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mycorrhiza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송이와 소나무간의 공생관계(共生關係)에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시(時)-공간적(空間的) 구조변화(構造變化) (Spatiotemporal change in ectomycorrhizal structure between Tricholoma matsutake and Pinus densiflora symbiosis)

  • 구창덕;김재수;박재인;가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89-396
    • /
    • 2000
  • 송이(Tricholoma matsutake, Songyi, pine mushroom)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뿌리에 공생(共生)하는가, 아니면 기생(寄生)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자연산 송이 균환(菌環) 내에서 균환선단, 송이발생지점, 균환 후단으로 구분하여 채집한 송이 균근(菌根)의 시간적-공간적 구조변화를 조사하였다. 송이는 소나무의 가장 가는 뿌리에 균투와 하티그 망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외생균근(外生菌根)이다. 송이 균근(菌根)의 중요한 특징(特徵)은, 공간적으로는 소나무 뿌리의 정단부가 계속 생장함에 따라 송이 균근(菌根) 또한 왕성하게 정단부로 자라나간다. 그리고 시간적으로는 이미 형성된 균근(菌根)부분에서는 표피세포와 피층세포가 하티그 망과 함께 사멸하므로 뿌리표면이 흑갈색으로 주름이 진다. 그렇지만 송이균이 피층세포 내로 들어간 흔적은 없으며, 내피세포층 이상의 안쪽, 즉 뿌리의 통도조직으로 침입하여 들어간 흔적이 없이 정단분열조직은 살아있다. 이 정단부는 송이균이 사라지면서 들어오는 새로운 균과 균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송이와 소나무의 관계는 단순한 공생(共生)이나 기생(寄生)이기 보다는 시간(時間)과 공간적(空間的)으로 공생(共生) 지점이 뿌리의 생장과 함께 옮겨가는 다이내믹한 외생균근(外生菌根) 공생(共生)관계라고 결론 짓는다.

  • PDF

수분 스트레스가 루브라오리나무 묘목의 균근발달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Stress on Ectomycorrhizal Development and Growth of Alnus rubra Seedlings)

  • 구창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2-309
    • /
    • 2001
  • 수분 스트레스가 루브라오리나무(Alnus rubra) 묘목의 균근(Alpova diplophloeus) 발달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일 주기의 수분 스트레스를 10주 동안 처리한 결과 A. diplophloeus 균근의 형성, 묘목의 생리활동 및 생장이 감소하였다. A. diplophloeus 균근균이 접종된 묘목과 접종되지 않은 묘목은 수분 스트레스에 관계없이 생리활동이나 생장에서 차이가 없었다. 질소고정활동은 탄소동화작용보다 수분스트레스에 덜 민감하였다. 이 결과는 수분스트레스 상태에서 A. diplophloeus 균근은 오리나무의 적응도(fitness)에 기여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 PDF

Temporal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and Pollen as a Seasonal Nutrient Source in a Boreal Forest, Canada

  • Lee, Eun-J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69-173
    • /
    • 2000
  • Seasonal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associations in various types of forest in a boreal forest in Manitoba. Canada was investigated. Alsohe relationship between ectomycorrhizal growth and pine pollen nutrients was examined. In four different forest stands, ectomycorrhizas tended to be lower in the spring than in the summer and fall samples. In addition. a mature jack pine (Pinus banksiana) stand showed higher mycorrhizal activities than a young jack pine stand. Growth of Suillus brevipes hyphae wa ts stimulated by additions of pollen representing mean pollen deposition in Mistik Creek study area after 30 and 70 days of growth with dextrose availabil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eak ectomycorrhizal activity is followed by pollen deposition in the study region and therefore, addition of pine and spruce pollen in early or middle of June in the boreal forest can be an important seasonal nutrient source for ectomycorrhizal growth.

  • PDF

Ectomycorrhizal Fungal Communitie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Disturbed Sites and Undisturbed Old Forest Sites

  • Lee, Eun-Hwa;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77-81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ectomycorrhizal (ECM) fungal communities between disturbed sites and undisturbed old forest sites. ECM root tips of Pinus densiflora were collected from 4 sites disturbed by human activities and 3 undisturbed old forest sites adjacent to the disturbed sites.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ECM root tips, species diversity, and number of spec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sturbed sites than in the undisturbed sites, suggesting that the ECM fungal community structure was affected by the degree of disturbance.

송이 외생균근(外生菌根)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Ectomycorrhiza)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16-20
    • /
    • 2005
  • 송이균근은 형태적으로 매우 특이한 외생균근이다. 즉 송이균근은 Y자형이 아닌 빗자루형이며, 균사는 매우 밝은 흰색을 띠고, 메마른 경우 물에 쉽게 젖지 않는다. 송이균근이 왜 이런 특정을 갖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를 관찰하였다. 송이균근의 정단부에는 균사충이 발달하지 않았고 균근 부위 중에서 균사충이 잘 발달된 부위에서는 Hartig 망이 1-2층 발달하였으나, 세포내부로 침입하여 들어간 균사는 없었다. 그러나 뿌리 외부의 균사충이 덜 발달한 부분에서는 표피세포나 피층세포층에서 Hartig 망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들 세포의 내부에서는 약 $2{\mu}m$ 크기의 반원형 알갱이 형태인 전분체가 세포벽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었다. 송이균사표면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작은 알갱이로 덮혀있기 때문에 매우 밝은 흰색을 띠며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잘 젖지 않는 현상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송이균사의 세포벽은 매우 얇은 단순한 막질이고, 연결꺽쇄(clamp connection)는 없었다. 송이균근의 정단부에 균사충이 없기 때문에 Y자형으로 갈라지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균근이 가지를 많이치는 것은 송이균근이 소나무뿌리로부터 탄수화물을 받는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송이균사의 세포벽이 매우 얇은 것은 세포벽의 신축성이 커서 주기적인 토양건조에 따라 수분포텐셜을 잘 조절하여 원형질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생존전략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거친 균사 표면은 균사가 물에 느리게 젖게 함으로써 삼투포텐셜이 매우 낮았던 균사가 수분을 갑자기 많이 흡수하는 것을 막는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송이균근은 정단부에서 균사충이 발달하지 않으므로 Y자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균사표면의 거친 입자는 흰색을 더욱 밝게하면서 잘 젖지 않도록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산 외생균근균의 배양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ctomycorrhizal Fungi)

  • 전성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2
    • /
    • 2015
  • 균근성 버섯은 나무의 뿌리에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공생균류로서 인류에게 맛있는 버섯을 제공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이러한 균근성 버섯류의 인공재배뿐만 아니라 이들의 순수분리 배양과 보존, 기초 배양 특성 조사등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총설은 국립산림과학원에 보존된 많은 균근성 버섯들의 배양특성을 소개한 것으로 차후 균근성 버섯을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이 유용한 산림자원을 발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본 정보가 되길 바란다.

외생균근(外生菌根)이 수분결핍(水分缺乏)된 루브라 오리나무 묘목(苗木)의 생리활동(生理活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Ectomycorrhizal Effect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Stressed Nodulated Alnus rubra Seedlings)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13-521
    • /
    • 2000
  • 루브라 오리나무 (Alnus rubra Bong.) 묘목에 질소고정균, Frankia를 접종하고, 이 묘목의 반을 외생균근균, Alplva diplophloeus 포자로 접종하여 인공생장상에서 16주 동안 길렀다. 그 결과, 외생균근 형성묘는 비균근묘보다 직경생장, 칠고정뿌리혹 형성 그리고 지상부 생체량에서 6~16% 더 켰다. 이들 묘목에 대하여 30시간 동안 수분결핍 처리를 하여 균근이 루브라 오리나무의 수분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수분 결핍동안 균근은 잎의 수분 포텐셜, 광합성, 그리고 질소고정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외생균근균 A. diplophloeus는 수분이 부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루브라오리나무 묘목의 생장을 촉진시키지만 수분결핍 상태에서는 생리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

  • PDF

땅찌만가닥버섯균(菌)의 접종(接種)이 참싸리 묘목(苗木)의 균근형성(菌根形成)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yophyllum shimeji Inoculation on the Mycorrhizal Form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espedeza cyrtobortya)

  • 이상용;정주해;이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46-152
    • /
    • 2005
  • 훼손된 비탈면의 조림에 균근균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의 배양학적 특성 및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L. shimeji는 MP (1% malt extract, 0.1% peptone, 1% glucose, 1.5% agar)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사 최적 배양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 및 pH 6 이었다.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L. shimeji는 Hartig net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균근 접종 실생 묘목 뿌리의 생장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균근 접종 실생 묘목을 비탈면에 이식하였을 때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62% 및 850 mg/본 이었으나,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실생 묘목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11% 및 430 mg/본 이었다.

Soil Water Monitoring in Below-Ground Ectomycorrhizal Colony of Tricholoma Matsutake

  • Koo, Chang-Duck;Kim, Je-Su;Lee, Sang-Hee;Park, Jae-In;Kwang- Tae Ahn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3
    • /
    • 2003
  • Water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richoloma matsutake(Tm) growth because it is the major component of the mushroom by over 90%. The mushroom absorbs water through the below ground hyphal colony. Therefore, the objectives of our study were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water changes in Tm colon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m fruiting sites in Sogni Mt National Park, where the below-ground mushroom colonies have been irrigated. To identify spatial water status within the Tm soil colony soil moisture and ergosterol content were measured at six positions including a mushroom fruiting position on the line of the colony radius. To investigate temporal soil moisture changes in the soil colony, Time Domain Reflectometry(TDR) sensors were established at the non-colony and colony front edge, and water data were recorded with CR10X data logger from late August to late October. Before irrigation, whereas it was 12.8% at non-colony, the soil water content within Tm colony was 8.0% at 0-5cm from the colony front edge, 6.2% at 10-15cm and 6.5-7.5% at 20-40cm. And the content was 12.1% at 80cm distance from the colony edge, which is similar to that at the non-colony. In contrast, ergosterol conten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live hyphal biomass was only 0.4${\mu}g$/g fresh soil at the uncolonized soil, while 4.9 $\mu\textrm{g}$/g fresh soil at the front edge where the hyphae actively grow, and 3.8 ${\mu}g$/g fresh soil at the fruiting position, l.1${\mu}g$/g at 20cm distance and 0.4${\mu}g$/g in the 40cm rear area. Generally, in the Tm fungal colony the water content changes were reversed to the ergosterol content changes. While the site was watered during August to October, the soil water contents were 13.5∼23.0% within the fungal colony, whereas it was 14.5∼26.0% at the non-colony. That is, soil water content in the colony was lower by 1.0∼3.0% than that in the non-colonized soil. Our results show that Tm colony consumes more soil water than other parts. Especially the front 30cm within the hyphal colony parts is more critical for soil water absor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