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mplications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39초

Applying design thinking to the educational problems: A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approach and practice in an undergraduate course

  • CHA, Hyunj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0권1호
    • /
    • pp.83-107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values and descriptive implications of the Design Thinking (DT) method into the context of educational problems of practice in an undergraduate cours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qualitative study, the student's productions and reflections on the experie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DT into educational problems were analyzed.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one-group pre and post-test were design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T method into educational contexts in terms of creativity level to measure the student's Creativity Potential and Practiced Creativit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Problem-Solving Inventory. This study validated that the DT metho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ose three competencies and also illustrated the detailed process from a qualitative viewpoint.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reflect the potential of the DT approach with the educational problem of practice, especially, in the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contexts for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setting.

개인과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 및 유형 분석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f Korean Households)

  • 박미희;여정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89-206
    • /
    • 2000
  • Study results showed most households spent money on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Various sociodemographic and parents'cognitiv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amily income had the greatest influence. Seven cluster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each percentage of expenditures allocated to four private educational methods out of total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The rese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in Korea and have implications in the government policy decision-making on private education.

  • PDF

회중론적 관점에서 이해한 3040세대에 대한 교육목회의 함의점 연구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for the 3040 Generation in the view of the Discourse on Understanding Congregation)

  • 신형섭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4권
    • /
    • pp.81-106
    • /
    • 2023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회중론적 관점에서 한국교회의 3040세대에 대한 보다 비판적이고 통전적인 이해를 통하여 3040세대 회중을 향한 보다 합당한 목양를 실천할 수 있는 교육목회적 함의점들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먼저, 회중론과 교육목회와의 연계성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교육적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3040세대에 대한 연령 발달적, 신앙발달적, 사회문화적 접근을 통해 3040세대의 회중론적 이해와 특징들을 기술하였고, 회중론적 관점에서 본 3040세대에 대한 교육목회적 함의점들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한국교회 3040세대의 특징과 세대간 역동성을 주목하며 회중론적 관점에서 네가지 교육목회적 함의로서 1) 다양한 가정유형을 고려한 가정친화적 교육목회로의 전환, 2) 복음과 삶의 이슈가 만나는 전생애주기적 제자양육으로의 강화, 3) 올라인 목회(all-line ministry)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형 소그룹의 강화, 4)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창의적이고 복음적인 ESG 사역의 개발과 실천을 제언하였다.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에서 심리발생의 실험 결과가 나타내는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연구 -Inhelder와 Piaget(1963)의 실험을 기초로 하여- (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Piaget's Experiment about the Psychogenesis in his Genetic Epistemology -Based on the Experiment of Inhelder and Piaget(1963) -)

  • 박선용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221-24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Inhelder와 Piaget(1963)의 실험의 여러 측면에 대해 고찰하면서,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에서 '문제의식의 형성', '연구문제로의 변환', '실험과제로의 번역', '실험결과의 해석' 과정의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의 실험 결과가 학생의 의식성을 높이는 교육을 지지한다는 점에 대해 논의한다.

  • PDF

평등 수렴의 역사에 대한 분석과 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story of uniform convergence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박선용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50
    • /
    • 2017
  • This study analyses on the history of uniform convergence, and discusse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nspects 'overflowing of the Euclidean methodology' which was suggested by Lakatos as a cause of tardy appearance of uniform convergence, and reinterprets that cause in the perspective of 'symbolization'. Second, this study looks into the emergence of uniform convergence of Seidel and Weierstrass in this viewpoint of symboliz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me to know that the definition of uniform convergence had been changed into the theory of 'domain and graph' from that of 'point and function value' by the location change of the quantifier. As these results, this study puts forward an educational suggestion from an angle of epistemological obstacle, concept definition and concept image.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가난 모티프의 인성 교육적 함의 (The Human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otif of Poverty in the Picture Books of Korean Fairy Tales)

  • 이란;현은자;이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9-18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난을 모티프로 다루고 있는 전래동화 그림책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현 시대의 인성 교육적 가능성을 찾고 그 교육적 함축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 3인은 가난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전래동화 그림책 7권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공통된 서사구조 속에서 가난과 재물의 문학적 역할을 도출한 후 그 인성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인공의 가난이 개인적인 게으름 같은 부정적인 성품보다는 주로 선한 성품과 관련되어지면서 긍정적인 가치를 형성했다. 둘째로, 신적인 조력자나 동물 조력자들이 비현실적 방식으로 선인에게 재물을 제공함으로 성품에 대한 보상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셋째, 선인에 뒤이어 악인들의 악한 성품이 부각되는데 주로 재물에 대한 탐욕이 증거로 나타났다. 악인 대부분은 그 악한 동기가 드러나 처벌을 받게 되며 선인과의 이항대립 구조 때문에 권선징악의 교훈을 뚜렷이 드러나게 한다. 넷째, 대부분의 가난 모티프를 가진 전래동화는 각 인물이 가진 성품에 기초하여 처벌을 받거나 보상을 받았다. 그러한 보상이 재물로 주어짐으로써 재물 소유 자체는 축복임을 드러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인성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Heidegger의 '현존재(Da-Sein)'가 학교교육목표 설정에 주는 함의 (The Implications of Heidegger's 'Da-Sein' for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 성정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79-8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하이데거의 '현존재(Da-Sein)'로서 인간관이 학교교육목표 설정에 주는 함의를 탐구하였다. 서구의 전통적 인간관은 이성적 인간관이다. 흄은 이미 자신의 독특한 인간관인 정념론을 통해 이성적 인간관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흄의 정서적 인간관은 이성적 인간관과 마찬가지로 기능적 인간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 하이데거는 실존적 인간론을 통해 기능적 인간관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현존재'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 '현존재'는 인간이라는 용어에 담긴 '이성적 동물'이라는 선입견을 해체하고자 하이데거가 창조한 인간을 대체한 용어이다. '현존재'는 실존성, 각자성, '세계-내-존재'라는 세 가지 성격을 갖는다. '현존재'의 세 가지 성격은 다음과 같이 학교교육목표 설정에 시사점을 준다. 첫째, 학교교육목표는 학생들이 자아를 지속적으로 발견해 나갈 수 있는 의미를 가진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교육목표는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교교육목표는 학생들이 공유할 수 있는 보편성을 내재해야 한다. 현재 일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행복을 중심에 두고 고려된 학교교육목표의 변화는 '현존재'의 의미와 관련된 측면이 있다. 하이데거의 '현존재'에 기반한 학교교육목표의 설정은 인간의 진정한 존재 특성을 고려하는 교육으로의 지평을 열어줄 것이다.

Design Implications for Teachers' Tools 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rough Case Studies

  • CHA, Hyunj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1호
    • /
    • pp.55-74
    • /
    • 2013
  • The diversity of students is getting increased in the contemporary classroom. To deal with the diversity,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of providing alternative approaches to content, process and product according to the students' readiness, interest, and learning needs. Teachers have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different student's needs. In fact, teachers need proven tools including framework, guidelines or computing systems to help to practice DI in real context. According to the activity theory, tools influence on how people act and think and even their social practice, playing a crucial role in mediating the activities with people. In DI practice, there are also some studies about physical and abstract tools, but they have been not widely utilized by teachers in real schools. It means that more innovative tool to promote DI might be required. Therefore, to design a better tool to mediate the DI activities with teacher,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licit the design implications, two physical and two abstract tools for DI practice were analyzed as case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eight design implications better to facilitate DI practice were suggested.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suggesting design guidelines for teachers' tools to facilitate their DI practice by analyzing case studies in DI practices for an innovative tool in the educational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