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pic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42초

의도적 유치발치술에 의한 이소매복 영구치의 맹출유도 (SPONTANEOUS ERUPTION OF ECTOPIC IMPACTED TOOTH BY INTENTIONAL EXTRACTION OF DECIDUOUS TOOTH)

  • 최인영;김승혜;김성오;최형준;이제호;최병재;손흥규;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85-390
    • /
    • 2011
  • 맹출에 관계되는 여러 요소가 부정적으로 작용할 때 맹출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맹출장애의 일종인 매복이 발생할 경우 주기적인 관찰, 공간확보, 외과적노출, 교정적견인, 외과적노출과 교정적견인의 병행, 발거 후 자가치아이식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증례는 9세 남환에서 상악 좌측 측절치의 수평매복을 발견하여 상악 좌측 유측절치 및 유견치를 발거 후 5개월 뒤 개창술(window opening)을 시행한 증례로, 8개월의 정기검진시 치아가 부분맹출 하였으며 18개월 후 매복된 상악 좌측 측절치가 치축이 개선되며 자발적으로 맹출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10세 남환에서 상악 우측 제1소구치의 이소매복을 발견하여 상악 우측 제 1 유구치를 발거한 증례로, 10개월 뒤 치아가 부분맹출하였으며 19개월 후 매복된 상악 우측 제1소구치가 자발적으로 맹출하였다. 본 증례들에서 이소매복된 영구치는 맹출경로에 있는 유치의 의도적 발거 후 경과관찰을 한 결과 맹출 위치의 개선 및 자발적 맹출이 유도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난관불임술후 발생된 임신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Incidental Pregnancies following Tubal Sterilization Surgery)

  • 서병희;이재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0권2호
    • /
    • pp.13-23
    • /
    • 1983
  • In recent days, family planning is not only a problem limitted to our country but an important problem for the while world to solve. Up to present, various methods of sterilization have been developed for population control. When a patient with a previous tubal sterilization by operative method develops any symptoms and signs of pregnancy, we strongly consider it ectopic pregnancy and intrauterine pregnancy. As the cause of sterilization failure, we think that the tubal loop sloughs away and tubal ends either unite and recanalization results or heal and failure of union results in fistula. This present study considered of the 34 cases of ectopic pregnancies and 2 cases of intrauterine pregnancies after tubal sterilization by laparoscopy and Pomeroy's method, at the Dept. of Gynecol. in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6 years from Jan. 1977 to Dec. 1982. Authors take result in this study retrospectively. 1. Mean age was 33.7 years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31.5 years for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2. The number of mean gravida and parity at the sterilization was 4.9, 2.8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4.2, 2.2 for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respectively. 3. The number of mean artificial abortion at the sterilization was all 2.2 for the laparoscopic and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s. 4. Mean intervals from the tubal surgery to the incidental pregnancy was 3.2 years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and 3.8 years for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5. 63.3% of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had problem of inadequate tubal ligation, in comparison to having no inadequate problem in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6. The previous tubal sterilized scar was found to be 6 cases (17.6%) of inner portion, 15 cases (44.4%) of midportion, 13 cases (38.2%) of outer portion at the time of operation. The tubal site of ectopic pregnancy was found to be 23 cases (67.6%) of ampullary portion,S cases ( 4.7%) of isthmic and fimbrial portion, respectively. 7. The causes of table sterilization failure were, in order of frequency, technical error (19 cases), fistula formation (6 cases) and recanalization (5 cases)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and fistula formation (2 cases), technical error (l case), recanalization (l case) fo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8. As the new applicated contraceptive method in incidental pregnant patient, Authors used 2 gravigard insertion for the two intrauterine pregnancy and 34 Pomeroys' tubal ligation, 2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due to associate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for the 36 tubal pregnancy.

  • PDF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ρ-fluorophenylalanin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의 Bcl-2 및 Bcl-xL에 의한 저해 기전 (Ectopic expression of Bcl-2 or Bcl-xL suppresses p-fluorophenylalanine-induced apoptosis through blocking mitochondria-dependent caspase cascade in human Jurkat T cells)

  • 한규현;오현지;전도연;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8-127
    • /
    • 2003
  • Phenylalanine의 구조유사체인 p-fluotophenylalanine (FPA)은 인체 급성백혈병세포주인 Jurkat T 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FPA에 의한 세포자살에 미치는 Bcl-2 또는 Bcl-xL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Bcl-2 또는 Bcl-xL을 stable transfection하거나 empty vectors만을 Transfection한 Jurkat 세포를 이용하여 FPA의 세포독성과 FPA에 의한 세포내 세포자살 신호전달경로를 비교 분석하였다. Jurkt T 세포에 0.63∼3.0 mLf의 FPA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생육도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자살관련 DNA fragmentation, caspase-8 activatoin, Bid cleavage, mitochondria로 부터의 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3 activation, PARP degradation 등이 유도되었다. 한편, FPA에 의해 유도되는 이러한 일련의 생화학적 현상들은 Bcl-2 또는 Bcl-xL의 overexpression에 의해 현저히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caspase-8 activation, Bid cleavage, mitochondnal cytochrome c 방출에 의해 활성화되는 casuase cascade 등의 현상이, Bcl-2 또는 Bcl-xL에 의해 억제됨을 나타내며 FP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에 필요한 과정임을 시사한다.

자궁내막증 환자와 정상 여성의 자궁내막에서 Pleiotrophin (PTN)과 Midkine (MK) mRNA 발현 차이에 관한 연구 (Endometrium from Women with Endometriosis Expresses Increased Levels of Pleiotrophin (PTN) and Midkine (MK) mRNA Compared to Normal Endometrium)

  • 정혜원;허성은;문혜성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01-108
    • /
    • 2000
  • 자궁내막증은 흔한 부인과적 질병이며 여성 불임의 한 원인이 되나 그 발생 원인에 대하여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최근 월경혈의 역류에 의하여 자궁내막증이 생긴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한데 자궁내막증 환자가 정상여성에서보다 역류되는 월경혈의 양이 많거나 침습성이 강한 것이 자궁내막증의 발생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론들이 소개되었다. Pleitrophin (PTN)이나 midkine(MK)은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는 인자로서 여러 종류의 악성 종양에서 그 발현이 보고되어있으며 종양화 (carcinogenensis), 맥관형성 (angiogenesis), plasminogen activator의 활성화 증가 등에 관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 내막과 대조군의 자궁내막에서 PTN과 MK mRNA의 발현의 차이를 quantitative competitive RT PCR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의 황체기 자궁내막에서 대조군의 자궁내막에 비하여 PTN과 MK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PTN과 MK의 발현의 증가로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이 복강 내에서 더욱 쉽게 맥관형성을 하고 성장이 촉진되어 자궁내막증이 발생될 것으로 생각되어 PTN과 MK가 자궁내막증의 초기 발생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 PDF

Regul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phenotype by cross-regulation of krüppel-like factors

  • Ha, Jung Min;Yun, Sung Ji;Jin, Seo Yeon;Lee, Hye Sun;Kim, Sun Ja;Shin, Hwa Kyoung;Bae, Sun Si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1호
    • /
    • pp.37-44
    • /
    • 2017
  • Regul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henotype plays an essential role in many cardiovascular diseases. In the present study, we provide evidence that $kr{\ddot{u}}ppel$-like factor 8 (KLF8) is essential for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induced phenotypic conversion of VSMC obtained from thoracic aorta from 4-week-old SD rats. Stimulation of the contractile phenotype of VSMCs with $TNF{\alpha}$ significantly reduced the VSMC marker gene expression and KLF8. The gene expression of KLF8 was blocked by $TNF{\alpha}$ stimulation in an ERK-dependent manner. The promoter region of KLF8 contained putative Sp1, KLF4, and $NF{\kappa}B$ binding sites. Myocardin significantly enhanced the promoter activity of KLF4 and KLF8. The ectopic expression of KLF4 strongly enhanced the promoter activity of KLF8. Moreover, silencing of Akt1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promoter activity of KLF8; conversely, the overexpression of Akt1 significantly enhanced the promoter activity of KLF8. The promoter activity of SMA, $SM22{\alpha}$, and KLF8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contractile phenotype of VSMCs. The ectopic expression of KLF8 markedly enhanced the expression of SMA and $SM22{\alpha}$ concomitant with morphological changes. The overexpression of KLF8 stimulated the promoter activity of SMA. Stimulation of VSMCs with $TNF{\alpha}$ enhanced the expression of KLF5, and the promoter activity of KLF5 was markedly suppressed by KLF8 ectopic expression. Finally, the overexpression of KLF5 suppressed the promoter activity of SMA and $SM22{\alpha}$, thereby reduced the contractility in response to the stimulation of angiotensin II.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oss-regulation of KLF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VSMC phenotype.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기생충 감염양상 (Status of parasitic infection diagnosed by surgical biopsy in Kwangju and Chollanam-do)

  • 김진;정우식;조규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93-100
    • /
    • 1994
  • 조직학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인체 기생충증의 종류 및 감염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1980년부터 1989년까지 10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병리과에 통상적인 조직검사가 의뢰된 80,947례 중 기생충 감염으로 진단된 149례(0.18%)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기생충증은 낭미충증 112례. 례흡충증 17례. 간흡충증 7례. 아메바증 4례. 간질증 스파르가눔증. 요충증 및 아니사키스증 각각 1례 등이었다. 낭미충증은 여성에서 약간 많았으며. 연령별 감염빈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주로 침범하는 부위는 피하조직 및 골격근이었다. 절편상에서 충체가 확인된 94례의 낭미충증은 형태적인 보존정도로 보아 19례(20.2%)에서는 거의 변성이 없었고, 중등 도변성 38례(40.4%). 고도변성 37례(39.4%)를 보였다 폐에 기생한 2례를 제외한 15례의 이소기생 폐흡충은 복강(8례)과 중추신경계(7례)에 분포하였고, 20대 및 30대에서 가장 호발하였으며. 남성에서의 감염이 73.3%로 많았다. 담관내 간질증은 국내 13번째 인체감염례에 해당된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되는 기생충증의 빈도는 연도가 경과할수록 점차 감소하고 있었으나, 낭미충증과 이소기생 폐흡충증에서는 생검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는 진단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의 자궁외 임신 증례 (Extracuterine Pregnancy in a Bitch)

  • 김휘율;한규보;김현수;김종성;임희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5-278
    • /
    • 2000
  • A 3-year-old yorkshire terrier was examined because of the green-like vaginal discharge. Abdominal ultrasonographs revealed dead fetuses in the abdominal cavity. Surgical exploration revealed fetuse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uterine wall, the omentum, the ileum, and the upper right side of the liver respectively. Fetal structures were removed and an ovariohysterectomy was performed. The abdominal cavity was flushed with warm saline and then the incision closed. These fetuses were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fetuses apparently continued in extrauterine pregnancy until the blood supply became inadquate for further growth.

  • PDF

이소갑상선의 신티그라피진단 (Scintigraphic Diagnosis of Ectopic Thyroid Glang)

  • 이선화;최우석;임재훈;김진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79
    • /
    • 1988
  • 이소갑상선은 태생기 갑상선이동의 이상으로 발생되며 갑상선의 기능저하 및 형성부전을 흔히 동반한다. 저자들은 갑상선신티그라피로 이소갑상선이 진단된 일차성 갑상선 기능저하증 4예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