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Services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2초

탄천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통한 생태계서비스의 트레이드오프 관계 고찰 (A Study of Ecosystem Services Trade-off based on user Perception in Tancheon)

  • 김무한;최정권;박재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0
    • /
    • 2018
  • Since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Report was published in 2005, the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has turned to paying attention to value assessments in rational decision-making.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has been recognized as a viable one for making significant decisions. However, a trade-off between increase and decrease occurs between the ecosystem services sub-categories (cultural service, regulating service, supporting service, and provisioning service), for which research centering on target sites is needed.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ategories to search for reasonable decision-making strategies. As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SoIVES(Social Value for Ecosystem Services) 3.0 questionnaire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e economic value, based on the derived monetary value of each service category, the economic value of the target site was compared among landscape aesthetic value 8,050,000 won, recreation value 6,750,000 won, biodiversity value 4,610,000 won, healing value 3,970,000 won, life-sustaining value 2,090,000 won, and productive value 220,000 won. And then the primarily recognized value criteria of the Tancheon ecosystem services illustrate landscape aesthetic and recreation value. Besides, this study illustrates visualized trade-off relationships based on user perception, and the derived relations illustrate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service, regulating service, supporting service, and provisioning service,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sub-categories.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활용한 예비타당성조사 편익분석 개선 방향 연구 - 장항습지복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the Estimation of Social Benefits Using the Economic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 Focused on the Case of Janghang Wetland Restoration Project -)

  • 오치옥;주우영;박창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3-50
    • /
    • 2023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cosystem service valuation method as a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too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typically used to assess social benefits in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natural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projects, we assessed social benefits with theses CVM and ecosystem service valuation method from a case of Janghang wetland restoration project and compared the extent of the two social benefit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the biophysical quantity for each ecosystem service indicator was calculated and then converted into currency (KRW) unit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ecosystem services. The four ecosystem regulating service indicators were selected including greenhouse gas capture/storage, air pollution, water quantity and quality regulation. The amounts of CO2 sequestration and storage as a ecosystem's greenhouse gas regulating service in the study area were 73.04 tCO2/yr and 5,867.53 tCO2/yr respectively. The reduction of SO2, one of air pollutant gases by ecosystems was calculated to be 180.27 kg/yr, the reduction of NO2 to be 378.90 kg/yr, and the reduction of fine dust (PM10) to be 9,713.92 kg/yr. The amount of freshwater regulating service by the ecosystem was estimated to be 459,394,319ℓ/yr, and the amount of nitrogen in freshwater removed by the ecosystem was 78.00kg/yr. Study results show that the benefits derived from the CVM were KRW 227.8 billion over the 30-year analysis period and those from the ecosystem service valuation method were KRW 41.4 billion for regulatory services and KRW 148.8 billion for cultural services, totaling KRW 189.5 billion. With KRW 184.8 billion of the total costs, the benefit/cost ratio using the CVM was 1.23 and that with the ecosystem service valuation method was 1.03. This study implications include that the CVM and ecosystem service valu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gether to assess and compare social benefits for natural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projects.

생태계 서비스 가치의 제도화 (Institutionalization o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 황은주;전재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7-343
    • /
    • 2017
  • 본 연구는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규정한 생태계서비스 활성화를 지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동안 우리는 자연생태계가 인류에게 제공하는 편익, 즉 생태계서비스(자연혜택)를 무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재화로 간주하였으나 도시의 팽창과 개발의 가속화로 인한 자연환경용량이 침해되면서 서비스 기능이 저하되자 이를 인위적으로 복원 증진시키려는 노력들이 경주되었다.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연자본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소유자가 자연자본을 유지 보전하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기회비용의 보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를 누리는 소비자(수요자)들이 이 서비스를 공급하는 토지소유자 관리자나 지역주민들과 자연자원으로부터 비롯하는 혜택을 공유하고 이러한 공유를 환경보전과 연동시키는 체계 즉,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는 현행 환경법제가 생태계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공정한 거래와 수요자들 사이의 공평한 향유를 실현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생태계서비스를 규율하는 현행 법제가 안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개발계획에서 생태계서비스의 가치가 적정하게 반영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법제에서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정부 부문과 민간 부문에서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가 나름대로 가능하다. 특히 계약에 의한 서비스 거래는 개발계획과 관계없이 운용될 수도 있다.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에서 남은 과제는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어떠한 절차에 따라 서비스 가치를 계량화할 것인가의 여부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자면, 환경영향평가 절차에서 개발로 인한 생태계서비스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환경영향평가법이 아닌 시행령의 개정을 통하여서도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통합이 가능하다.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북부베트남의 우선보전산림 설정 (Establishment of Priority Forest Areas Based on Hydrological Ecosystem Services in Northern Vietnam)

  • 공인혜;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9-41
    • /
    • 2014
  • 최근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정량화하고, 경제적 보상을 통해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서비스 직불제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PES를 정책에 반영시키는 것은 생태계 보전과 빈곤경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지면서,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 중, 베트남은 선구적으로 PES를 범국가적인 법 제정을 통해 시행하고 있으나, 공간적 정량화를 통한 광범위한 생태계 서비스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부 베트남에서 수도 하노이를 흐르는 홍강(Red River)의 상류인 Da 강 유역을 중심으로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를 평가를 통해 우선보전산림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우선 평가를 위해 기본적인 최신의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고자 Landsat영상을 통해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의 수자원공급 및 토사 유실량 방지의 수문학적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이론 및 USLE 공식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서비스량을 산림지역에 한정하여 서비스공급 우위지역을 도출함으로써 우선보전 산림지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림지역 내에서도 지형, 기후, 토지피복에 따라 생태계서비스공급량의 범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 공급우위지역은 푸롱산(Mt. Phu Luong), 판시판산(Mt.Fanxipan), 호앙리엔 국립공원(Hoang Lien National Park)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Da 강 유역에서 생태계 서비스 보전을 위한 우선 지역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느 지역의 토지소유주가 더 보상받아야 하는지를 판별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상공유(Benefit Sharing)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전남 신안군의 토지이용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지속가능한 활용방안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based on Land Use in Shinangun, Jeonnam, Korea)

  • 김재은
    • 생태와환경
    • /
    • 제47권3호
    • /
    • pp.202-213
    • /
    • 2014
  • 전라남도는 우리나라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섬과 갯벌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신안군은 가장 많은 섬 개수와 넓은 갯벌을 차지하고 있다. 신안군은 2개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 1,000여개의 유 무인도 섬들이 산재해 있다. 섬과 갯벌이라는 독특한 생태계 특성을 가진 신안군의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Costanza et al. (1997)의 생물군계에 의해 계산하였다. 신안군은 갯벌이 가장 높은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섬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고 특히 압해읍과 지도읍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증도면의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군내에서는 면적이 11위에 해당하지만 생태계서비스 가치는 전체에서 4위를 나타내었다. 현재까지의 연구 상황으로는 정확하게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계산하는 것이 어렵지만 대략의 가치라도 측정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신안군 전체의 생태계 서비스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잘 보전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갯벌이라는 독특한 생태계를 잘 보전하고 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신안군 발전계획 등의 정책결정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Paradigm Shift in Policy of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in Korea)

  • 박용하;양재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3호
    • /
    • pp.10-26
    • /
    • 2018
  • This paper reviews the soil conservation policies (SCP) in the global community and suggests the improved options in SCP in Korea.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Korea states soil is a valuable natural resource and it's value should be enhanced to provide the benefits that soil ecosystem can offer to people. However, SCP in Korea limits its application to not only the scope of soil environment but also the issues on soil pollution. The SCPs in the advanced countries have shifted their scopes from soil environment to soil ecosystem, put emphasis on the conservation of soil health rather than soil quality, and set the goals to optimize the soil ecosystem services to people while minimizing the soil threats. In this context, the soil security initiative was recently proposed to accomplish this goal while employing the nexus concept to bridge the soil ecosystem services with water, atmosphere, climate and biodiversity. Therefore, the key policies in soil conservation in Korea should expand the scope from soil environment to soil ecosystem, focus on soil health management, and develop the holistic governance among diverse stakeholder to maximize the soil ecosystem services. Soil ecosystem should be secured by national soil policies for human health.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주요 속성 연구 (Platform Based of The Major Attribute Research for The Service Ecosystem Construction)

  • 권혁인;나윤빈;박종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1-472
    • /
    • 2013
  • Today, In the Service Industry are more getting a lot of convergence of IT utilization. And global IT companies are strengthening that platform based Services Ecosystems. These business in the field, Ecosystem Competitive strategy is difficult to imitate. And this strategy is generated organic Business Model that a by Competitive-Predominance to brings. In addition, the added value of the Service Industry is taken, a new type of job creation by the ripple-effect is huge. However, existing the Ecosystem Theory of Business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use. Thus, Ecosystem Construction conditions is very difficult. This study is try to successful Platform Case's Analysis such as Apple, Google, Amazon, eBay's. These Ecosystems is that want to know the Major attributes. At first, would be analyzing to previous research, the Service and Knowledge Services' major attributes and Ecosystem studies' major attributes to grasp. Then, from a Group of Experts is to assess the importance. Finally, according to each Platform, examined the Correlation of Major Attributes.

국가산림정보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및 생태서비스 가치평가 연구 (Valuation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 정다정;강경호;허준;손민수;김홍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15-625
    • /
    • 2011
  • As United Nation (UN) declared 2010 to be the International Year of Biodiversity, the biodiversity issue has gained much attention since the issue of climate changes. Also, related researches for protecting and conserving the biodiversity are accompanied in the world. In this study, National Ecology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Forest Service and is utilized to valuat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Pyeongchang, Kangwon-do in Korea. For this, they are categorized into direct- or indirect-use value and nonuse valu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Pyeongchang are assessed as 2 trillion and 460 billion won. From this research, we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and also suggest the possibility to utilize them as basic information for a decision making to establish the biodiversity protection plan.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산림 유형 분류 방안 - 임상도와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est Classification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Forest Type Map and Landcover Map -)

  • 전성우;김재욱;정휘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39
    • /
    • 2013
  • Some researcher started studies of natural capital from 1980's. But many researches are going along with the theme lately. Most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are approaching a general assessment using a land-cover map. Therefore they have some problems such as overestimate, underestimate, and double counting, and so on. This study suggested a detailed typology for quantitative assessment about ecosystem services. It compared land-cover map and forest type map to select a based map and made criteria with reference to the literature and field survey. It subdivided a forest typology using ecological feature (natural forest, artifical forest), forest type (coniferous forest, mixed forest, hardwood forest) and age of stand in forest type map. Each forest type is widely distributed 21~40 ages of forests and biggest area is 21~40 ages of mixed forest in all forest typology. Further researches have to progress consistently assessment using detailed typology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홍수조절 생태계 계정 도입을 위한 전국 단위 시범 평가 (Pilot Evalu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Ecosystem Accounting for Flood Control)

  • 이태호;문희진;천금성;김정인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88-502
    • /
    • 2023
  • 생태계서비스 계정은 생태계 공급 기능과 수요,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실제 서비스 흐름을 측정해야 한다. 흐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급과 수요 관계를 정의해야 하며, 복잡한 연결 관계를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생태계서비스 계정화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경제통합계정(SEEA)의 실험적 생태계계정(EEA)에서 연구된 EU 방법론을 적용하여 홍수조절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생태계 계정 도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생태계의 유출량 보유 잠재력, 홍수조절에 대한 사회·경제적 수요, 그리고 그 사이의 관계로부터 형성되는 실제 서비스 혜택 흐름을 공간 기반으로 모델링하고 정량화하였다. 홍수조절 생태계서비스 실제 흐름을 산정한 결과, 국내 전체 서비스량은 165,595ha로 산출되었으며 많은 부분이 농경지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국내 홍수조절 서비스 계정 정밀화 도입을 위해서는 토지피복도와 같은 핵심 공간자료가 지속해서 구축 관리되어야 하며, 국가, 지역, 유역 등 다양한 공간 범위에서 적용 가능한 입력자료 및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