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y Analysis

검색결과 3,325건 처리시간 0.029초

화석에너지와 CO2배출량 규제 하의 경제와 환경의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the Economy and Environment Efficiencies under the Regulation of Fossil Fuel and Carbon Dioxide Emission)

  • 강상목;조단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2권2호
    • /
    • pp.329-36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2009년 국가별로 환경과 화석에너지의 제약 하에서 경제와 환경의 효율을 측정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국가별 소득수준에 따른 OECD국가, 중고소득국가, 저소득국가 등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생산가능집합에서 바람직한 산출물인 GDP와 오염물을 동시에 포함한 '환경지향형, 경제지향형, 환경-경제지향형, Two-stage DEA모형' 등의 네 가지 방법을 제시하여 비교한다. OECD국가는 상대적으로 경제효율성이 높으나 환경효율성은 낮았고 비OECD국가는 환경효율성이 높고 경제효율성이 낮았다. 화석에너지와 온실가스의 저감의 여지는 OECD국가가 더 높았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S A TOOL OF STRATEGY FOR ENSURING THE HIGHER EDUCATION ADAPTABILITY TO THE DIGITAL ECONOMY CHALLENGES

  • Kholiavko, Nataliia;Popelo, Olha;Bazhenkov, Ievgen;Shaposhnykova, Iryna;Sheremet, Ole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187-195
    • /
    • 2021
  •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ocesses of the digital economy development is lea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Universities are forced to digitalize their own educational, research, international, marketing, finan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maintain a competitive position in the global market of educational service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study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o ensure its adaptability to modern challenges of digital economy. To achieve this goal, methods of content analysis, logical generalization, systematization and a structural-functional method are used. In the article, the authors substantiate the urgency of forming a holistic strategy to ensure the adap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o the challenges of digital economy. In the structure of this strategy, the information-technological block is singled out and described. The authors specified a set of positive synergetic effects from the introduction of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activities of universities. The main information threats to the digit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nd university systems from cyberattacks and fraudulent schemes are identified. In conclusion, the authors detail the measures for the strategy implementation to ensure the adap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o digital economy.

Mobilizing Informal Economic Sector to Uphold Urban Institutional Resilience: A Case Study of Rawalpindi, Pakistan

  • RIAZ, Tayyaba;WAHEED, Abdul;ALVI, Shahz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397-407
    • /
    • 2022
  • The informal economy is a large part of the urban economy. The informal economy accounts for about half of Pakistan's GDP. This research examined nine different areas of Rawalpindi's Central Business District's business sector (CBD). A survey of 404 respondents from 16 CBD marketplaces enabl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who works in the informal and formal economic sectors, how much they earn, their goals, perception of their job, and their degree of similarity to the rest of the working population. Furthermore, the statistics illustrate the pro-cyclical connections between the informal economic sector and the formal economy.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LR) technique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MLR results indicated the informal economic sector holds positive relation with earning members in a family, business expertise, average business sale, and negative relation with education level,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tax policies, household expense, and average investment in the business. From a resilience standpoint, governance is considered an intentional collective action to preserve a stable system condition. Hence, the current study recommends tax reforms and government institution reorganization to mobilize the informal sector and make effective institutional governance.

커피 공급망의 전통적 순환경제 vs 통합적 블록체인 기술 비교 연구 (Traditional Circular Economy vs Integrated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Coffee Supply Chain: A Comparative Study)

  • 초느에진랏 ;이구구 치세케디 에티엔;무함마드 필다우스;이경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64-267
    • /
    • 2023
  • The circular economy approach in the coffee supply chain promotes a more sustain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ocially responsible coffee industry. It aim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ffe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le ensuring the long-term viability of coffee farming communities and ecosystems. However, there are many challenges in the traditional circular economy coffee supply chain. Hence,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raditional circular economy coffee supply chain and its integration with blockchain. As a result, we display the benefits of incorpo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conventional circular economy framework of the coffee supply chain. Additionally, this integration promises to overcome the challenges in the traditional circular economy coffee supply chain.

R프로그래밍을 활용한 공유경제의 한국인 집단지성: 텍스트 마이닝 및 시계열 분석 (Korean Collective Intelligence in Sharing Economy Using R Programming: A Text Mi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Approach)

  • 김재원;윤유동;정유진;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51-16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창조경제 또는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라는 키워드에 관해 현대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대중적인 문화 및 사회적 인식, 즉 집단지성의 변화 추세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관점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최근 5년 간 사회 문화적 집단지성의 객관적이고 가시적인 연간 변화 및 패턴들을 발견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월드 와이드 웹에서 크롤링(crawling) 기법과 구글링(googling)을 통해 분석에 필요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축적된 상당한 양의 공유경제를 주제로 한 기존 문헌들의 시계열 웹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과적으로, 많은 양의 가공되지 않은 공유경제 키워드 관련 원 자료들은 R프로그래밍 분석을 통해 보다 의미 있는 가치 있는 '워드 클라우딩' 형태의 그래프나 그림으로 분석처리 되었다. 아직까지 시기적으로 공유경제에 관해 축적된 자료나 집단지성이 양적으로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식처리 관점에서 시계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선행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학 분야에서 공유경제 관련 시장분석과 소비자 행동학 관련 후속 연구들을 위해 1차 자료로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사회후생함수를 중심으로 한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egional Integrated Assessment Models of Climate and the Economy)

  • 황인창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1호
    • /
    • pp.27-60
    • /
    • 2016
  • 기후경제통합평가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of climate and the economy)은 기후변화에 관한 경제 분석과 정책제안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가 되어왔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들이 대부분 국가 또는 지역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인식 하에 국가 또는 지역에서의 기후변화 영향과 정책수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Regional integrated assessment model of climate and the economy)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사회후생함수를 중심으로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을 이론적으로 유형화했으며, RICE(Regional integrated climate-economy model) 모형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따른 국가별 기후변화정책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살펴보았다. 변화하는 국제 상황, 새롭게 드러나는 과학적 증거, 국내 여건 등을 모두 반영한 기후변화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은 이를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ICT 기반 공유경제 발전을 위한 학문적 노력에 대한 고찰: 국내외 MIS와 유관 분야의 학술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 (A Study on the Academic Efforts for the Progress of ICT-Based Sharing Economic: Using Meta-analysis in MIS and Other Related Fields)

  • 이중정;안재영;김행미;김우석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9-156
    • /
    • 2020
  • 공유경제가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경제체계로 인식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사회적인 인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공유경제가 아직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해외 경제 선진국과 같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신규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공유경제를 긍정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각 학문 분야에서 진행된 지난 10년간 공유경제 연구를 수집하여 학술적 관점에서 공유경제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 중에서 MIS 영역의 연구를 선별하여, 공유경제 내 MIS 영역 연구의 동향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공유경제와 MIS 연구의 연구 흐름을 확인하였고, 공유경제에서의 MIS 연구 중요도와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두 연구 간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도 도출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학문적 접점을 가진 공유경제가 인접 학문의 활발한 연구를 독려하고, 더 나아가 사회, 경제, 산업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한국에 자리매김하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국의 중남미 지역연구 네트워크와 중심성 및 무역과 경제에 대한 토픽 변동분석 (Network, Centrality, and Topic Analysis on Korea's Trade and Economy with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Area)

  • 이재득
    • 무역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89-20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paper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past 2000-2020 year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ain subject and direction of research in Korea's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area. As the research mythologies, this study uses the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several centrality analyses, and topic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empirical result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change the key words and centrality coefficients between 2000-2010 and 2011-2020 years. During 2011-2020 years,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changed from Neoliberalism and culture to policy education, and economy related words. The 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analyses appeared the higher frequency key words. However, the eigenvector centrality appeared very different from the order of frequency key words. The topic analysis shows that the culture, language, and Neoliberalism were the most important keywords during 2000-2010 years but economy, labor trade, industry, development became the most important keywords during 2011-2020 years in top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