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media

검색결과 2,274건 처리시간 0.027초

미디어 교육 교육과정 모델 구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urriculum Model Construction of Media Education)

  • 김양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73-99
    • /
    • 2007
  • 이 논문은 미디어 교육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미디어 교육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패러다임에 의해서 개념 및 목표가 변화해 왔다. 이같은 변화는 결과적으로 미디어 교육의 교육내용도 변화시켰다.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설계 모델은 국가별로 매우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영국, 캐나다, 독일, 호주, 미국 등의 대표적인 미디어 교육 모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국내 미디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 교육의 교육내용 설계를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외국의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설계 모델은 개념 중심의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도 개념 중심의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교육의 교과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모델에서 '개념'을 '내용'과 '목표' 차원으로 분리해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목표를 미디어 지식, 미디어 감상, 미디어 분석, 미디어 생산으로 분류하였으며, 미디어 교육의 내용을 미디어, 텍스트, 이용자의 3가지로 재구성했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포함될 교육내용을 목표차원으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4가지 제시된 목표의 균형적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 김양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77-110
    • /
    • 2005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2가지 차원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수용자의 이용자로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의 3가지 차원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 이론과 연관성을 맺으면서 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의 환경과 이론적 토대의 변화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은 초기의 텔레비전에 대한 교육에서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교육이 언어적 차원, 미디어 내용의 비판적 해석, 사회와의 소통이라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짐을 의미한다.

  • PDF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ocusing on CMF Education Programs in Korea

  • Park, Yun Mi;Chae, Ji Hye;Kim, Seul Ki;Kwon, Hye Seon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3호
    • /
    • pp.113-13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science method and find out the impa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 digital citizenship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n independent t-test to analyze relativeness between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factors. We also adopted an independent t-test to investigate media literacy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urthermore, we found out age differences using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one-way ANOVA)'. Findings We have found four media literacy factors, MC, CT, C&P, R&R, have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We have also pulled out three digital citizenship factors, IPA, TS, and CP, involv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Moreover, we have analyzed our survey by different age group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TS. CP was highest among those from 30 to 59, followed by those under the 30s.

한국 미디어 교육의 성격 분석 및 논의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in Korea)

  • 김기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139-167
    • /
    • 2007
  • 본 논문은 우리나라 미디어 교육이 현재 어떤 상황에 이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현황 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미디어 교육 사례들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교육 대상 매체,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장(場), 교육 수준, 교육 대상 연령, 교육 주기, 학교 교과 유형, 교육 시행 주체 등의 분석 유목을 설정하였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대상 매체로는 주로 텔레비전을 비롯한 영상매체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인터넷 등 뉴미디어 그리고 신문, 영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내용은 '미디어에 대한 지식 및 정보 습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미디어 콘텐츠 제작', '미디어 내용 읽기', '수용자 의식 함양'등의 순이었다. 교육 방법은 메시지 분석 방법, 매체 모니터교육, 매체 제작활동, 매체의 교육적 활용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場)은 사회와 학교 모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둘 사이에는 모든 교육이 상호교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교육 수준은 전체적으로는 지도자 대상 교육과 일반인 대상교육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한국언론재단에서의 미디어 교육은 교사 대상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교육 대상 연령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대상이었으며 유치원 대상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교육은 대부분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현재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미디어 교육은 계발활동(CA활동), 창의적 재량 활동, 방과 후 특기 적성교육, 정규 교과 시간을 이용한 미디어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교육 시행 주체는 시민사회단체 미디어 교육과 공공기관 미디어 교육이 서로 결합하는 형태로 분석되었고, 점차 공공기관 지원 미디어 교육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교사 중심의 미디어 교육이 갈수록 활성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매체사에서도 다양한 미디어 교육을 시행하고 있었는데 특히 문화방송과 교육방송의 미디어 교육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미디어 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Media Education Using Motive Effect in School Achievement: Focusing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Media Competence)

  • 이정춘;김은규;강진숙;박상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43-72
    • /
    • 2007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받고 있는 중 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미디어 능력 그리고 학업성적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는 '수업 편리성/도움 추구', '정보/교육방법 습득 추구', '새로운 수업/의사소통 추구', '능력향상 추구', '자율적 교육 추구', '시대 편승 추구', '새로운 지식/교육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 중에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서는 '새로운 지식/교육추구' 동기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 능력에는 '수업 편리성/도움 추구', '정보/교육방법 습득 추구', '새로운 수업/의사소통 추구', '자율적 교육 추구', '시대 편승 추구' 등 5개 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적에는 '자율적 교육 추구'와 '새로운 지식/교육추구'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미디어 능력'보다 학업성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디어 교육은 어느 정도 새로운 수업방식과 능력향상 차원에서 의미가 있지만,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적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학생들의 미디어 능력 함양에는 미디어 교육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어 교사의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Media Literacy Education)

  • 전형길
    • 한국어교육
    • /
    • 제28권2호
    • /
    • pp.155-184
    • /
    • 2017
  • As the media changes, communication patterns in modern society have been changed as well. This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has also transformed the required literacy and it is time to accept this new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is point, this paper inspected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classes of 73 teachers currentl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most teachers are aware of the media literacy which has changed socially, and show strong agreement that this changed literacy sh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oday's media literacy education is passive. Although teachers generally understand the dynamic features of newly emerging digital media, it remains as a tool in class. The teachers pointed out that device problems such as device environment and the spread of media are one of the many reasons for such passive usage.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the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has not be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tively. Teachers thought that media literac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n proficiency. Also, they saw that this kind of media literacy will be required for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with more impor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accept and reflect the changes of media in the curriculum.

Influence of Lecturers' Psychological Factors, media Improvisation on Media Resources Utilization in Colleges of Education, Nigeria

  • Ogunwuyi, Babatunde Oyeyem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7-23
    • /
    • 2022
  • Media utilization in colleges of education in Nigeria is compulsory to train pre-service teachers. Psychological variabl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nd media improvisation were investigated on media resources utilization among lecturers in colleges of education in the South-West, Nigeria. The descriptive design was adopted and multi-staged procedure was used to select 812 (493 males; 319 females). Emotional intelligence (r = 0.79), media improvisation (r = 0.71), self-efficacy (r = 0.85 and media resources utilization r = 0.96) scal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product moment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media improvisation were high.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r = 0.42), Media improvisation (r = 0.46) and Teaching self-efficacy (r = 0.31) to media resources utilization. It recommended that lecturer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media improvisation are to be promoted in colleges of education.

노인미디어교육의 목표와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연구 - 노인미디어교육 교사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The Purpose and Educational Methodology of Media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With Emphasis on Focal Interview on Media Education Teachers for Senior Citizens and Learners)

  • 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8권
    • /
    • pp.306-3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환경의 변화에 부합하는 노인미디어교육의 목표와 교육방법을 정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의 배경으로서 노인미디어교육의 국내외 현황과 쟁점을 검토한 후 FGI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노인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 및 학습자들의 인식들을 분석하였다. 심층인터뷰 기조는 노인미디어교육의 목표, 노인미디어교육의 장애요인과 문제점, 선호하는 교육방법 그리고 제안점 등으로 구성하여 교사 및 학습지의 경험에 근거한 삼층적 견해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사회적 소외계층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미디어를 중심으로- (Focus Group Interview for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utilizing the media)

  • 배수민;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533-5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현장의 인식 탐색에 있다. 먼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와 인식, 요구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 로 교수 3인과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로 유아교육기관 원장 1인, 원감 1인, 교사 1인을 대상으로 총 6인의 전문가 집단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로 첫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는 전자 칠판, 애니메이션 동요나 애니메이션 동화 등을 활용하여 교육을 하고 있다. 둘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으로는 유아들은 미디어 매체와 함께 자라고 있어 이를 단절시킬 수 없으니 유아교육기관에서도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교사 교육 또는 연수, 예비 유아교사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후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Cancer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Different Media

  • Lee, Young Sung;Choi, Seong Woo;Jeon, Mi Y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4호
    • /
    • pp.60-6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cancer prevention education for general population with different educational media such as booklets, cartoons, web frame comic strips, web flash animation and flash animations on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Methods: A total of 125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each group having 25 members and assigned a different educational media. An educational media was assigned to each group to evaluate the effect of education in the first intervention. In the second intervention, 4 other media, excluding the previously used one, were used to educate the subjects and find out the preferences of educational media. Results: Knowledge about cancer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ancer prevention education. They preferred animations on the internet to other media, the highest. Conclusion: Educational programs with various media should be developed for subjects to choose based on their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