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crisi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5초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학생의 환경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임만택;김곤
    • KIEAE Journal
    • /
    • 제1권2호
    • /
    • pp.37-45
    • /
    • 2001
  • As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has been emerged as an important problem threatening the survival of the manki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cognized as a great issue governing the destiny of the whole mankind as well as a national problem. Therefore, more active attitude playing a leading role of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is required, escaping from conventional passive position for the minimization of economic damages according to global environment regulations. This study evaluates the 150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es and attitudes of the seriousness, major policies and issues of environmental pollutions, extracts their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and practicable tasks for the 21st century and is to give the basic reference materials of environmental policy development.

  • PDF

생태마을 조성을 통한 농촌 어메니티 향상 방안 (Strategies to Improve Rural Amenity through Establishing Eco-village)

  • 반영운;정재호;백종인
    • 농촌계획
    • /
    • 제14권4호
    • /
    • pp.33-45
    • /
    • 2008
  • This study has intended to find strategies improving rural amenity through establishing eco-village. This research presented eco-village establishment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that current rural villages face, such as FTA farming crisis, aging, weakening of farming competitiveness. Thus, this study has set up ecological rural amenity strategies, based on the principles and cases of both eco-village development and rural amenity through suitability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ith survey analysis. This study has defined the eco-rural amenity and set up such categories as environment, history-culture, society, image, and economy.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this study has found the strategies to improve ecological rural amenity in accordance with categories.

녹색규범과 미래 복식디자인의 방향에 관한 연구 (A Positive Study on Green Imperative and Fashion Design)

  • 김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57-69
    • /
    • 1997
  • The environment and the ecologic balance of the earth had been destructed by both man and ecological catastrophes and are no longer sustainable. We have no future unless we conserve our natural resourses and make efforts to change our basic patterns of consuming, production and recycling. Our earth had been contaminated without our recognition. We became indifferent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even more we hve lost our interest completely. To overcome this period of crisis, the concept of 'green imperative'has emerged. Since design powerfully influences our lives and the environment for good or ill, those at the forefront of design to consumers and the end-users can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the people and planet through new awarenes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based design. The spiritual awareness of green design will enrich the work of design through lasting performance of continuty and will make the future work.

  • PDF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속 여성의 위기와, 돌봄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 기독교 교육학적 접근 (Crisis in Women during COVID-19 Pandemic and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on Care :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 이수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217-243
    • /
    • 2021
  • 본 연구는 유엔 사무총장이 "코로나 19는 여성의 얼굴을 한 위기이다" 라고 언급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가장 큰 위기와 고통, 어려움에 처한 여성들의 상황을 통계자료들와 학술연구결과들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 문화적, 심리 정서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이 문제들이 어떻게 "돌봄"에 관련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과 위기에 대한 교회의 한 대응으로서 "돌봄윤리"와 "돌봄목회"를 통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도모하였다. 교회의 "돌봄목회"는 교회내의 개인적 돌봄 뿐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 정치, 생태계적 이슈들에도 확장되며, 교회는 공공성을 가지고 재난과 관련된 이러한 이슈들에 응답하는 선교적 사명을 지닌다. 나아가 교육목회를 통해, 돌봄과 불평등에 대한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변화와 디아코니아, 교회공동체의 사랑의 돌봄이 격려되어야 할 것이다.

자치단체별 환경용량 비교를 위한 경상북도지역 생태발자국 추정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Footprint in Gyeongsangbuk-do for Comparison of Environmental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 강기래;김희채;김동필;오현경;조광진;신영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69-778
    • /
    • 2014
  •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도시의 확장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자연성의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선순환의 가장 큰 위협요소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의 위기는 인류의 위기를 동반할 것이라는 공통된 인식의 확장으로 세계 각국은 ESI, EPI, SDI 등 범 국가적인 환경지표 이외에 한 국가 단위나 지방자치단체 단위, 또는 개인단위의 환경소비량을 측정하여 각 지역 간의 비교, 또는 개인의 적정한 소비수준을 지표로서 나타내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경상북도지역 23개 지방자치단체별로 환경용량을 추정하고자 수행 되었다. EF지수의 추정 결과 경상북도지역민 1인당 생활에 필요한 EF지수값은 0.9534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생태수용력을 고려한 생태적자 분석에서 25.3%의 적자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경상북도지역 지방자치단체별 EF지수분석에서 EF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영덕군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울릉군이었다. 하지만 각 지역의 생태수용력을 고려한 생태적자분석에서 생태적자가 가장 심한 지역은 구미시이며 생태수용력이 가장 큰 지역은 영양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 추정된 환경용량은 각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별 생태수용력과 생태적자 규모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추정된 각 지방자치단체별 적정 환경용량은 환경의 보존과 적절한 개발의 규모를 제시해 주고 더 나아가서는 개발시설, 또는 보존지역의 위치를 선정할 경우 각 지방자치 단체 소속 구성원들을 설득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환경하에서의 효율적인 생태계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Ecological Policies under the Smart Phone Environment)

  • 김선배;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77-87
    • /
    • 2011
  • 어려운 세계 경제 여건 속에서도 스마트폰 산업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생태계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속적인 글로벌 경쟁력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관련된 생태계 변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정책을 구사해 나가야 한다. 미국,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 국이 새로운 스마트폰 생태계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한국도 실기하였음을 인정하고 과거 IT 강국 위상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변화하는 스마트폰 생태계 속에서 각광 받게 될 새로운 범주의 서비스나 제시하고 우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력에 더하여 어떠한 노력이 더 필요한가를 제시하였다. 본고가 앞으로 한국의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적절한 생태계 정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샌프란시스코 Yerba Buena Garden의 사회적 지속가능디자인 특성 (Socially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Yerba Buena Garden in San Francisco)

  • 이연숙;윤혜경
    • KIEAE Journal
    • /
    • 제8권3호
    • /
    • pp.61-68
    • /
    • 2008
  •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according to the rampant growth of industrialization not only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life-quality but also induced us to reconsider the contemporary issues such as crisis of echo system which made us aware of the values and significance of the system and sustainable environments. As sustainability has been recognized as the holistic concept, it has been highlighted a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studies with the present ecological perspective. Particularly, as the plan of urbanization in Korea which had been based on the deconstruction has been converted into the regeneration, economic and cultural regeneration is also demanded for the future plan besides material regeneration.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various attributes of socially sustainable designs in Yerba Buena Garden of San Francisco, USA which has been globally well known as a successful example of urban regeneration. By way of visit-and-observation of the place, the research for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07. Three researchers visited Yerba Buena Garden to observe and take photographs and to obtain relevant data and public documents in local public library. Socially sustainable design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such principles; social facilitation, permeability and accessibility, safely and emotional stability, softness and feminism, and child care convenience. Relevant data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to support and prove the above principl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effectively be utilized for Korean environment plan and design as a benchmarking guidelines against the crisis of degeneration and the aging society with the lowest birthrates in the world.

몰트만의 창조론과 기독교교육의 생태학적 통전성 고찰 (A Study on Moltmann's Creationism and the Ecological Integrity of Christian Education)

  • 이향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107-140
    • /
    • 2022
  • 본 연구는 생태학적 위기와 회복의 과제 앞에서 기독교교육의 역할을 몰트만의 창조론의 관점에서 재고한 글이다. 인류는 여러 차례의 산업혁명을 거치며 산업상의 획기적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그로 인해 생태계는 심한 몸살을 앓으며 이상 현상을 드러내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러한 생태계의 파괴와 고통에 대하여 기독교교육은 자연 세계를 향한 생태학적 감수성을 보다 통전적으로 접근하고 실제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몰트만은 오늘날 점증하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착취는 세계가 인간의 소유라는 인간 중심적 생태의식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그러면서 하나님 중심의 생태학적 세계의식으로 전환할 것을 제시한다. '창조공동체',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귐', '안식일을 통한 종말론적 새 창조'는 하나님 중심의 생태학적 세계의식을 집약해주는 주요 개념들이다. 이러한 몰트만의 창조론을 기초로 본 글은 기독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생태학적 감수성을 성례전적 창조공동체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실천적 대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을 포함해 세계는 인간의 소유가 아니라 자연의 일부로서 종말을 향해 함께 지어지며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성례전 공동체임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기독교교육은 하나님의 사귐 안에서 사람과 세계의 화해적 사귐을 중재하는 고난받는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하나님의 창조를 경축하며 종말론적 창조의 완성을 지향하는 안식일 지킴이 교육은 무너진 생태계의 회복을 위해 기독교교육이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 영역이 될 것이다. 몰트만의 창조론은 그동안 기독교교육이 간과하거나 외면했던 생태환경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통전성 있는 기독교교육적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미래를 위한 생태학으로서 복원생태학의 발전과 전망 (Development and Outlook of Restoration Ecology as an Ecology for the Future)

  • 이창석;유영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91-202
    • /
    • 2001
  • 인간은 생활환경을 확장하고 그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명화를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자연환경을 양적으로 잠식하고, 그 질을 저하시켜 왔다. 이러한 인간활동을 많은 생물종을 사라지게 하였고, 인간자신도 그 자신의 존재를 위협하는 환경문제에 직면하게 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인식한 인간의 반응이 복원생태학의 성립과 발전으로 표출되고 있다. 복원생태학은 온전한 자연의 체계와 기능을 모방하여 훼손된 환경을 치유하는 환경기술이다. 이러한 복원은 훼손의 정도에 따라 처리방법이 다르고, 그 규모나 목표에 따라서도 그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시행을 위해서는 생태학적 진단이 필요하고, 그러한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처방할 때 비용과 노력을 절약하고 상정한 목표에도 도달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복원생태학은 기존의 생태학에 토대를 두고 현실세계를 탐구하는 실용학문이며, 그에 더하여 기존의 생태학적 연구를 통하여 획득된 개념과 이론을 현장에서 검증하는 하나의 현장실습인 것이다. 인간은 지구라는 생태계에서 생활하면서 어떤 면에서 무리하게 자연을 이용하였지만, 어떤 면에서 불가피하게 자연을 훼손해 왔다. 더구나 이러한 이용과 훼손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그러한 현상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를 몰고 오는 오늘의 시점에서 우리는 아무런 대비없이 그 생활을 계속 이어갈 수는 없다. 불필요한 이용을 줄이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며,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는 생태학적 복원을 추구하여 다가 올 미래의 환경위기에 대비하여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복원생태학은 미래를 위한 생태학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윤리적 패션 디자인 (Ethical Fashion Design)

  • 고현진
    • 복식
    • /
    • 제60권8호
    • /
    • pp.151-167
    • /
    • 2010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thics in fashion design for more valuable and sustainable human life against the increasing alienation of the human being,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resulted from contemporary consumption society. I expect that it can be helpful to plan ethical fashion design practice more effectively. For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thics in design can be defined as the responsibility to reform the social, environmental problem of consumptive design, to sustain together without human alienation, environment disruption and to do social good for total human being ultimately. The ethical design practice means to suggest solutions to problems of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and to act willingly. Based on this, ethical fashion design appeared as responsible design solution which has two directions. One is the fashion design for coexistence and sharing, including the design for all which considers even underprivileged minority, the design to promote public issues as well as to donate some profits. The other is the eco fashion design for sustainable environment, including eco-friendly design which is reductive and slow in whole design process, the design to inform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crisis as well as to donate some profits. The last one of the most important ethical responsibility as fashion designer is to abide by vocational ethics, that is, the prohibition of design pi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