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River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초

무등산국립공원의 어류 분포 특성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 고명훈;장수림;원용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4-164
    • /
    • 2018
  • 무등산국립공원의 어류 분포 양상을 밝히고 보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8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으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이였다. 우점종은 갈겨니(Zacco temminckii, 43.0%),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5.1%), 그 다음은 피라미(Z. platypus, 11.2%), 돌고기(Pungtungia herzi, 10.1%),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8.9%), 참갈겨니(Z. koreanus, 4.5%) 등의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국고유종은 13종(61.9%)으로 출현비율이 높았으며, 멸종위기종과 외래종은 서식하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영산강 수계 지점들(St. 1~7)과 섬진강 수계 지점(St. 8)은 뚜렷이 구별되었으며, 영산강 수계는 다시 최상류 지점들(St. 1, 2, 4, 6, 7)과 중 상류 지점들(St. 3, 5)로 나누어졌다. 연도별 출현 종수는 19~20종으로 유사하였으나 개체수는 2014년 3,366개체, 2015년 2,670개체, 2016년 3,429개체로 2015년이 2014년과 2016년보다 20% 이상 적었다. 이러한 원인은 2015년이 다른 년도에 비해 낮은 강수량으로 하천수위가 급격히 낮아져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8개 지점 중 3개 지점은 하천공사가 이루어져 어류 서식지가 교란되었는데, 특히 저서성 어류가 큰 영향을 받았다.

담수환경에서 eDNA와 eRNA를 이용한 Microcystin 합성 남조류 탐색 및 세포 내 Microcystin 생합성 활성 변화 (Detection of Microcystin Synthetic Cyanobacteria and Variation of Intracellular Microcystin Synthesis Using by eDNA and eRNA in Freshwater Ecocystem)

  • 김건희;박채홍;조현진;권대률;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56권1호
    • /
    • pp.1-13
    • /
    • 2023
  • 북한강 수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는 Microcystin (MC)을 대상으로 하여 MC 생합성 유전자(mcyA gene), 남조류 세포밀도, MC 농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RNA-MC 환산식을 도출하고 남조류 세포 내 존재하는 MC 농도를 예측하였다. 북한강 수역에서 mcyA 유전자는 묵현천 합류 이후 북한강 하류 지점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평균적으로 다른 지점보다 높은 copy number가 발견되었다. 북한강 상류 의암호 수역의 경우, 공지천 지점에서 mcyA 유전자 copy number가 증가하였으며 9월 이후 북한강 수역 전체에서 mcyA 유전자 copy number는 감소하였다. mcyA gene expression은 상류와 하류 수역의 시·공간적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여름철 짧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현하였다. mcyA gene expression 양은 MC 농도와 상관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MC을 생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Microcystis aeruginosa와 Dolichospermum circinale의 세포밀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RNA-MC 관계를 기반으로 도출된 6개의 환산식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p<0.05) 0.9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r)를 나타냈다. eRNA에 존재하는 MC 생합성 유전자 발현량은 수중의 남조독소 물질 합성을 판단하고 유전자의 활성 정도를 빠르게 정량하여 MC 발생 조기경보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arly Life History of Coreoperca herzi in Han River, Korea

  • Park, Jae-Min;Jeon, Hyung-Bae;Suk, Ho Young;Cho, Seong-Jang;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4권1호
    • /
    • pp.63-70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arly life of Coreoperca herzi living in Han River and compar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roups during the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evant taxonomic research. On average, one female individual spawned 541 to 861 eggs (average 701) at once. After 259 hours, the tail broke out of the egg membrane and hatching began.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larvae were average 7.81±0.10 mm (n=5) in total length. 60 days the juvenile was average 35.9±1.30 mm (n=5) in total length. The white spots spread to the rest of the body, rending the same pattern as that on the body of their broodstock fish.

Gymnolaemate Bryozoans in Fresh and Brackish Water of South Korea: Occurrence, Taxonomical Remarks and Zoogeographical Implications

  • Jung, Kyoung Jin;Woss, Emmy R.;Chae, Hyun Sook;Seo, Ji 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2017
  • The present census on freshwater bryozoans in the Han River, Geum River and in lentic water bodies in Gangwon Province revealed three gymnolaemate species. Two of them-Hislopia prolixa Hirose and Mawatari, 2011 and Victorella pavida Saville Kent, 1870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Paludicella articulata (Ehrenberg, 1831), on the other hand, had already been documented from a few sites since 1941. The bryozoans, all belonging to the order of Ctenostomata, were found on a variety of substrates in freshwater (H. prolixa and P. articulata) and brackish habitats (V. pavida). Hislopia prolixa had recently been established as a new species and this is the first record for an occurrence outside of Japan, where it had been newly described from Lake Biwa and nearby satellite lakes.

QUALITY MANAGE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 Ying-Mei Cheng;Been-Jyh Yu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16-1222
    • /
    • 2009
  • Ecological Engineering (EE) refers to all sustainable engineering that can reduce damage to ecosystems and that adopts ecology as a base and safety as an orientation in order to implement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short, EE attempts to safeguard the ecological environment while any essential construction projects proceed. EE encompasses many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skills, ecosystem preservation, landscape, and even related cultures and so on. Such variety results in greater complexity of construction, and, consequently, indirectly increases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The objective of our research is to explore a promising model for EE via an extensive literature survey. This model includes three principal stages: plan-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long with individual accompanying phases concerned with quality control and vital management. In this article, a river restoration example is adopted to describe in detail the critical points of quality control in the three stages (plan-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nstruction life cycle.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structure for quality management of EE to guarantee its quality and to enhance its core ap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long-lasting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 PDF

피마자유기반 바이오폴리머와 골재를 혼합한 어도의 어류이동효율 실험연구 (A Study on Fish Movement Efficiency in Biopolymer and Aggregate Mixed Fishway)

  • 이동진;장민호;강준구;안홍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1권1호
    • /
    • pp.11-22
    • /
    • 2024
  • 어도는 하천에 어류의 이동이 곤란할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수로 또는 장치이다. 기존 어도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제품으로 독성물질을 용출하여 하천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친환경적이고 이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어도 조성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은 골재와 골재사이를 무독성 소재인 피마자유에서 추출한 바이오폴리머 소재와 결합한 일체형 다공성 구조물로써 표면에 식생을 활착시킬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어도 조성 기술이다. 이에 바이오폴리머와 골재를 혼합한 친환경어도의 어류이동효율에 대하여 실규모로 조성하여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Tag를 삽입하고 방류된 어류는 총 14종 201개체였으며, 방류된 개체의 감지율은 평균 82.6%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도를 통과하여 상류로 소상한 어류는 총 6종 40개체로 평균 통과율은 21.7%로 확인되었다. 일주기 이동패턴을 확인한 결과 모든 어류가 주간에 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어도와 콘크리트 어도의 기능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어도는 기존 콘크리트 어도를 대체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DCP 다중빔 수심계측자료의 위상학적 보정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opological Correction Algorithms for ADCP Multibeam Bathymetry Measurements)

  • 김동수;양성기;김수정;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54
    • /
    • 2013
  •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s (ADCPs) ar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river research and management communities being primarily used for estimation of stream flows. ADCPs capabilities, however, entail additional features that are not fully explored, such as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of river or reservoir bed based upon multi-beam depth measurements. In addition to flow velocity, ADCP measurements include river bathymetry information through the depth measurements acquired in individual 4 or 5 beams with a given oblique angle. Such sounding capability indicates that multi-beam ADCPs can be utilized as an efficient depth-sounder to be more capable than the conventional single-beam eco-sounders. The paper introduces the post-processing algorithms required to deal with raw ADCP bathymetry measurements including the following aspects: a) correcting the individual beam depths for tilt (pitch and roll); b) filtering outliers using SMART filters; d) transforming the corrected depths into geographical coordinates by UTM conversion; and, e) tag the beam detecting locations with the concurrent GPS information; f) spatial representation in a GIS package. The developed algorithms are applied for the ADCP bathymetric dataset acquired from Han-Cheon in Jeju Island to validate themselves applicability.

댐 운영을 고려한 금강의 생태.수문학적 변화 평가 : II. 수리학적 어류서식처 조건 분석 (Evaluation of Eco-Hydrological Changes in the Geum River Considering Dam Operations : II. Hydraulic Fish Habitat Condition Analysis)

  • 박상영;김정곤;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07-41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청댐 하류 금강을 대상으로 댐건설에 따른 유황 변동이 어류서식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RAP을 이용하였고, 대표어종으로는 쉬리, 참마자, 감돌고기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량이 감소하는 갈수기에 대청댐의 건설과 더불어 서식처 조건이 향상 하였으나, 용담댐 건설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댐건설에 따른 갈수기의 방류량 증가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표어종들이 선호하는 서식처 조건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보 철거를 통한 하천 생물이동통로의 생태적 복원 (Stream Corridor Ecological Restoration by Small Dam Removal - Removals of Gongreung2 & Gotan Small Dams in Korea -)

  • 안홍규;김시내;우효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171-184
    • /
    • 2012
  • 하천 수위를 유지하거나 농업용수를 취수 할 목적으로 조성되는 크고 작은 보는 용수공급 시설로 이용되고 있으나, 하천 생물이동의 차단, 보 상류부의 수질악화, 수변 생물서식처의 변화, 하천경관 훼손과 같은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지이용의 변화,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매년 50~150개 정도의 보가 폐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하천에 설치되었으나 용도와 기능이 상실된 보를 철거하여 생태적 연속성을 확보하고 하천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주며, 하천의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 및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보 철거 시범사업으로 공릉천에 설치된 길이 76m, 높이 1.5m의 공릉2보와, 한탄강에 설치된 길이 190m, 높이 2.8m의 고탄보를 철거하였고, 각 시범사업 대상지의 물리/화학/생태특성 모니터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철거 직후 보의 직 상류부에 전체적으로 침식이 발생하고, 보 하류부는 여울, 하중도, 사주, 침식 등 다양한 지형으로 변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천복원의 취지에 맞는 하천 본래의 모습에 가까운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능 및 용도가 상실된 보의 경우는 기존의 보체를 개량하거나 어도를 설치하여 주는 것 보다 구조물 자체의 완전철거를 통한 생물 이동통로 조성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친환경적 계획 방안 연구 - 부산 강서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nning of Bird Habitat Preparation for Eco-friendly Development - Focusing on Ganseo Area in Busan -)

  • 박용수;한동욱;김남신;조동길;심윤진;차진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51-165
    • /
    • 2015
  • This study surveys and analyzes the ecology of Gangseo area to be developed near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in Busan - before its development. With the result of the surveys as its basis, the study also finds ways to conserve the area's bird habitats in response to the planne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ite surveys over four seasons, West Nakdonggang River which is near the targeted development area is a wintering ground for migratory birds. Some representative bird types in this area are ducks, geese, and other water birds. There are even six legally protected species. The average altitude of their flight is calculated to be $92.4{\pm}18.8m$ and the main purpose for the migration is determined to be for food. According to evalution of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area,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turns out to have the highest conservation value. Other areas are developable as long as it was environmentally friend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ncorporation of ecological parks and biotopes within the targeted development area along with the proposal for spaces in the surroundings where the wintering birds can rest and feed. Especially for the wintering birds that rest at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their flight direction and pattern was examined to determine that their resting ground should be located 50~100m off of the river bank.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ways to maximize bird habitat by building ecological corridors between the agricultural channel and other small streams in the targeted development area and the habitats in the surroundings.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construction of low buildings, at most 20m in height, near Nakdonggang River and West Nakdonggang River considering the birds' flight altitude and direction.