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cological Community

Search Result 1,44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농업 환경보전 프로그램 대상마을의 논과 둠벙 생태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croinvertebrates in an agricultural paddy field and irrigation pond ecosystems in a farmer's practice manual on the village of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 신이찬;이승현;이영미;윤지영;홍성준;윤현조;박상구;한은정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148-1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논과 둠벙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및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논과 둠벙의 생태적 기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1년 5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충청남도 보령시 은행마을 내 논과 둠벙을 대상으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37종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논과 둠벙에서 서식기능군은 기어오르는무리와 헤엄치는무리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식기능군 측면에서는 잡아먹는무리와 주워먹는무리가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Rarefaction curve를 분석한 결과, 7월 둠벙에서 E (S, 141)=18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월 논에서 E (S, 141)=9종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과 둠벙을 대상으로 서식 및 산란장소로 이용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노린재목인 송장헤엄치게(Notonecta triguttata), 물진드기(Peltodytes intermedius), 큰물자라(Appasus major), 장구애비(Laccotrephes japonensis), 물자라(Appasus japonicus), 방물벌레(Sigara substriata)와 딱정벌레목인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애물땡땡이(Sternolophus rufipes)로 확인되어 둠벙이 농업생태계 내 생물다양성의 유지와 보전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충북(忠北) 벽촌지역(僻村地域) 국민학교(國民學校) 아동(兒童)의 식생태(食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Ecological Aspect of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Remote Villages of Chung Buk Province)

  • 백수경;최경숙;김복희;윤혜영;모수미;김인숙;강성구;김종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7-228
    • /
    • 1990
  •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was conducted among 198 children, 6 to 12 years old, of the Songmyun elementary school and Samson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remote villages of Chungchun-myun, Goisan-gun, Chung Buk Province between July 11 and 16, 198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gard to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3.3% of subjects skipped every morning; 15% often skipped; and the others never skipp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skipping a meal was lack of appetite. 6.6% of subjects often skipped an evening meal because of delayed meal preparation by a mother who returned home late. The survey found that 5.1% of subjects skipped a lunch at school. The reasons for skipping lunch were the mother’s being too busy to prepare a boxed lunch; a school bag too heavy to carry for a long distance to school; no adequate side-dishes for the boxed lunch. Growth patterns of those children having poor food habits, were reflected in lower figures in arm circumference and weight for height. The percentage of children having meals with their family on weekdays was 84.7% for breakfast; 85.6% for evening meal. About 7% of subjects had many dislikes and 74.1% had some dislikes in what they ate; 18.9% had good food preference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ppetite or food preferenc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r nutrient intake. Boiled rice was the predominant dietary staple, and principal sources of protein taken by subjects at home were soy beans and soy products. Regarding the boxed lunch prepared at home, most popular was one with only one kind of side-dish, including kimchee. 43.4% of the side-dishes were prepared with vegetables only. As for between meal snacks, milk and milk products, fruits and breads were popular among the subjects. The survey found that the children liked fruits, yogurt, corn, Chajang noodle; in contrast, lowest preference was for soup made with bones, curried meat with rice, and aromatic vegetables. The survey discovered a local dietary characteristics; 46.2% of the children customarily ate frog meat, an unconventional food.

  • PDF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 Yoon, Ji-Hyun;Kim, Heung-Tae;Nam, Jong-Min;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2호
    • /
    • pp.223-235
    • /
    • 2011
  • Juncus effusus is mostly found in freshwater wetlands and is widely used for landscaping and creating artificial wetlands due to its high ecological value. J. effusus tends to dominate during the early stage (3-10 years) of the second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This study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J. effusus to create habitat for an endangered species, Nannopya pygmaea, which lives in wetlands dominated by J. effusu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J. effusus and N. pygmaea, 63 quadrats at eight wetlands were investigated between May and June 2006 during the critically dry period. Fifty-three species from 28 families co-occurred with J. effusus, and Persicaria thunbergii was the most abundant (63.5%). The optimal ranges of distribution (ORD) for the water variables were water depth, -2 to 10 cm; dissolved oxygen, 0.99-3.55 mg/kg, conductivity (CON), 23.40-115.40 ${\mu}s/cm$, total dissolved solid, 12.53-57.60 mg/L; pH, 5.00-6.87; $K^+$, 0.11-1.46 mg/L; $Ca^{2+}$, 1.53-5.85 mg/L; $Na^+$, 3.16-7.47 mg/L; $Mg^{2+}$, 0.11-1.96 mg/L; $NO_3$-N, < 0.001-0.072 mg/L; $NH_4$-N, 0.005-0.097 mg/L; and $PO_4$-P, 0.006-0.047 mg/L. ORDs for the soil variables were water content, 1.05-2.96%; loss-on ignition method (LOI), 5.07-7.81%; CON, 23.70-59.70 ${\mu}s/cm$; pH, 4.40-5.16; extracted (e) $K^+$, 4.34-15.73 cmol/kg; $eCa^{2+}$, 31.56-191.56 cmol/kg; $eNa^+$, < 0.01-2.61 cmol/kg; eMg, 0.04-19.82 cmol/kg; $eNO_3$-N, 0.514-1.175 mg/kg; $eNH_4$-N, 0.033-0.974 mg/kg, $ePO_4$-P, 0.491-11.552 mg/kg; total nitrogen, 0.016-0.200%; and total carbon, 1.06-2.37%. The appearance of rush during early succession indicat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these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that ORDs should be maintained for the J. effusus community.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가동이 저서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on Benthic Marine Algae)

  • 김영환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379-387
    • /
    • 1999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가동이 증가 추세에 있다. 수년에 걸친 발전소의 건설 과정에서 부지의 매립과 준설은 저서 해조류의 서식처를 교란시키고 이는 나아가서 종조성의 변화를 야기한다. 발전소가 정상 가동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다량의 온배수를 주변으로 방출하는데, 고착성 해조류는 수온의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냉각수가 복수기를 통과하면서 수온이 7~12$^{\circ}C$ 상승하게 되며, 짧은 거리의 배수로를 거쳐 주변으로 방출된다. 배수로에 인접한 구역에서는 저서 해조류의 종조성과 다양성 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발전소 냉각계통의 가동은 해조류 개체군 수준에서 생장률과 생장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안수와 혼합되기 전의 배수로에 출현하는 해조류는 높은 수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열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동해안에 위치한 3개 원자력발전소의 배수로에서 1992~1998년에 걸쳐 출현한 해조류 중 출현빈도 20%이상의 내열종 해조류는 총 35종(남조류 4종, 녹조류 9종, 갈조류 8종, 홍조류 14종)이었다. 해조류가 우리 민족에게 귀중한 자원이 되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발전소로부터 방출되는 폐열이 해조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대책 수립이 요망된다.

  • PDF

'PTSD 시대'의 고통 인식과 대응: 외상 회복의 대안 패러다임 모색 (The awareness and coping of human suffering in the "PTSD era":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paradigm of trauma recovery)

  • 최현정
    • 인지과학
    • /
    • 제26권2호
    • /
    • pp.167-207
    • /
    • 2015
  •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가 등장한 이후 현대 사회에서 외상 및 고통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법을 조명하였고, 한국 사회의 외상 인식과 대응 방식을 검토하면서 외상 회복을 위한 대안 패러다임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외상은 기억을 매개로 만성적인 고통을 야기하는 외부 스트레스 사건으로서, 미국정신의학회는 1980년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공식 인정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의 개발은 피해자에게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하였고, 성공적인 치료 개입의 길을 열었으며, 신경생리학과 인지신경과학 분야에서 연구 성과 축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고통에 대한 인식이 협소해졌고, 기술 개입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응 방안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특히 한국사회의 분리와 부인의 역사적 맥락, 의료 및 전문가 중심 관료주의 기저에는 외상을 개인의 문제로 치환하려는 전략이 발견된다. 따라서 사회적 고통으로서 외상을 인식하고 대안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진실 규명과 정의 회복, 회복 주체로서 생존자와 공동체의 책임, 최신 생물-심리학적 성과의 생태학적 적용, 그리고 회복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를 중시하는 대안 패러다임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연구 -다수준 분석을 활용하여-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Factors of the Region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By utilizing the multi-level analyses-)

  • 최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84-594
    • /
    • 2016
  •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노인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의 경제 사회적 요인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실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미시와 거시 데이터로 구분하여 미시 데이터는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10,248사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거시데이터는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제공되는 각 지역별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선별, 16개 시도의 2014년도 지역별 경제수준과 자연재해 및 보건과 노인의 여가, 복지 수준을 나타내는 6개 지표가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분석단위가 개인차원과 지역차원의 2수준 이상의 위계적 특성과 이질성을 고려하여 위계적(다층) 분석 모형(Hierarchical or multi-level analysis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자살생각 여부에는 지역의 생활물가지수와 국가기초수급률, 자연재해피해규모, 그리고 노인인구 대비 노인 대상의 여가 및 복지시설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에서는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들을 주목하여 지역차원의 예방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노력이 강구 되어야 한다.

인공보의 어류생태영향 평가를 위한 Echo-sounder 모니터링 기법 적용 (Application of Echo-Sounder Monitoring Technique as Ecological Impact Assessments of Fish on Artificial Weir Construction)

  • 한정호;이재훈;최지웅;임병진;박종환;안광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59-877
    • /
    • 2012
  • In this study, Echo-sounder($E_s$) monitoring methodology was applied to test environmental impacts of artificial weirs(SCW and JSW) in the Yeongsan River on fish community and habitat structures at first time, and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fish sampling methodologies($C_s$). For the Es monitoring in the fields, parallel transect methods was employed in determining the survey distance interval with every 125 m within the upper-lower 2 km of the weirs. Four different fish sampling gears such as casting nets, kick nets, fyke nets, and gill nets were used for applications of $C_s$ monitoring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Echo-sounder monitoring, fish density, expressed as a number of individuals per square meter,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weir was significantly greater(JSW, t = 3.506, n = 30, p < 0.001) in the down-river reach of the weir than in the up-river reach. Also, fish density along the vertical water column was highest at mid-depths of Seungchon weir, which has simple habitat substrates, while fish density was highest at hypolimnetic depth of Juksan weir. According to fish sampling by the $C_s$ methodology, the fish compositions decreased as the river goes upward, and significant differences(JSW, t = 0.248, n = 30, p < 0.05) in the compositions of fish species occurred between up-reach and down-reach of the weirs. The dominant species near the two weirs were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Hemiculter eigenmanni and Coilia nasus. Overall, our fish and habitat data, based on $E_s$ and $C_s$ monitoring methodologies, suggest that the weirs disturbed the rivers due to initial habitat disturbances by the weir constructions as well as the barrier roles of weirs on fish passage and migrations. More long-term scientific and systematic fish impact monitoring and assessments($E_s$ and $C_s$) are required in the future to predict changes of ecological structures and functions on the constructions of the weirs.

광양만 북부 수어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ueocheon Stream Estuary at the Nothern Part of Gwangyang Bay, Korea)

  • 임현식;최진우;최상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76-86
    • /
    • 2012
  • 광양만 북측으로 유입되는 수어천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여름철 공간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2009년 8월에 24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저서생태계의 생태학적 과정(ecological process)이 극대화되는 여름철에 이루어졌다. 소형 van Veen grab($0.05m^2$)을 사용하여 매 정점당 2회씩 퇴적물을 정량 채집하여 분석한 결과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44종이었고, 평균 밀도는 $789ind./m^2$였다. 연체동물이 밀도(43.1%)와 생체량(86.8%)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 분류군이었으며, 연체동물의 Corbicula japonica(40.7%), 다모류의 Neanthes japonica(19.3%), Heteromastus filiformis(8.1%), 갑각류의 Paranthura japonica(6.9%), Jaeropsis sp.(6.9%)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수어천 하구역 정점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종다양도는 평균 $1.12{\pm}0.47$로 낮았으나, 하구역 입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도를 보였다. 하구역 상부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기수성 이매패류인 Corbicula japonica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수어천의 전반적인 저서생물상은 강 입구역에서는 세립질 퇴적물과 해수의 영향으로 다양한 생물상을 가진 반면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립질 퇴적물과 담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소수의 기수종만이 출현하는 다소 단순한 조성을 가진 군집을 나타낸다.

어류군집을 이용한 홍천강의 수환경 평가 및 서식처 개선방안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and Habitat Improvement Alternative in Hongcheon River using Fish Community)

  • 강형식;허준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B호
    • /
    • pp.331-343
    • /
    • 2012
  • 본 연구는 홍천강과 홍천강 지류인 오안천을 포함한 총 15 km 구간에서의 어류 중심의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수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현장 조사 지점은 각 교량을 중심으로 총 9개 지점에서 8-11월 사이 4회 조사가 이루어졌다. 각 지점별로 조사된 어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점도, 균등도 및 풍부도 등의 생물다양도를 산정하였으며, IBI 및 QHEI를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홍천강 대상구간 전체에 대한 IBI는 양호-보통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심구간에서는 보통-악화 상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QHEI를 이용한 평가 결과, 최적-양호를 보였다. 또한, 멸종위기종인 가는돌고기를 이용하여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고,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기존 문헌에서는 홍천강에서 멸종위기종인 묵납자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최근의 연구 및 본 연구에서는 묵납자루의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묵납자루 서식을 위한 물리적 서식처 범위를 산정하고, 홍천강에서 묵납자루 서식처 개선 방안을 고찰하였다.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 사육수 선발 (Selection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Developing Standard Ecological Toxicity Test Methods using Korean Freshwater Cladocera)

  • 김병석;박연기;박경훈;김진경;신진섭;김진화;윤성명;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9-1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한국 담수산 물벼룩을 대상으로 농약의 생태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 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인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실내사육에 적합한 최적 사육수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물벼룩은 사육수의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와 $40{\sim}48$ mg $L^{-1}(CaCO_3)$인 soft water 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나, 우리나라 강물의 경도가 $60.2{\sim}127.2$ mg $L^{-1}(CaCO_3)$의 범위에 있는 점과 칼슘부족이 동물성플랑크톤 갑각류의 종 번식과 군집구조에 중대한 결정요소인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물벼룩의 실내사육을 위한 최적 사육수로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를 추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