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toxicity index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Evaluating Ecotoxicity of Surface Water and Soil Adjacent to Abandoned Metal Mines with Daphnia magna and Eisenia fetida

  • Kim, Dae-Bok;Choi, Won-Suk;Hong, Young-Kyu;Kim, Soon-Oh;Lee, Sang-Woo;Lee, Byung-Tae;Lee, Sang-Hwan;Park, Mi-Jung;Kim, Sung-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1-86
    • /
    • 2016
  • Heavy metal pollution in agricultural fields at the abandoned metal mines has been serious problems in Korea. In order to manage heavy metal pollution in surface water and soil, numerous remediation strategies have been established. Therefor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feasibility of ecological toxicity assessment for establishing management strategy in heavy metal polluted agricultural fields.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urface water and soil was monitored along with ecotoxicity experiment with Daphnia magna and Eisenia fetida. Result showed that high toxicity was observed in heavily polluted agricultural field with heavy metals. In case of mortality of Daphnia magna (85%) and Eisenia fetida (6.7%), the highest ratio was observed whe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urface and soil was high. Calculated ecotoxicity index (EI) ranged 0.06-0.30 and the highest EI was observed in heavily polluted sites among 5 abandoned metal mines. Overall, ecological toxicity assessment is necessary to evaluate heavy metal pollution in agricultural fields near at the abandoned metal mines along with chemical concentration analysis.

토양생태 위해성평가 제도 국내 도입방안 연구 (An Introductory Research for Development of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Korea)

  • 안윤주;김신웅;문종민;정승우;김록영;윤정기;김태승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48-355
    • /
    • 2017
  • 인간활동에 의한 토양오염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인체 및 생태 위해성평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생태계를 수용체로 하는 위해성평가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평가체계와 활용가능한 기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형 토양생태 위해성평가(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토양생태 위해성평가는 오염물질에 대한 생태계 보호수준을 의미하는 예측무영향농도 산출을 목적으로 하고, 토양생태 독성자료 수집 및 적합성 확인, 토양생태 독성자료 표준화, 생태독성자료 충족도 확인 및 예측무영향농도 산출, 생태위해도결정의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수집된 생태독성자료는 신뢰도지수에 따라 적합성을 먼저 확인하며, 필요기준(국내 서식종, 급 만성, 독성종말점, 토양특성 분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평가체계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예측무영향농도는 생태독성자료 수준에 따라 저신뢰, 중간신뢰, 그리고 고신뢰 수준 중 하나의 산출 기법을 이용하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생태 위해도를 결정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토양오염물질에 대한 생태위해성평가 지침 제정에 있어 기본 체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표수 및 방류수의 급·만성 생태독성평가 (Acute and Chronic Ecotoxicity Assessment of Ambient and Effluent Water Discharged to the Lake Shihwa)

  • 지경희;장신혜;김영숙;김은주;김지영;서은정;박윤석;박수정;최경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4-154
    • /
    • 2007
  •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ambient and effluent water discharged to Lake Shihwa were investigated by using Vibrio fischeri, Daphnia magna and Oryzias latipe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nine heavy metals in a total of 15 water samples were evaluated and were satisfied with relevant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KWQS) except for Hg in one sample. Acute toxicity was observed in five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sampling locations. When impacts on reproduction and growth after chronic exposure were evaluated with D. magna, all the samples showed significant chronic effects. Reproduction appeared relatively more sensitive endpoint. In 21 days chronic tests on O. latipes, survival, mean egg number per female per day, hatching success rate and time to hatch were affected by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The organ-level changes such as gonadosomatic index (GSI), and hepatosomatic index (HSI), and molecular biomarker of vitellogenin (Vtg) induction that evaluated with O. latipes increased as exposure concentrations increased. It is noteworthy that the samples that did not exceed the KWQS resulted in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numeric criteria based on physicochemical parameters may not be protective of aquatic ecosystem. Acute and chronic toxicity tests with organisms representing different trophic groups should be supplemented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leve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실시간 생태독성 평가를 위한 물벼룩 감시장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Daphnia magna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Ecotoxicity Assessment)

  • 이장훈;고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물벼룩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생태독성 기준 1 TU(Toxic Unit)에 해당하는 물벼룩 감시장치의 TI(Toxic Index)값을 설정하고 NOEC와 $EC_{50}$에서 물벼룩 감시장치를 운영하였을 때 적절히 경보가 발령되어 실시간 생태독성 평가가 가능한 지 타진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국 내외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선행연구를 하였고 인공 하천수를 대상으로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에서 권고하는 59개 유해물질 중 6개(As, Hg, Cr, Diazinon, Dioxane, Phenol) 물질을 채택하여 지수식과 유수식 그리고 정도관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NOEC 유수식 시험에서 Diazinon을 제외한 다른 물질들은 TI가 양호단계로 나타났고 $EC_{50}$ Spiking test에서 1 TU 이상과 1 TU 이하를 구분하여 TI는 TU에 상응하게 경보를 발령했다. 본 연구결과는 생태독성관리제도의 보완점을 생각하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하나의 메시지가 된다.

벼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농약(農藥)이 논의 Periphyton Community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Pesticides on Periphyton Community in Paddy field)

  • 노정구;이은호;박철원;이성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8-113
    • /
    • 1983
  • 환경독성학(環境毒性學)(ecotoxicology) 관점(觀點)에서의 연구분야(硏究分野)는 크게 bioassay의 평가기법(評價技法)과 ecosystem analysis를 위한 야외조사(野外調査)로 대별(大別)된다. 본 연구(硏究)는 현재 다량(多量) 사용(使用)되고 있는 제초제(除草劑)(butachlor), 살충제(殺蟲劑)(carbofuran), 살균제(殺菌劑)(tricyclazole)를 철포(撤布)한 논에서의 periphyton에 대한 농약(農藥)의 영향(影響)을 평가(評價)하였다. 1) Periphyton 중(中) 기초생산자(基礎生産者)인 algae의 chlorophyll-a 함량(含量)은 벼 생육기간(生育期間)동안 $0.0007{\sim}0.0091g/^2$를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농약(農藥)에 의한 chlorophyll-a 함량(含量)의 영향(影響)은 없었으며 수온(水溫)과 일조량(日照量)에 따른 변화(變化)를 나타내었다. 2) 생체량(生體量)(dry and ash-free weight)은 $0.0535{\sim}2.9850g/^2$로 biomass 역시 수온변화(水溫變化)에 따른 영향(影響)으로 사료(思料)된다. 3) Autotrophic index는 $43{\sim}2027$의 값을 나타내었다. 논에서 형성(形成)되는 periphytic community는 대부분 heterotrophic 조건(條件)을 갖는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이것은 biomass 구성체(構成體)가 기초생산자(基礎生産者)보다는 유기물질(有機物質)과 소비자(消費者)가 많은 trophic nature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볼 때 논에서 사용(使用)하고 있는 제초제(除草劑)를 비롯한 살충제(殺蟲劑), 살균제(殺菌劑)등의 농약(農藥)은 논토양의 부착성 조류(藻類)의 생육(生育) 및 biomass에 큰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그러나 본(本) 실험(實驗)은 한정(限定)된 지역에서 1년간(年間)이라는 단기간의 조사 기간동안 실시된 것이고, 또한 실험실적(實驗室的)으로 bioassay 기법에 의한 algae의 영향(影響)을 평가(評價)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의 결과(結果)만으로 어떤 사실을 단정하기 곤란하므로 이 연구(硏究)를 바탕으로 하여 생태계내(生態系內) 1차 생산자인 조류(藻類)에 대한 농약(農藥)의 영향(影響)을 광범위하며, 깊이 있는 연구(硏究)와 자료축적(資料蓄積)으로 환경독성학(環境毒性學) 분야(分野)를 발전(發展)시켜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