses Project in Seoul, Kyonggi, and Kang-won Area-)

  • 김성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61-374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a status of home visiting project as a community health nursing system, that was the organization. personal who have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position, experience of the home visiting in the public sectors in part of Seoul. Kyonggi, Kang-won area, It was done to provide basis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visiting nurses project in the health sectors, where was Health Centers in urban and rural. Branch of Health Center in rural and Health posts. The question airs were distributed 352 public health workers who working place was 118 health workers in 12 health centers in Seoul. 56 public health workers among 39 health center and other public health sectors in Kyonggi and 178 public health workers among health center and health care sectors. Data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00. The analysis by SAS system with F test, percentage and frequency. The major result were as foll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show that most of them were graduates from community college and RN-BS with broadcast that they had not completed CPHN course but only two health workers have trained for the visiting nurses project. As for their grade in the position, the most of health workers have seventh level and the other CHP were above sixth level in the health care post that in the government structure. This indicates that workers do not have great authority in decision making, the most period of works in the position was one and two years indicating that they change jobs frequently. On an average their clinical experience was 4.11 years which is ideal for the total service. As for preparation of staff for home visiting workers education on visiting nurses program have to receive short term or longer term training course for strong emphasis. The analysis showed that public health visiting workers responds about active job performance that based on an area, approach of acting by districts, education and position a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ceptance of the visiting nursing job show the same as well as visiting nurses project. Special concerns for visiting Nursing care spread came to burden, many of activity carry out main solution is covered the health problem connective support system needs of quality and quantity which out health problem. As 71.1% of visiting health service held on the poor population was under the guardianship of the law, but people who health insurance wide application under law shown a tendency to increase gradual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showed 56.2% of female on average of age was 66.1 years old, they have health problem was the most of 47.6% of high blood pressure and stroke, the other and as a problem that economics, which is complex welfare with out health problem. Community health care service should be combined health and social work program. The form of delivery of visiting health care given the most guide and education with counselling and support. (33.6%) Among the six category of visiting care servic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next is fundamental care, remedy care with prior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