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torial Element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2000년 이후 보그 이탈리아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에 나타난 광기이미지 (Madness images shown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in Vogue Italia since 2000)

  • 이채영;하지수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3호
    • /
    • pp.450-467
    • /
    • 2014
  • Modern society attaches great important to state of the technology, but, unconscious desire and subconscious are also discussed in an important value. In the social background of such madness is acting as an artistic inspirational to the many people. At such a time, fashion photographs also being used medium which speak for people's desir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with unusual stories or including experimental visual elements unlike fashion advertising have increas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recognition of madness from ancient times until now and find out new meaning of the unusual and informal form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showed in Vogue Italia since 2000.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e used 36 photographs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taken by Steven Meisel, Tim Walker and Miles Aldriege. The final process of analysis made in with agreement of 10 major people. We used photograph's basic visual elements as analysis to avoid arbitrary interpretations.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drawing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from the viewpoint of Michael Foucault's Madness theory, Deleuze and Felix Guattari's Madness as the aspects of desire. The madness images in th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were showed as Decadence, Blindness, Violence and Grotesqu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abov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enabled the awareness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adness in modern society. Thes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can be the source of our wider perspectives for changing recognition of madness.

포털 뉴스섹션의 편집요인이 뉴스 이용자의 기사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Editorial Elements of Portal News Section on the News User's Choice of Articles)

  • 박광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87-2095
    • /
    • 2012
  • 본 연구에 이용된 편집요인은 뉴스 카테고리, 사진기사, 굵은 활자체의 기사제목, 신문제호, 기사제목의 내용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같은 요인 중 사진기사, 굵은 활자체의 기사제목, 기사제목의 내용 등 3개 요인만이 뉴스 이용자들의 기사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을 포털뉴스 이용시간의 차이에 따른 분석에서는 뉴스 카테고리, 굵은 활자체의 기사제목, 신문제호 등 3개 요인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장르가 뉴스 이용자들의 기사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문화/연예, 국제, IT/과학 장르 중 사회, 문화/연예, 국제 등 3개 요인만이 이용자들의 기사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에 대한 남녀집단 간의 분석에서는 경제, 스포츠, 문화/연예, IT/과학 등 4개 장르에서 기사선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 신문에 비해 다양한 방식으로 기사를 노출시키는 온라인 매체에서 전통적인 신문편집의 요소가 기사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온 오프라인 신문 간 편집요소의 역할에 대한 차이와 온라인 매체에서의 효과적인 편집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단서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The types and expressions of new media fashion film

  • Kim, Sejin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1호
    • /
    • pp.96-113
    • /
    • 2020
  • A new form of media is changing the expression and content of fashion. In this paper, fashion films that have appeared since 2010 - when digital fashion communication was increasing - will be discussed and explored to consider how technological transitions in fashion media are changing the appearance and role of fashio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characteristics, types, and expressive elements of new media fashion films, which were defined for this study as fashion films produced and distributed since 2010 using digital media. Fil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romotional, editorial, and independent fashion films. Furthermore, elements of the films were identified as fashion mise-en-scene, auditory structure, and content structure. Types and expressions of digital fashion images in 40 fashion fil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se ele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promotional fashion films maximize various narrative and sensory effects on fashion products, whilst editorial fashion films strengthen the role of entertainment. Independent fashion films expand the area of fashion and promote the diversification of fashion systems. Moreover, the results show that fashion films are not a secondary form of media that just expresses fashion; they provide a tool for the creation of new fashion content. New media fashion films promote the expansion of expressive spectra and boundaries, offering various multisensory experiences of fashion, and enhancing creativity and the aesthetic values of fashion.

패션매거진 Vogue의 패션사진에 나타난 이미지 표현형식 및 모델 포즈의 활용유형 분석 (Analysis of Vogue Magazine on Forms of Image Expression and Utilization of Model Poses in Fashion Photos)

  • 김영민;김영삼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111-127
    • /
    • 2016
  •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s of 'image expression' and utilization of model poses in fashion photos, and to delve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s that make certain model poses effective in expressing an image. The study used the fashion photos in the fashion magazine, Vogue, to analyze the different model poses used to express different im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age expression forms in fashion photos were categorized into 'direct product suggestion expression form', 'sensual image expression form', 'sexual image expression form', 'story telling expression form', 'everyday situation expression form', and 'fantastic image expression form'. The different utilization types of model poses were categorized into 'type utilizing intangible elements', 'type utilizing complicated elements', 'type utilizing living organisms', 'type utilizing props', 'type utilizing clothes', 'type utilizing location', 'type utilizing accessories', and 'type utilizing products'. Second, the most common expression form for fashion photos used in advertisements was the 'direct product suggestion expression form', which was followed by the sensual image expression form. The most popular form used in the editorial fashion photos was the direct suggestion product expression form, which was followed by the story telling expression form. Third, the most common model pose type for direct product suggestion form was the 'type utilizing product'. Fourth, 'direct product suggestion expression form' was mostly used in editorial fashion photos. The most common utilization types of model poses were 'type utilizing clothes', 'type utilizing props', and 'type utilizing place'.

Guidelines for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es in animal studies submitted for publication in the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Seo, Seongwon;Jeon, Seoyoung;Ha, Jong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381-1386
    • /
    • 2018
  • Animal experiments are essential to the study of animal nutrition. Because of the large variations among individual animals and ethical and economic constraints, experimental designs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animal experiments. To increase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results and maximize the knowledge gained from animal experiments, each experiment should be appropriately designed, and the observations need to be correctly analyzed and transparently reported. There are many experimental designs and statistical methods. This editorial does not aim to review and present particular experimental designs and statistical methods. Instead, we discuss some essential elements when designing an animal experiment and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es in animal nutritional studies and provide guidelines for submitting a manuscript to the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for consideration for publication.

Ethical Concerns and Issu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 KANG, Eungoo;HWANG, Hee-Joong
    • 연구윤리
    • /
    • 제2권1호
    • /
    • pp.7-12
    • /
    • 2021
  • Purpos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ny errors and other inaccuracies noted in the research process should be appropriately communicated to the editorial offices. This will try to eliminate the mistakes that may undermine the value of the publication. The present research thus focuses on the ethical issues and concerns in the public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content analysis applied for this study is suitable because there exists enormous textual data in the realm of ethical concerns and issu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manifest and critical themes regarding ethical concerns and issues for research publication. Results: Researchers should consider ethical principles based on suggestions of this study when carrying out a publication for the work to be acceptable in diverse regions and the journal should be made in account of completeness and ensure that all the relevant factors are considered to promote the research's accuracy. Conclusions: Ethical issues denote considerations and moral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authors while making a publication. They include Beneficence, which literacy means, do no harm, respect for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which is about respecting the rights and dignity of subjects identified based on personal responsibility.

네이버 뉴스스탠드의 신문지면에 대한 비교분석 -10개 종속형 온라인 신문의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Newspaper's Layout of the News Stand in NAVER -Focusing on the Websites of 10 dependent Online Newspapers)

  • 박광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365-374
    • /
    • 2018
  • 본 연구는 네이버 뉴스스탠드의 10개 종합일간지 홈페이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온라인 신문의 지면구성 요소와 각 신문의 지면구성은 어떻게 차별화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분석 방법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내용은 시각적 이미지 유형, 사진기사와 제목기사 수, 메인기사 이미지의 크기다. 분석결과 종이신문과 차별화되는 오디오, 동영상, 카드, 슬라이드 형식의 뉴스기사 비율이 매우 낮았으며, 그래픽 소스를 이용한 뉴스기사도 극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나 전체적인 면에서 네이버 뉴스스탠드의 신문들은 다양한 편집기법을 이용하여 지면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신문의 뉴스소비 촉진을 위한 편집방향에 기초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뉴미디어 기술에 의한 미디어 생태계가 빠르게 재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신문지면은 어떻게 변화되는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포스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ers of Swiss Graphic Style)

  • 홍성일;안창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5-18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형성과 정착에 가장 큰 흐름을 차지하였던 포스터를 중심으로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체계적인 이해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이념, 그리고 시각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물론 편집디자인과 같은 포스터 외적인 다른 시각디자인 분야를 통해서도 스위스 그래픽 양식이 다듬어지고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지만 그 당시 대중들의 선동 선전에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디자이너들의 주된 표현 매체가 되었던 포스터를 통해 20세기 중반이후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인 양식의 교과서로 자리잡았던 스위스 그래픽 양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배경과 형성과정을 통해 그래픽 양식의 생성 의미를 되새겨 보고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시각적 특징과 그 양식의 특징들이 스위스 디자이너들의 포스터를 통해 어떻게 접목되고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어느 특정 디자인 양식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개인 디자이너의 독자적인 행보나 노력도 중요했지만 밑거름이 되었던 사회 문화적인 영향, 앞선 디자인 양식과 이념의 소산물과 함께 여러 디자이너들의 열정과 실험적인 결과의 진취적 과정이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한글 초록의 현황과 내용분석 - 사회과학분야 저자초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urrent States and Information Content of Author Abstrac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 장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8
    • /
    • 1996
  • 초록작성의 현황을 이해하고 초록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회과학 분야의 전국규모 학술지를 대상으로 현황조사와 내용분석을 하였다. 12개 학문 102종의 학술지 중에서 $53\%$에 해당하는 54종이 초록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34종이 초록관련 편집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33종이 한글초록을 수록하고 있었다. 조사에 근거하여 초록작성이 일상화된 4개 학문의 중앙학술지를 선정. 149개의 초록을 표집하여 6개의 통계적 특성 변인과 12개의 필수내용요소 불필요한 내용요소 문체적요소 변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특성은 학문별로 다양하고 범위가 크다. 특히 초록당 평균 문단 수와 자수가 기존의 규격과 크게 차이가 있다. 내용분석 결과 $50\%$가 필수내용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39\%$는 불필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문체적 분석에서는 불필요한 1인칭 상당어귀와 대명사의 남용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 학술지의 저자초록은 외형적 구조에서뿐만 아니라 내용과 문체 면에서도 크게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PDF

온라인신문의 시각화에 대한 분석: 종속형 온라인신문과 네이버 뉴스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Visualization of the Online Newspaper : Focusing on the dependent Online Newspaper and Naver News)

  • 박광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21-329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신문의 시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면변화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은 종속형 온라인신문인 조선, 동아, 중앙, 한겨레, 경향, 한국일보 등 6개 언론사닷컴 홈페이지와 네이버의 뉴스섹션에서 이들 신문의 홈페이지를 비교분석 하였다. 신문지면의 시각화에 대한 분석은 이미지에 한정하였다. 각 신문 간 시각화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모든 이미지가 지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크기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온라인신문은 초기 단계의 문자 텍스트 일색이었던 것에 비해 점진적으로 이미지 사용 증가에 따라 시각화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정된 지면에서 이와 같은 이미지 사용의 증가로 제목 중심의 뉴스기사 수가 크게 감소된 사실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온라인신문의 경우 다른 신문들에 비해 이미지를 매우 크게 활용하면서 뉴스기사의 수를 적게 게재하고 있었다. 또 다른 특정 신문의 경우 1차 자료수집 시기에는 지면의 모든 뉴스기사가 사진기사로 구성되었으나 2차 시기에는 소수의 제목기사와 함께 구성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온라인신문은 종이신문이 오랜 기간에 걸쳐 시각화를 통해 '읽는 신문'에서 '보는 신문'으로 전환된 것처럼 시각화 수준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